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로
상하
소로
뉴스
"
작은길
"(으)로 총 698건 검색되었습니다.
여성 화공학도, 회사와 함께 성장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6.11
박사과정을 밟으며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다니던 ‘장래가 촉망되던 과학도’의 최종 선택은 중소기업이었다. 그것도 당시에는 이름조차 잘 알려지지 않았던 충청남도 천안의 작은 기업. 주변에서는 당연히 말렸지만 당사자의 의지는 굳건했다. 화학공학이 곧 제조업이라는 믿음과 과학·공학자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만일 암흑물질이 2030년에도 발견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다면, 물리학자들은 새로운 중력이론을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것이다. - 마리오 리비오 & 조 실크, 3월 6일자 ‘네이처’에 기고한 글에서. 멋진 제목에 혹해서 (속는 셈치고) 산 책이 막상 읽어보니 내용도 좋으면 마음이 뿌듯하기 마 ... ...
대벌레에서 ‘종의 기원’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5.18
메뚜기를 닮은 대벌레 한 마리가 세쿼이아 나무 위에 앉아 있다.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를 장식한 대벌레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와 멕시코 북부에는 저마다의 나뭇잎을 먹으며 12종이 넘게 살고 있다. 최근 국제 연구진은 여러 대벌레의 유전체를 비교해 새로운 종이 탄생하는 진화의 비밀을 ... ...
젖가슴에 대한 과학적 고찰
2014.05.13
미국의 저널리스트 플로렌스 윌리엄스가 2012년 출간한 ‘Breasts’. 2012년은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 출간 50주년과 1952년 미국 휴스턴에서 실시된 첫 번째 유방확대수술 50주년이 되는 해다. 사진은 2013년 나온 페이퍼백. - 강석기 제공 샤워장이나 봄철 대학캠퍼스에 가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여 ... ...
생쥐를 너무 믿지 마세요
2014.05.06
위키피디아 제공 “우리가 동물실험을 하는 방식은 석기시대 수준이다” - 울리히 디르나글, 독일 베를린자선의대 필자는 대학원 시절 미생물(대장균과 효모)이나 식물(애기장대)을 대상으로 실험을 했지만, 옆 실험실에 놀러 가 동기들이 생쥐(mouse)를 다루는 걸 가끔 본 적이 있다. 어쩌 ... ...
남친의 저 습관, 왜 짜증나는 거지?
과학동아
l
2014.05.06
해석한다.
작은길
제공 제공 ◆원자폭탄 (스티브 셰인킨 著,
작은길
刊) 냉전 시기 미국과 옛 소련을 필두로 한 핵무기 개발 경쟁과 이 과정에서 탄생한 미국의 ‘맨해튼 프로젝트’. 원자폭탄 개발이 야기할 후폭풍을 당시 물리학자들은 알고 있었을까. 저자는 당대 최고의 과학과 ... ...
깨알만한 진드기, 치타보다 빠르다고?
과학동아
l
2014.05.02
미국 남부 캘리포니아 사막에 서식하는 진드기(Paratarsotomus macropalpis) - 위키피디아 제공 육상동물 중 가장 빠른 동물은 뭘까. 먹잇감을 포착하는 순간 시속 100km로 내달리는 치타가 1등으로 꼽힌다. 그런데 빠르기의 기준을 ‘초당 몸길이의 몇 배나 이동하나’로 바꾸면 순위가 확 달라진다. 참깨 ... ...
제비가 인가(人家)에 집을 짓게 된 사연
2014.04.28
딱딱딱딱. 한 달 전 쯤 아침 산책을 하려고 앞산 등산로 입구를 막 지나는데 어디선가 새가 부리로 나무를 쪼는 소리가 들려왔다. 이런 소리야 늘 나는 거지만 이날은 유난히 가까이서 들렸다. 문득 귀가 양쪽에 있는 건 음원의 방향과 위치를 파악하기 위함이라는 이론이 생각나 직접 실험해 ... ...
화장품 회사에 취직한 한의사
동아사이언스
l
2014.04.22
화장품을 만드는 한의사? 언뜻 생각하기에는 어색하고 생소한 그림이다. 하지만 한의사로 시작해 지금은 한방화장품 연구원으로 당당히 자신의 길을 걷고 있는 조가영 아모레퍼시픽 연구원의 경험담은 새로운 꿈에 도전하는 학생들에게 비전을 제시해 주기에 충분했다. 한의사, 장래희망을 고 ... ...
[동영상] 드론이 딸기 어떻게 배달하나 봤더니
과학동아
l
2014.04.11
무인자동차 위에서 딸기 상자를 실은 드론이 하늘로 솟아 오르고 있는 모습을 연속 촬영했다. - KAIST USRG 연구팀 제공 11일 오후 대전 KAIST 본관 앞 잔디밭. 벚꽃축제를 즐기러 잔디밭에 모여 앉은 학생들. 한 사람이 ‘차가운 것이 좀 먹고 싶다’며 스마트폰을 켜고 몇 번 화면을 터치했다. 잠시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