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스페셜
"
존재
"(으)로 총 2,028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코로나 시대'의 보통과학자 그리고 과학지식인
2021.06.03
이들 과학지식인의
존재
는 이후 한국의 미래에 큰 빛이 될 것이다. 과학지식인의
존재
와 필요성에 대해 다룬 책 《과학이 만드는 민주주의》에서 해리 콜린스와 로버트 에반스는 과학지식인을 부엉이들이라고 부른다. 아마도 헤겔이 말한 미네르바의 올빼미를 패러디한 것으로 보이는 이 단어로 ... ...
뇌 신경 세포망 모방한 인공섬유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6.03
구현했다. 트랜지스터 전극으로 들어오는 전기적 자극에 따라 반도체 소재와 절연막에
존재
하는 이온 사이에 산화환원 반응이 일어나도록 설계했다. 이를 통해 시냅스처럼 전기신호의 강도를 기억하여 전달할 수 있는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여러 개의 전극에서 다발적으로 들어오는 ... ...
1년전만 해도 "근거부족"하다던 과학자들, 중국 우한연구소 기원설 왜 다시 주목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6.02
NIAID) 소장은 지난달 11일 미국 상원위원회에서 “중국 기원설의 가능성은 확실히
존재
하며, 이에 대한 명확한 조사에 대해 전적으로 찬성한다”고 말했다. 데이비드 릴먼 미국 스탠퍼드대 미생물학 및 면역학과 교수와 마크 립시치 미국 하버드대 감염학과 교수, 러슬란 메지토프 스위스 바젤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로나 시대에 꿈자리가 사나워진 이유
2021.06.01
수면 전반부에 비렘수면의 비율이 높은 이유다. 꿈에 대해서는 아직 잠만큼 결정적인
존재
이유가 밝혀지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의 수면연구자 매슈 워커 교수는 2017년 출간한 ‘우리는 왜 잠을 자야 할까’에서 꿈의 중요한 기능 두 가지를 설명하고 있다. 먼저 꿈은 ... ...
목성 위성 '유로파' 해저화산 활동 있을만큼 내부 뜨겁다
연합뉴스
l
2021.05.28
예측하면서 장기간에 걸쳐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도 분석했다. 유로파에 해저 화산이
존재
한다면 지구의 심해 해저에서 미생물에 '연료'를 공급하는 열수구와 같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지구에서는 바닷물이 뜨거운 용암과 만나면서 화학에너지를 제공하는데 햇빛이 들지 않는 ... ...
AI로 제작한 우리은하 주변 암흑물질 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27
연결하는 우주망이 대부분 암흑물질로 구성됐기 때문이다. 암흑물질의 분포는 우주에
존재
하는 각 은하가 과거에 어떻게 형성됐는지, 미래에 어떻게 진화할지를 알 수 있는 우주 팽창 모형의 기본 뼈대가 된다. 홍성욱 선임연구원은 “차세대 첨단 천문관측 장비들이 가동되면 이제껏 발견되지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일반상대성이론의 검증
2021.05.27
우리가 알기로는 수성과 태양 사이에 행성이나 그와 비슷한 무엇이라고 할 만한 천체가
존재
하지 않는다. 중요한 것은 특정 가설의 성공여부가 아니다. 실패는 과학의 역사에서 성공사례보다 수천만 배는 더 많이 등장한다. 보다 중요한 것은 반복되는 실패와 성공의 희비를 꿰뚫는 문제해결의 ... ...
인공지능이 우리은하 둘러싼 우주 속 암흑물질 지도 그렸다
연합뉴스
l
2021.05.27
학습된 암흑물질 예측 모형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실제 우리은하 주변 1억 광년 안에
존재
하는 은하 정보를 적용한 결과, 우리은하가 포함된 국부은하군(LGG)과 처녀자리 은하단 등 기존에 알려진 은하들을 연결하는 실 가닥 구조가 잘 만들어진 것을 확인했다. 암흑물질 분포는 우주 속 은하가 ... ...
말소리 잘 못듣는 난청 치료 길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25
밝혀진 바가 거의 없다. 공동연구팀은 유전학적 검사를 통해 달팽이관 지지세포에
존재
하는 새로운 난청 유전자 TMEM43을 규명하고 병리학적 기전을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 연구팀은 우선 난청의 원인을 찾기 위해 진행성 청각신경병증을 지닌 한국과 중국 국적 환자군의 가계도를 분석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두 번째 팬데믹'을 슬기롭게 극복하려면
2021.05.23
인정하자. 우리는 이미 많이 애쓰고 있고 나는 내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끈질긴
존재
이다. 섣부른 평가질과 과소평가, 비난은 내게도 타인에게도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지만 칭찬과 응원은 늘 상상 이상의 힘을 발휘함을 기억해보자. ※참고자료 APA. (2017). The great unknown: 10 Tips for Dealing With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