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투약
뉴스
"
약물치료
"(으)로 총 1,903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 먹는치료제 '팍스로비드' 모든 변이에 효과… 내성 우려 남아
동아사이언스
l
2022.03.20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 촬영한 코로나19 바이러스. 미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NIAID) 제공.미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 제공. 화이자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항바이러스 경구치료제 ‘팍스로비드’가 지금까지 나온 모든 코로나19 변이에 효과가 있다는 실험실 연구 결 ... ...
현대바이오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임상 2상 계획 승인"
연합뉴스
l
2022.03.17
현대바이오사이언스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먹는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 중인 'CP-COV03'의 임상 2상 시험 계획을 승인받았다고 17일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이 물질은 흔히 구충제로 쓰이는 니클로사마이드의 흡수율과 혈중 약물 농도 유지 시간을 개선해 항바이러스제로 만든 것이다. 먹는 형 ... ...
[과기원은지금]DGIST, 한천 이용해 친환경 해수담수화 소재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3.15
김성균 DGIST 화학물리학과 교수(오른쪽)와 임홍섭 석사과정 연구원이 자연 소재인 한천과 나노셀룰로오스를 이용해 친환경 해수담수화 소재를 개발했다. STUDIO51/DGIST 제공 ■김성균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화학물리학과 교수팀이 자연 유래 소재인 한천과 나노셀룰로오스로 태양광 해수담수화 ... ...
첫 임상3상 돌입한 면역조절제 방식 국산 코로나 치료제 새 기대주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2.03.14
샤페론은 코로나19 폐렴 환자 치료를 위한 정맥주사제 누세핀을 개발하고 있다. 샤페론 홈페이지 캡처. 국내 제약사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치료제 임상시험을 이어가는 가운데 국내 바이오 벤처 샤페론이 개발한 코로나19 치료제 후보군인 ‘누세핀(HY209)’이 임상3상 허 ... ...
한 달 한 번만 먹어도 되는 최고 효율 알약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13
한달에 한번, 일주일에 한번 등 자주 먹지 않아도 효과가 오래가는 장기간 효능 알약이 개발돼 임상시험을 앞두고 있다. 조현병, 우울증 등 정신질환부터 에이즈, 말라리아 등 감염병 치료, 피임약 등에 쓰일 전망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한달에 한번, 일주일에 한번 등 자주 먹지 않아도 효과가 ... ...
유전자 교정 돼지 심장 이식받은 미국 남성, 2개월만에 숨져
동아사이언스
l
2022.03.10
미국 메릴랜드대 의료진이 유전자를 교정한 돼지의 심장을 사람에게 이식하는 수술을 진행하고 있다. 메릴랜드대 제공. 지난 1월 유전자 교정으로 면역 거부 반응을 없앤 돼지 심장 이식에 첫 성공한 미국의 심장병 환자 57세 남성 데이비드 베넷씨가 수술을 받은 지 두달만에 결국 사망했다는 소식 ... ...
코로나19 감염되면 위험할 사람 따로 있다…중증 확률 높이는 유전자 변이 16종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03.08
코로나19에 감염됐을 때 특정 유전체 변이를 갖고 있으면 코로나19가 중증으로 이어질 확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에든버러대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이 중증으로 진행할 확률을 높이는 변이 유전자 16개가 확인됐다. 인간 유전체 분석을 통해 변이를 확인한 결과로 향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면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
2022.03.08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잠들면 업어가도 모른다’는 말이 있다. 예전에는 별 감흥이 없었던 비유적 표현이었지만 요즘은 그랬던 시절이 그립다. 서너 시간 자고 나면 거의 예외 없이 잠이 깨고 바로 잠들지 못하는 날들이 이어지기 때문이다. 나이가 들면 수면의 질이 떨어지기 마련이라지만 벌 ... ...
비만형 당뇨 억제 유전물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07
박지영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과 교수(왼쪽)팀은 ‘마이크로리보핵산-29(miRNA-29)’이라는 유전물질이 엔도트로핀 분비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7일 밝혔다. UNIST 제공 당뇨 환자 중 절반 이상이 비만일 정도로 비만과 당뇨는 연관성이 크다. 비만과 당뇨 간 연결고리로 알려진 신호전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특허전쟁 다음 라운드가 오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07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최근 생명공학 혁명을 주도하는 크리스퍼(CRISPR) 유전자가위 특허 분쟁 2라운드에서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와 하버드대가 공동 설립한 브로드연구소가 또 한번 경쟁자인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를 누르고 승리했다. 미국 특허청이 브로드연구소가 약물 개발에 필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