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뉴스
"
망원경
"(으)로 총 1,160건 검색되었습니다.
韓 천문올림피아드서 종합 3위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19.10.29
대한 문제가, 관측시험에서는 육안으로 두 별 사이의 각거리와 황도상 별자리를 찾고
망원경
으로 안드로메다 은하(M31)와 해왕성을 찾는 문제가 출제됐다. 한국대표단은 김지환 군(남춘천중 3)과 김지환 군(대전문정중 3)이 금메달을 받았다. 김현기 군(대전문정중 3), 최승규 군(경기북과학고 3)이 ... ...
속속 완공되는 암흑물질·암흑에너지 관측장비..2020년 초 본격 가동
동아사이언스
l
2019.10.29
왔다. 애리조나주 투산의 키트 피크 국립관측소에 설치된 4m 구경의 니콜라스 마얄
망원경
에 장착된다. 개별적으로 움직여 관측 지점을 조절할 수 있는 5000개의 광섬유를 이용해 5000개의 은하를 20분씩 관측한다. 관측한 뒤에는 빛을 파장 별로 분해해, 은하가 지구를 기준으로 가까워지는지 또는 ... ...
우주에서 핼러윈 기념? 지구 응시하는 유령 얼굴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19.10.29
얼굴 같은 형태로 나타난 사진을 이달 28일 공개했다. 이 사진은 올해 6월 19일 허블우주
망원경
으로 지구로부터 7억 400만 광년 떨어진 구상성단 ‘아르프-마도르(AM) 2026-424’를 촬영한 것이다. AM 2026-464는 두 개의 비슷한 크기의 은하가 정면으로 충돌하고 있는 구조다. 은하 충돌은 우주에서는 흔히 ... ...
열살 맞은 KVN, 블랙홀 제트 원리 규명 등 천문학계 효자노릇 톡톡
2019.10.15
대역에서 천체를 관측할 수 있도록 해 새로운 연구결과들을 이끌었다”며 “내년부터 KVN
망원경
1기를 추가 건설해 2023년경에는 현재보다 2배 이상 뛰어난 성능을 가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
외계 행성에서 수증기 존재 가능성 발견
과학동아
l
2019.10.15
있으며, 대기가 있는 암석 행성 또는 얼음 행성인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팀은 허블우주
망원경
으로 얻은 분광 데이터를 이용해 K2-18b의 대기 조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K2-18b의 대기에 수증기가 존재하며, 행성 표면에 많은 양의 수소가 분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를 주도한 앙겔로스 ... ...
먼 우주에서 찾아온 '성간천체', 태양계내 혜성과 공통점 많아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강조했다. 천문학계에 따르면 I2/보리소프의 관측 기한은 약 1년으로 내년 10월까지는
망원경
으로 관측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I2/보리소프는 태양계를 빠져나가던 중 발견된 오무아무아와 달리 태양계에 접근하는 도중 발견돼 관측 시간이 길 것으로 보여 천문학자들의 기대가 큰 상황이다. I2 ... ...
韓-美 첫 코로나 관측 성공..."우리의 실력 NASA에 각인시켰죠"
동아사이언스
l
2019.10.14
분석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연한 책임연구원은 “코로나그래프 관측 중 지상
망원경
과 일본 관측위성 등을 이용해 동시에 관측했다”며 “이들 자료를 분석하는 일도 병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NASA와의 협력 연구는 다음 단계로 넘어갔다. 김 책임연구원은 “개발한 코로나그래프를 개선해 ... ...
지구 충돌 막아라… 적외선
망원경
으로 소행성 감시
동아사이언스
l
2019.10.11
중력이 균형을 맞추는 ‘라그랑주 L1’ 포인트에 네오캠을 발사할 예정이다. 적외선
망원경
이 제대로 성능을 내는 데 필요한 냉매가 없어도 될 정도로 온도가 낮은 곳이다. 문 책임연구원은 “네오캠이 라그랑주 L1점에 놓이면 지구 공전 궤도보다 안쪽을 공전하는 소행성들을 포함해 어두운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먼 우주도 태양계와 비슷하다"는 편견 깬 외계행성
2019.10.10
바쳤다. 이때 만들고 있던 분광기에는 엘로디(Elodie)라는 이름이 붙었다. 엘로디는 1994년
망원경
에 설치됐다. 이 시기는 외계행성 분야의 암흑기였다. 마요르와 쿠엘로보다 먼저 관측과 연구를 시작했던 다른 천문학자들이 외계행성은 현재 기술로 관측할 수 있는 곳에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는 ... ...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들이 발견한 외계행성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종료했고 현재는 NASA의 새 행성사냥꾼
망원경
‘테스’에 임무를 물려준 상태다. 두
망원경
은 행성의 밝기 변화를 이용해 외계행성을 찾아낸다. 하지만 지구에서 관측해 행성을 찾을 때는 별의 밝기보다 정밀도가 높은 도플러 효과를 이용해 찾는다. 최근에는 외계행성 발견을 넘어 생명체가 살 수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