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SF 소설] 생명의 노래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육식동물은 없어요. 신기하게도 곤충 같은 작은 동물도 여기에는 없어요. 지금까지 과
학자
들이 동물을 수십여 종을 발견했는데, 다들 순해요. 앞으로 퓨라 말고도 몇 종류를 더 보실 수 있을 겁니다.”“노래도 들을 수 있으면 좋겠네요.”“그건 운이 좋기를 빌어야죠…. 자, 이제 출발합니다. 저를 ... ...
거대강입자충돌기, 빅뱅에 다가간 10년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17개 기본 입자 중 하나로, 물질이 질량을 갖는 과정에 관여한다. 1964년 영국의 이론물리
학자
인 피터 힉스, 벨기에의 프랑수아 앙글레르 등이 처음으로 이론을 제시한 뒤 50년 넘게 관측을 통해 증명되지 않다가, 2012년 7월 LHC에서 처음으로 발견했다. 2016년부터 앨리스팀의 한국 대표를 맡은 윤진희 ... ...
[논문탐독] 오류에서 찾은 혁신의 실마리 주사터널현미경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스핀 탐침을 만드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작업이었는데요. 이 논문이 발표된 이후 많은 과
학자
들이 이 방법을 이용해 스핀 탐침을 제작하고 있습니다.이 연구는 과학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포기하지 않고 답을 구하는 끈기가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줍니다. 미지의 난관에 부딪히더라도 끈질기게 ... ...
[인터뷰] “인류 보편적 진화 과정 통해 역사 살펴야”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사는 곳과 피부색이 달라도 인류는 모두 같은 조상에서 나온 같은 존재입니다. 인류의 보편적 진화 과정을 보면 그렇습니다. 국내에서는 이런 부분에 관심 ... 년 놓친 게 아쉽다고 했다. 박물관장 재직 직전까지도 젊은 연구진과 과학 논문을 썼던 노
학자
는 학문 앞에서 그렇게 겸손했다 ... ...
[이달의 수
학자
] 위대한 업적, 그리고 위대한 선생님 히로나카 헤이스케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즐거움’에서 밝혔습니다. 히로나카에게는 그 소녀가 선생님이었던 셈이죠. 위대한 수
학자
를 향한 첫걸음이 우연한 만남에서 시작됐다니 무척 인상적입니다. 그는 “수학을 연구할 때는 시간이 얼마나 걸리든지 끝까지 해내는 것이 중요하다”고도 말했죠. 여러분은 어떤 마음으로 수학을 ... ...
[지사탐 인터뷰] “개화시기 탐사로 식물 다양성을 지켜요!” 소지현 연구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4호
큰 의미가 있거든요. 식물을 사랑하는 대원들이 더 많아진다면, 앞으로 훌륭한 식물
학자
가 탄생할 수 있을 거라고 믿어요! 올해는 다양한 식물 미션 데이와 현장 교육을 계획하고 있어요. 곧 현장에서 만나요~!” 용어정리*미세 기후 : 좁은 지역 내의 기후 차이. 지표면의 생태나 지상으로부터 1.5m ... ...
[파고캐고 지질
학자
] 첩첩산중 강원도가 원래는 열대 바다였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4호
3~5억 년의 주기로 초대륙*으로 합쳐졌다 나누어진다는 학설로 발전했지요.지질
학자
들은 앞으로 5000만 년~2억 년이 지나면 새로운 초대륙이 생겨날 거로 추측하고 있어요. 그때 한반도는 어디로 떠내려가 있을까요? 용어정리* 마그마 : 암석이 뜨거운 열로 녹아 액체 상태가 된 물질.* 초대륙 : ... ...
[특집]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가드닝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정원이라는 공간이 도시화로 인해 줄어들거나 사라진다고 우려하지만 많은
학자
는 정원에 공간적 한계는 없다고 말한다. 가드닝을 할 수 있는 곳이라면 어디라도 정원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가드닝 문화의 가장 최근 모습을 볼 수 있는 곳이 바로 실내 정원이다. 땅이 없는 실내 환경 속에서도 ... ...
[이달의 우주 날씨] 봄철 밤하늘에 숨겨진 보석 찾기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좋은 외부 은하예요. 특히 이웃한 은하와 합쳐지고 있는 소용돌이은하는 많은 천문
학자
의 관심을 받는 대상입니다. 먼 곳에서 보면 우리은하 역시 소용돌이은하처럼 주변 은하와 점점 가까워지면서 하나가 되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죠. 사냥개자리에 있는 나선은하인 M106은 중심에 있는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천문
학자
칼 세이건의 성을 따서 닉네임을 Sagan이라고 지었어요. 제가 가장 존경하는 과
학자
이기도 하죠. 저는 천문학과 물리학을 좋아하고 수학 분야에서는 소수의 분포에 관심이 많습니다. Q 어떻게 폴리매스에 관심을 가지게 됐나요?수학동아에서 폴리매스 소개를 보고 작년부터 활동했습니다.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