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암호화폐 때문에 숲이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건물에서 나오는 강한 열기에 범죄를 의심해 기습 단속을 나선 거예요. 현장엔 뜻밖에도 100대 가량의 컴퓨터가 놓여 있었어요. 암호화폐 채굴로 24시간 가동한 컴퓨터의 열기가 건물 밖까지 흘러나왔던 거죠. 한편 이란에선 5월부터 정전 사태가 이어졌어요. 이란의 하산 로하니 대통령은 올여름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구독자 수 : 178만 명) ‘구골(googol)’은 10을 100번 제곱한 수를 말해요. 숫자 1 뒤에 0을 100개나 적어야 쓸 수 있는 큰 수죠.영상의 레고 제작자는 레고 톱니바퀴로 구골이 얼마나 큰 수인지 보여주고 싶었어요. 그래서 톱니바퀴의 회전 속도가 아주 느려지도록 설계했죠. 예를 들어 톱니가 8개인 ... ...
- [특집] 식중독균 전문은행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국내에 균이 없으면 수입하는 과정이 매우 복잡한 데다, 비용도 국내에서 구할 때보다 50~100배 가량 비쌌어요. 그래서 식중독균을 우리나라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2017년, 식중독균 자원센터가 세워진 거예요.”연구관의 설명을 들으며 수많은 식중독균이 보관된 거대한 저장고를 보자, ... ...
- [수학 잘하는 동물 친구들] 집을 찾아 돌아오는 사막개미의 능력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크기를 한번 생각해봐. 나는 몸길이가 불과 1㎝밖에 안 된다고! 1초 동안 내 몸길이의 100배만큼 움직이는 셈이니, 내가 치타보다 더 빠르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또 사막에서 살려면 먹이를 구한 다음 길을 헤매지 않고 재빨리 집으로 돌아올 수 있어야 해. 내가 어떻게 길을 헤매지 않고 돌아오는지 ... ...
- [과학뉴스] 중국발 요소수 공급부족 사태, 진정 국면 들어서나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국가에서도 물량을 확보했다. 이에 13일에는 화물차 6만 대분의 요소수 180만 L가 전국 100개 주유소에 공급되며 사태는 조금씩 진정되고 있다. 김법정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장은 11일 브리핑에서 “중국과 제3국을 통해 들어온 물량을 종합하면 올해 말까지 요소수가 크게 부족한 상황은 ... ...
- 과학자도 코로나19 이후 전면 봉쇄...2021년 평양의 과학기술은?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등장하는 사례는 꾸준히 늘어왔다. 2015년까지는 91편에 불과했으나 2016년부터는 100편을 넘어섰고, 2019년과 지난해에는 200편이 넘는 논문을 국제학술지에 발표했다. 논문을 많이 발표한 기관은 김일성종합대학(김일성대), 국가과학원, 김책공업종합대학(김책공대) 순으로 나타났다.스스로 연구할 수 ... ...
- 넷플릭스가 안줘서 직접 만들었습니다 '오징어 게임 오락기'과학동아 l2021년 12호
- mA는 1000분의 1A)는 인체에 흐를 경우 살짝 느낄 수 있는 정도의 전류입니다. 50~100mA가 흐르면 심실세동으로 사망할 위험이 있습니다. 2A는 그 수십 배 입니다. 그러니까 이번 전자파트에는 보안경이 필요할 정도로 강렬한 LED에, 감전 시 사망 위험이 있는 강한 전류가 도사리고 있다는 뜻이군요. “제발 ... ...
- [매스크래프트] #24. 퓨처 킴의 산타 마을, 특명! 선물을 빨리 배달 하라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외판원 문제 방문해야 할 집이 10곳만 되어도 경우의 수는1=362만 8800가지나 됩니다. 100곳, 1000곳으로 늘어나면 손으로 계산하기 어렵겠지요? 수학자는 계산이 번거로운 외판원 문제를 컴퓨터를 사용해 풀어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나 방법을 공식화한 형태로 나타낸 것을 ‘알고리듬’이라고 ... ...
- [특집] 식중독 악당들의 정체를 공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사라지지 않는다.원인식품 생굴 등 어패류. 특징 20~37℃에서는 3~4시간 만에 100만 배로 증가하지만, 식초와 같은 산성과 열에 약하다. 바닷물이나 갯벌에 살며, 12시간 이내에 오한을 동반한 위장염을 일으킨다.원인식품 조리를 하지 않은 생선, 조개, 오징어 등. 특징 우리 주변에 가장 많이 ... ...
- [화보] 순순히 어두운 밤을 받아들이지 마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세계 150여 개국의 사진가가 기후변화를 담은 사진 5500여 점을 보내왔고, 이 가운데 100점이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지역도, 주제도 다르지만, 이 사진들은 이렇게 말하고 있다. 빛이 사라져가고 있다. 분노하고, 분노하자 ▼자세히 보려면 PDF를 ... ...
이전6162636465666768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