d라이브러리
"차이"(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대면 사회, 문제점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연령이나 소득 등에 따라 정보 기술을 활용하는 계층과 활용하지 못하는 계층간의 차이를 ‘디지털 격차’라고 해요. 디지털 격차는 사회·경제적 불평둥뿐만 아니라, 건강이나 생명과 직결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요. 확진자 수나 이동 동선, 마스크 재고 등 코로나19와 관련된 대부분의 정보가 ... ...
- [기초과학의 힘, IBS] 나노입자 연구단, 원자 수준으로 관찰하는 나노입자의 3D 증명사진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결정축의 방향이 각기 다른 ‘다결정’ 나노입자도 있었다. 나노입자의 크기도 2~3nm 차이가 났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4월 3일자에 실렸다. doi: 10.1126/science.aax3233나노입자의 3차원 구조를 원자 수준에서 정밀하게 파악하는 것은 나노입자가 어떤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지니는지 ... ...
- [수학뉴스] TV 많이 보는 아이...수학, 독해 능력 떨어진다수학동아 l2020년 10호
- ~9세에 하루 평균 2시간 TV를 시청한 아이들의 2년 뒤 수학 성적은 읽기 성적에서 나타나는 차이에 비해 작았습니다. 하지만 10~11세에 하루 2시간 이상 TV를 시청한 아이들은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해당 시기에 치른 수학 성적이 약 12점 낮았죠. 연구팀은 “아이의 전자 매체 사용 기준을 제시할 수 ... ...
- [별 헤는 수학] 태양 폭풍 감시자, 우주재해로부터 지구를 지켜라!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시민천문학자와 천문학자, 그리고 인공지능이 각자 그린 태양 폭풍의 경계선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따져본 논문도 있습니다. 태양 폭풍 감시는 다른 천문학 시민과학프로젝트와는 달리 우리 생활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우주 현상을 분석하는 프로젝트입니다. 미국 국립과학원은 캐링턴 사건이 ... ...
- [변화3] 사람이 없어도 척척! 무인 사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입장할 수 있었어요. 매장 안의 모습은 다른 가게와 크게 다르지 않아 보였어요. 가장 큰 차이점은 결제하는 계산대가 없다는 것이었죠. 매장을 돌아보며 음료 하나와 화장품, 컵라면을 골라 들었어요. 이후 매장을 나오기 전 선택한 상품 중 컵라면은 제자리에 두었지요. 총 두 개의 상품을 들고 ... ...
- [헷갈린 과학] 피칸 vs 호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견과류. 바로 피칸이에요. 피칸과 호두는 비슷해 보이지만 피칸과 호두를 나란히 두면 차이가 분명하게 보여요. 피칸은 호두보다 색이 짙고 길쭉한 반면, 호두는 피칸보다 동글동글하고 더 울퉁불퉁하거든요. 피칸은 북미지역의 토종 견과로 가래나무목 가래나무과 식물인 피칸나무의 열매예요. ... ...
- [특집] 클라우드 신뢰점 문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쉽게 개입할 수 있다. 특히 딥러닝의 인공신경망은 육안으로는 구분할 수 없는 미세한 차이만으로 전혀 다른 결과물을 만들어 낸다. 즉, 악의를 가진 누군가가 AI에 의도적으로 접근해 입력값을 조작하고, 잘못된 판단을 내리도록 유도하는 보안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AI가 점점 복잡한 일을 ... ...
- [과학동아 X 긱블] 태풍에 우산 작살난 사람들을 위한 잇템, 에어 우산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압축해 고압 탱크에 저장시키는 장치입니다. 압축 공기를 대기 중에 분사하면 기압 차이 때문에 굉장히 빠른 속도로 빠져나가죠. 긱블 메이커 스페이스에서 가장 강한 바람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장치입니다. 공기를 압축한 후에는 압축 공기를 위쪽으로 전달할 기다란 관과, 전달된 압축 공기를 ... ...
- [아이돌 수학] AKMU와 작곡 속 수학수학동아 l2020년 10호
- 하는데, 개방현의 음과 12프렛의 줄을 누르고 튕긴 음이 정확하게 한 옥타브 차이가 나면 잘 만든 기타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우리가 듣기에 조화로운 음악을 만드는 데는 일정한 비율이 항상 쓰인다. 화음이나 화성도 모두 비율에 바탕을 두고 있다. 조율이라는 개념을 처음 생각해낸 것도 ... ...
- [가상인터뷰] 외계행성 찾아 떠난 위성 ‘키옵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또 항성과 멀리 떨어진 행성이라면 항성 앞을 지나는데 더 오랜 시간이 걸릴 테고. 이런 차이를 이해하면, 외계행성의 크기와 거리 정보를 얻어낼 수 있어. 탐사를 위해 키옵스는 지난해 12월, 남아메리카 기아나 쿠루 우주센터에서 우주로 발사됐어. 우주 환경에서 적응 기간을 거친 뒤 1월 말부턴 ... ...
이전6162636465666768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