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프로젝트"(으)로 총 2,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일러 프로젝트] 오각형 마방진을 풀어라!수학동아 l2019년 08호
- 대결이 시작됐다! 마방진 고수를 가리기 위한 대결은 오각형 마방진 문제인 오일러 프로젝트 68번으로 치르기로 했다. 68번 문제는 예시인 삼각형 마방진처럼 오각형 모양의 마방진에 선으로 연결된 세 수의 합이 모두 같게 1부터 10까지의 수를 채우는 것이다. 다만 이럴 경우 답이 여러 개이기 ... ...
- 영화 '커런트 워' 에디슨의 직류 vs. 테슬라의 교류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오전 5시 30분까지 거의 하루도 빠지지 않고 성실하게 연구에 매진했다. 결국 테슬라는 이 프로젝트를 완수했다. 그런데 에디슨은 테슬라에게 주급 10달러만 올려주겠다며 말을 뒤집었고, 이에 실망한 테슬라는 1885년 회사를 그만뒀다. 테슬라의 천재성을 알아본 투자자들은 테슬라를 찾아왔고, 그는 ... ...
- [영국유학일기] 이력서 검토에 진로 상담까지 최고의 진로지원센터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사례조사 워크숍(Case Study Workshop)도 열린다. 매학기 선별된 소수의 회원에게는 실제 프로젝트에 참여할 기회도 준다.봉사동아리의 경우 중앙아메리카 엘살바도르의 낙후 지역에 기반 시설을 제공하거나, 기업 기반 자선활동을 하는 등 다양한 이력을 쌓을 수 있다 ... ...
- [수학뉴스] 한국 대표팀, IMO 3위! 참가자 6명 모두 금메달 획득수학동아 l2019년 08호
- 한국 대표팀 조영준 군은 42점 만점을 받는 최고의 성적을 거뒀고, 수학동아 폴리매스 프로젝트에서 활약한 김홍녕 군도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금메달을 땄습니다. 특히 6개의 문제 중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로 꼽히는 6번 문제도 4명이 만점을 받았습니다. 6명의 대표 전원이 개인 순위 20위 안에 든 것 ... ...
- [인터뷰] 박형주 아주대 총장 - 연결’로 문제를 해결하는 폴리매스형 인재수학동아 l2019년 08호
- 효과가 큰 것 같습니다. 폴리매스데이 때는 어떤 이야기를 하실 건가요?물론 폴리매스 프로젝트에 대한 이야기를 할 생각입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만난 천재 수학자들의 이야기도 들려주고, 수학에서도 여러 분야의 연결성이 중요해지는 것에 대해 이야기할 겁니다. 그리고 사회 문제 해결 사례를 ... ...
- 인도, 달 향한 꿈 쏜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협력을 강화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 모디 총리는 “인도는 달 탐사를 위해 찬드라얀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며 “같이 협력해나가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에 문재인 대통령은 “우리가 인도와 함께 하길 가장 원하는 협력 분야가 우주”라며 “두 나라가 달 탐사를 위한 협력을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영국 최초의 우주인이 된 여성, 헬렌 샤먼(Helen Sharman)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즐기기로 마음먹었다”고 말했다. ‘역시!’라는 생각이 들었다.다행히도 주노 프로젝트는 러시아와 영국의 협력 사업이 됐다. 영국 최초 우주인의 소유스 탑승과 미르 우주정거장 비행이 국제적으로 미칠 영향력을 기대해, 영국 최초 우주인이 러시아의 과학 실험을 수행하는 것을 조건으로 영국 ... ...
- [JOB터뷰]유쾌한 지구 생각 십년후연구소 조윤석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칠하기 시작했어요. 옥탑방이 여름에 진짜 덥거든요. 이후 언론에 알려지며 쿨루프 프로젝트가 많이 커졌어요. 작년에는 서울 도봉구 창3동에서 어린이집 20개, 주택 50여개를 칠했지요. 올해는 영국 공익재단 ‘네스타’가 여는 ‘밀리언 쿨루프 챌린지’에 도전하려고요. 누가 흰 페인트를 많이 ... ...
- [과학뉴스] 토성 위성 타이탄에 ‘드래건플라이’ 보낸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NASA)의 다음 목적지는 토성의 위성인 타이탄이 될 예정이다. NASA는 태양계 탐사 프로젝트인 ‘뉴 프런티어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타이탄에 보낼 무인 탐사선 ‘드래건플라이(Dragonfly)’ 개발에 착수한다고 6월 27일 발표했다. 토성의 위성 중 가장 큰 타이탄은 지름이 약 5150km로 태양에서 14억km가량 ...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로켓 개발의 서막, 과학로켓 ‘KSR’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설득시키지 않았더라면 KSR-Ⅲ를 시작할 수 없었을지도 모를 일이다(그는 훗날 나로호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KSR-Ⅲ의 핵심 구상은 소형 가압식 액체엔진을 개발하고 그것을 다발로 묶어 아주 큰 추력의 1단을 구성함으로써 인공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우주발사체를 ... ...
이전6162636465666768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