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nasa"(으)로 총 1,90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착륙 실패는 낙하산 때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안타깝게도 스키아파렐리는 착륙에 실패한 것으로 밝혀졌어요. 이로써 엑소마스 2016 프로젝트는 절반의 성공으로 그치고 말았지요. 그런데 스키아파렐리는 왜 착륙에 실패한 것일까요?낙하산이 일찍 펴진 게 원인!스키아파렐리가 궤도에서 분리된 뒤 화성 표면으로 착륙할 때에는 낙하산과 *역추 ... ...
- [과학뉴스] X자 모양의 붉은 거미 성운 포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붉은 거미 성운(NGC 6537)’의 사진을 공개했어요. 지구에서 약 3000광년 떨어진 궁수자리에 존재하는 이 성운은 붉은 색을 띠고 거미 다리를 닮은 X자 모양을 갖고 있어서 ‘붉은 거미’란 이름이 붙었답니다.이번에 발견된 붉은 거미 성운은 ... ...
- Part 1. 착륙 1분 전 사라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상태였지요. 그러나 그 직후 갑자기 연락이 두절됐어요.이후 10월 21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화성 궤도선인 ‘MRO’가 스키아파렐리 예정 착륙지 근처에서 50cm 크기의 크레이터와 부서진 스키아파렐리를 찾아냈어요. 이로써 스키아파렐리가 착륙에 실패했다는 사실이 확인됐답니다.*UTC : 영국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서서히 드러나는 비밀과학집단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크기가 작답니다.이처럼 우주의 불은 지구의 불과는 매우 다르기 때문에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우주에서 의 화재에 대비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을 하고 있어요. 지난 6월에는 국제우주정거장에서 분리된 무인화물우주선 ‘시그너스’에 실험용 모듈을 싣고, 여기에 일부러 화재를 내서 어떤 일이 ... ...
- [과학뉴스] 시민과학자의 놀라운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2014년, 원시태양계를 시민과 함께 찾는 ‘원반 탐정’ 프로젝트를 시작했어요. 시민들은 NASA가 찍은 영상을 보고 원시태양계를 찾아낸답니다. 지금까지 약 3만 명의 시민이 참여해 200만 개 정도의 천체를 분류했어요.최근 미국 오클라호마주립대 연구팀은 시민이 분류한 자료에서 가장 오래된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뜻밖의 범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부근의 알래스카에서마저 30℃가 넘는 기온이 관측됐어요. 지난 7월 19일, 미항공우주국(NASA)는 “올해 상반기 세계기온이 1880년 기상 관측을 시작한 이래 가장 높았다”고 발표했답니다.대체 왜 지구 전체가 불덩이로 변했을까요? 미국 조지아공과대학의 이매뉴얼 로렌조 교수팀은 지난해 겨울에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의문의 쪽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이용해 중력을 측정하지요.달이나 다른 행성의 중력장 지도도 만들어지고 있어요. NASA가 2013년 발표한 달의 중력장 지도를 보면 중력이 센 곳은 붉게, 약한 곳은 푸르게 나타나 있지요. 이렇게 다른 위성이나 행성의 중력장 지도를 만드는 이유는 내부의 구조를 탐사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최근 ... ...
- Part 3 세번째 작전. 소행성 충돌의 결과를 조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핵겨울을 조심해!멕시코 ‘유카탄 반도’에는 지름 130km의 크레이터가 숨어 있어요. 약 6500만 년 전, 지름 10km가 넘는 초거대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한 흔적이지요. 과학자들은 이 충돌의 결과로 공룡을 포함한 약 78%의 생물종이 멸종한 것으로 보고 있어요. 소행성 충돌 당시의 충격파도 문제였지만, ... ...
- Part 2 두번째 작전. 소행성이 날아온는 이유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지구를 향해 소행성대에서 탈출~!약 46억 년 전 태양계가 만들어질 당시, 태양 주변에는 크고 넓은 먼지 원반만 존재했어요. 이 원반에 있던 여러 물질이 서로의 중력에 이끌려 뭉치면서 태양계의 여러 천체를 만들었답니다. 이때 크게 뭉친 것들은 둥그런 행성이 되었지만, 충분한 크기로 뭉치지 못 ... ...
- Part 5 다섯 번째 작전. 충돌하기 전에 소행성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부수지 말고 다른 궤도에 양보하세요!지구로 돌진하는 소행성은 우주에서 파괴하는 방법이 가장 좋아 보여요. 하지만 이 방법은 또 다른 위험을 불러와요. 소행성의 파편이 지구 궤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아무도 알 수 없거든요.그래서 과학자들은 소행성을 그대로 두거나 일부만 망가뜨린 채, 날 ... ...
이전6162636465666768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