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분야
테두리
한계
범주
영토
지역
스페셜
"
영역
"(으)로 총 880건 검색되었습니다.
[두통인구 100만 시대]⑤ 진통제로부터 해방(끝)
동아사이언스
l
2019.03.10
오피오이드성 약물을 사용했을 때 활동이 줄어드는 부분, 즉 통증과 관련있는 신경회로
영역
에서 뇌 활동이 일부 줄어드는 것을 발견했다. 미국국립보건원(NIH)에서는 2010년 들어 VR을 이용한 통증 완화 연구가 2배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VR 관련 기술이 발달한 덕분도 있겠지만, 이 기술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젊을 때 근력운동을 해두면 좋은 이유
2019.02.06
근력운동을 게을리한 대가인 셈이다. 근육판 ‘개미와 베짱이’라고 할까. 기존 근핵
영역
가설에 따르면 근력운동으로 근육을 자극하면 위성세포(satellite cell)가 분열해 근섬유(근육세포)에 융합되며 세포핵을 공급해 근섬유가 굵어지고 운동을 끊으면 세포핵의 일부가 사라지며 근섬유가 위축된다 ... ...
[표지로 읽는 과학]‘게르마늄’ 존재 믿은 멘델레예프 주기율표를 제안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3
지 150주년이 되는 해다. 필립 쓰로미 사이언스 편집장은 “주기율표는 단순히 화학적인
영역
에만 있는 게 아니다”라며 “전 세계 모든 화학 실험실과 교실에 걸려 ‘우리는 여기서 과학을 한다’고 알리는 깃발 또는 배너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1869년 멘델레예프는 당시 알려진 모든 ... ...
[강석기의 과학카페]홍역은 어떻게 면역 기억상실을 일으킬까
2019.01.29
위험성이 높아진다. 의료인프라가 갖춰진 서구에서조차 홍역백신이 도입된 이후(회색
영역
) 홍역으로 인한 사망자(점선)가 크게 줄었을 뿐 아니라 홍역 이외의 감염병으로 인한 사망자(실선)도 절반 수준으로 줄었음을 알 수 있다. ‘사이언스’ 제공 게다가 이렇게 줄어든 기억B세포 가운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백년을 산다는 것의 의미
2019.01.22
영국인 50만 명에게서 얻은 게놈 데이터를 공개해(물론 동의 아래) 의학을 비롯한 여러
영역
에서 활용할 수 있게 한 프로젝트다. 그런데 이들의 게놈 데이터로 수명 관련 연구를 하기에는 아직 이르다. 등록자 50만 명 대다수가 아직 생존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 대안으로 이들의 부모 수명 ... ...
2040년 메이드인 코리아 수소차 620만대 전 세계 달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7
공급해 2040년까지 3만 대 확충할 계획이다. 살수차, 청소차, 쓰레기 수거차 등 민간
영역
도 2021년 이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수소차와 충전소 구축의 걸림돌 가운데 하나인 비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충전소 경제성을 확보할 때까지 설치 보조금을 지원하고, 운영보조금 신설도 검토할 예정이다. ... ...
4월 27일 남북 표준시 알리는 장파방송 첫 전파
동아사이언스
l
2019.01.08
장파를 이용해 중계 안테나 없이 송신탑 하나로 한반도 전역에 달하는 1000㎞ 이상의
영역
에 전파를 송출할 수 있다. 파장이 긴 전파는 회절이 잘 되기 때문이다. 여주시에 따르면 시험방송은 송신탑 반경 200㎞를 대상으로 실시된다. 장파 방송은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과 달리 실내나 지하에서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황금돼지해에 생각해보는 과학자의 인복
2019.01.08
노력이 성공의 충분조건은 아니다. 그러나 아무리 운이 중요하더라도, 적어도 과학의
영역
에서는, 재능과 노력이 성공의 필요조건이라는 사실에는 변함없는 게 아닐까.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양이 혓바닥이 까끌까끌한 이유
2018.12.25
마이크로-CT 이미지로 6종 사이에 거의 차이가 없다. C: 고양이 혀에서 실유두가 분포하는
영역
으로 평균 290개다. D: 실유두의 길이로 고양이가 2.3㎜이고 나머지 다섯 종도 거의 같다. E: 돌기는 속이 빈 원뿔이 세로로 잘린 구조라서 끝이 물방울에 닿으면 모세관힘으로 액체가 금방 빨려 들어온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백신이 못 잡는 독감 바이러스, 항체가 잡는다
2018.12.18
큰 독감 바이러스에 대해서도 대부분 살아남았다. 헤마글루티닌의 서로 다른 불변
영역
을 인식하는 항체가 네 가지나 되다 보니 A형과 B형 가리지 않고 테스트한 모든 독감 바이러스를 항원으로 인식할 수 있었다. 연구자들은 조합항체 MD3603이 면역력이 약해 독감 백신을 맞아도 항체가 잘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