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다
대양
대해
해운
해사
해
d라이브러리
"
해양
"(으)로 총 1,91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백두산 최신 연구 업데이트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주변에 단열대(단층 등)가 발달해 있고, 형제·자매뻘 되는 화산 수십 개가 솟아 있다.
해양
판 기원설일본과 중국 연구팀은 최근 지진파토모그래피 연구를 통해 일본 동쪽에 위치한 해구로부터 섭입하는 태평양판이 백두산 아래 심도 약 500~600km에 있는 상부맨틀과 하부맨틀의 전이대까지 깊숙이 ... ...
[과학뉴스] 바닷속은 문어와 오징어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오염되면 바닷속에 살고 있는 생물들도 점점 사라지기 마련이지요. 실제 바다에 사는
해양
동물의 개체수가 40년 사이에 절반으로 줄었다는 연구 결과도 있어요.그런데 이런 사실을 뒤집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어요. 지난 50년 동안 문어와 오징어 같은 두족류의 개체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 ...
[쇼킹 사이언스] 바람이 돌을 움직인다고?! 항해하는 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궁금증은 커져만 갔답니다.그러던 중 2014년에 드디어 비밀이 밝혀졌어요. 미국 스크립스
해양
과학연구소 제임스 노리스 박사팀이 실제 데스밸리의 환경과 돌의 움직임을 3년 동안 관찰해 직접 확인했거든요. 연구팀은 60여 개의 돌에 위치 추적 장치를 붙이고, 날씨를 관측하는 장비 15개로 돌 주변의 ... ...
[News & Issue] 떠다니는
해양
과학연구소 이사부호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기준보다 크게 낮췄다. 음파장비로 측정하는 정보의 노이즈를 없애고, 동시에
해양
생물의 피해도 최소화하는 ‘두 마리 토끼’ 전략이다. ‘태평양을 건너 대서양을 건너 인도양을 건너서라도’라는 어떤 노래 가사처럼, 이사부호는 이제 정말 바다로 달려 나갈 일만 남았다 ... ...
[Career] “세계의 바다를 가를 무인선박을 개발합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이 분야를 연구하는 사람들이 할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학생들 역시 마찬가지고요. 평소
해양
에 관심이 있던 학생들도 너무 겁먹지 말고 자신이 하고 싶었던 공부를 선택하라고 말해주고 싶습니다 ... ...
[소프트웨어] 경기 안산
해양
중학교 합치고 나누는 SW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기회가 없는 학생에게도 SW 교육이 전달되도록 다리가 되고 싶어요. 앞으로도 계속 지역 사회와 연계해 봉사 활동을 해나갈 생각입니다.”경기 안산해 ... 지역 사회에 봉사하는 활동 역시 이어나갈 생각이다. 융합과 나눔이라는 철학을 실천하는 안산
해양
중학교의 앞날을 계속 지켜보자 ... ...
[과학뉴스] 대형 물고기 오줌이 산호초 지킨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배설물이 산호초가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 워싱턴대
해양
및수산과학대 제이콥 알제이어 교수팀은 대서양과 멕시코 만에 접한 카리브해 43개 산호초 지대 110곳에서 살고 있는 물고기 종을 조사하고, 그곳 바닷물의 인과 질소의 농도를 측정했다. 연구팀은 이미 4년 전에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아래로 필리핀판이 들어가면서 서남일본열도에 크고 작은 지진을 일으키고 있다. 일본
해양
연구개발은 국제해저시추프로그램(IODP, International Ocean Discovery Program)과 연계해, 지진을 일으키는 일본열도와 필리핀판의 경계부까지 들어가 지진을 예측할 실시간 관측장비를 설치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200 ... ...
[Knowledge] 미크로네시아
해양
과학기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공부하는 사람에게 직접 눈으로 보는 것보다 더 좋은 공부는 없다”며 “이번 캠프로
해양
생물에 관심이 많던 연구단원들이 많은 것을 얻어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
[Knowledge] 동물 잡는 밀렵꾼 잡는 동물 로봇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어떤 고래가 주변을 지나고 있는지 분석한다. 자료는 부표를 거쳐 인공위성을 통해 WHOI의
해양
생태학 연구실 컴퓨터로 전송된다. 실제로 홈페이지에서 특정 해역에 어떤 고래가 지나갔는지 확인할 수 있다. WHOI는 앞으로 이 정보를 선박과 실시간으로 공유해 배의 속도를 늦추거나 정지하게 해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