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157건 검색되었습니다.
눈에 간세포 이식해 간 건강 손쉽게 확인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02
점점 증가하는 추세다. 대표적으로 지방간과 제2형 당뇨병이 있다. 각각 간과 췌장이
조절
하는 지질대사와 혈당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이 원인이다. 앞서 연구팀은 쥐의 눈 앞쪽에 다양한 세포와 장기유사체(오가노이드)를 이식하는 연구를 진행해왔다. 눈에 세포를 이식하면 침습적 시술 없이도 ... ...
임신하면 피부·근육까지 변화…분자 단위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2.02
연구팀은 인간줄기세포를 이용한 실험실 연구에서 코르티코스테론이 태반 기능을
조절
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자간전증을 가진 임신부는 건강한 임신부보다 혈액에서 코르티코스테론 농도가 더 낮다는 점도 발견했다. 코르티코스테론 결핍을 미리 확인할 수 있다면 ... ...
[과기원NOW] UNIST, 친환경 유기 배터리 수명 늘리는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02
부상으로 상금 500만 원을 받았다. 투명망토 물질로도 유명한 메타표면은 빛을 자유롭게
조절
하는 인공 물질로 기존 렌즈 두께를 1만분의 1로 줄일 수 있어 가상 · 증강현실 기기나 라이다(LiDAR) 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잠재력이 있다. ... ...
전기차 충전시간 확 줄인다…3kV급 전력반도체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2.01
1미터인 마이크로미터(㎛) 단위까지 자유롭게 만들 수 있다. 전자농도도 광범위하게
조절
할 수 있다. 에피 박막은 소자의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기술이다. ETRI 연구팀은 에피 박막 기술을 활용해 3kV급 모스펫(MOSFET) 소자를 개발했다. 에피소재 기판 위에 미세 패턴 형성, 저손상 식각, 증착 및 ... ...
두개골 안 뚫고 파킨슨병 완화…자기장 치료법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2.01
자극 발생기를 설치해 뇌에 전기 자극을 가하는 수술 방식이다. 신경세포 간 신호를
조절
해 파킨슨병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하지만 DBS는 전극을 뇌 깊숙이 심기 때문에 뇌출혈, 조직 손상 등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치료 효과는 전기 자극이 가해지는 동안에만 유지된다는 단점도 ... ...
하수 오염물, 방사선으로 5시간 내 대량 제거
동아사이언스
l
2024.02.01
분해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연구팀은 산화제와 알칼리를 주입해 수소이온농도(pH)를
조절
하고 감마선을 쬐면 하수슬러지를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감마선을 쬐면 하수슬러지 내 미생물 세포가 파괴되면서 미생물이 갖고 있는 수분과 영양분이 분리돼 용출액이 생긴다. 이 ... ...
[과기원NOW] 인력 투입 없이 태양전지 먼지 제거 기술 나왔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01
형성했다. 입자들은 빠르게 고형화돼 구조를 유지했다. 연구팀은 입자 간 상호작용을
조절
해 10μm(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무기 다공성 구조를 제작하는 데도 성공했다.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게재됐다 ... ...
김치미생물로 '커피 찌꺼기→유용자원'으로 전환
동아사이언스
l
2024.01.31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세계김치연구소는 김호명 발효
조절
기술연구단 단장 연구팀이 커피 찌꺼기로부터 추출한 바이오슈가를 김치미생물로 발효해 젖산으로 전환했다고 31일 밝혔다. 바이오슈가는 바이오매스 유래 당 성분으로 바이오 화학제품의 기초 원료다. 2023년 기준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김정 KAIST 교수…로봇 피부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31
기능이 유지된다. 상처 부위를 보수하면 기능 회복도 가능하다. 기계적·전기적 물성
조절
이 가능해 의수나 의족에 사용하면 실제 사람의 피부와 유사한 외형과 촉감을 제공할 수 있다. 김 교수가 개발한 기술은 2022년 6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에 게재됐고 후속연구는 로봇 분야 ... ...
알츠하이머 발병 과정, 분자 단위로 실시간 관찰
동아사이언스
l
2024.01.30
된다“며 ”분자 단위의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면 단백질들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조절
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알츠하이머와 같은 퇴행성 질환 신약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ˮ 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에 지난해 11월 온라인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