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경
경관
풍경
경치
무대
배경
사태
뉴스
"
장면
"(으)로 총 1,994건 검색되었습니다.
AI "쓰레기 무단투기 딱 걸렸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9.16
뒤떨어지지 않는 것은 이런 탄탄한 백본망이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쓰레기 투기
장면
을 감지하는 기존 AI(왼쪽)와 ETRI 연구팀이 새로 개발한 AI(오른쪽)를 비교했다. 백본망은 다양한 시각 AI에 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쓰레기봉투의 인식이 문제면 쓰레기봉투를 집중 학습시켜 쓰레기봉투를 ... ...
스페이스X 화성 우주선 '스타십' 시제품 시험비행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8.28
18m까지 올라가는 데 성공했다. 당시는 시험을 밤에 했고, 연기로 인해 스타호퍼의 비행
장면
이 잘 보이지 않았다. 스타호퍼는 한 달 만에 고도를 9배 이상 올리며 능력을 입증하는 데 성공했다. 호핑이 가능하다는 것은 로켓의 이륙뿐 아니라 착륙도 자유롭다는 뜻으로 로켓을 재사용하는 것이 ... ...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깜짝 디테일
팝뉴스
l
2019.08.27
굳이 이런 표현이 필요했던 것은 아니다. 영화 이야기의 흐름만 놓고보면 없어도 되는
장면
이었다. 그러나 애니메이터는 사실성을 살리고 싶었던 모양이다. 실제 상황이라면 화살의 날개가 뺨에 상처가 날 개연성이 높다. 애니메이션도 실사 영화에 뒤지지 않는 사실성을 표현할 수 있다는 ... ...
집마당에서 펼쳐진 동물의 왕국
팝뉴스
l
2019.08.25
한다. 마당에서 생사가 오가는 투쟁이 벌어졌던 것이다. 해외 네티즌들은 무서운
장면
이지만 웬지 경외감도 느껴진다고 말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 ...
최기영 장관 후보자도 피하지 못한 부실학회 논란…모르쇠式 연구재단 가이드
동아사이언스
l
2019.08.21
교수는 발표자로 이름을 올렸다. 학회 홈페이지에는 이 교수가 학회장에서 발표하는
장면
을 촬영한 사진도 올라왔다. 이 교수는 IARIA에 2016년 ‘펠로우’(석학회원)으로 등재되기도 했다. IARIA에는 펠로우 소개문에서 "이 교수는 2009년부터 IARIA 클라우드 컴퓨팅에 논문을 투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 ...
임플란트 시신경에 심어 빛 보게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0
줘 뇌가 시신경이 보내는 신호를 받는 것처럼 위장하는 것이다. 시신경이 보고 있는
장면
에 따라 뇌에 보내는 신호를 파악해 이를 그대로 시신경에 전달하면 뇌가 실제 보는 것처럼 느낄 수 있다. 문제는 시신경 임플란트의 경우 시신경에 붙이는 형태로 설계되다 보니 시신경 전체를 자극할 수 ... ...
배수로에 코를 박은 자동차
팝뉴스
l
2019.08.14
차가 거꾸로 서 버린 것이다. 굉장히 이상하고 보기 힘든 상황이다. “이런 교통 사고
장면
은 아주 드물다”는 평가가 많은 네티즌들의 마음을 대변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 ...
불을 뿜는 드론
팝뉴스
l
2019.08.13
뿜어져 나온다. 화염의 길이는 최대 7.5미터라고 한다. 영상에는 벌집을 태우는
장면
이 나온다.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있는 해충을 박멸하거나 잡초를 태워 없애는데 이 드론을 활용하라는 의미이다. 위험하지는 않을까. 적지 않은 네티즌들이 우려를 표한다. 드론의 가격은 약 160만원 정도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이즈 바이러스 퇴치할 수 있을까
2019.08.13
대규모 임상을 시작할 예정이다. 대식세포에 침투한 HIV가 증식한 뒤 세포 표면으로 나온
장면
이다(녹색 점이 바이러스 입자다). 위키피디아 제공 NIH와 얀센은 미국을 비롯해 아르헨티나, 이탈리아, 멕시코, 폴란드 등 8개국의 고위험군(남성 동성애자 및 양성애자, 트랜스젠더) 3800명을 대상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맛의 비밀 '침단백질'에 있다
2019.08.06
녹말의 지각에 대한 연구결과가 실렸다. 결론부터 말하면 분석화학 교수님이 들려준 짜
장면
에피소드는 사실일 가능성이 높다. 침에는 녹말을 소화하는 효소인 아밀라아제가 들어있는데 사람에 따라 농도 차이가 크다고 한다. 여기에는 두 가지 요인이 있다. 먼저 아말라아제 유전자(AMY1)의 복제수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