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8,409건 검색되었습니다.
2. 기형아치료 새 생물 창조 등 의학 육종학의 새 전기 마련
과학동아
l
199403
짓는 일에 비유해보자. 집을 짓기 위해서는 벽돌과 자갈 시멘트 모래 등 자재를 모두 한
곳
에 쌓아 두었다고 해서 집이 되는 것은 아니다. 집을 만들기 위해서는 설계도가 필요하다. 여러 세포들로 구성돼 있는 생물에서의 설계도는 바로 세포 속에 있는 유전자, 즉 DNA의 염기 코드다. 생물은 자신의 ... ...
미생물 이용, 환경오염 막는다
과학동아
l
199403
대해서 예민하게 반응한다. 혐기성 소화 반응을 지배하는 것은 메탄생성세균이 활약하는
곳
인 메탄생성상(相)이라 할 수 있다.퇴비화는 유기폐기물을 미생물에 의해 호기적인 조건하에서 안정시켜 토양의 개량에 유용하고 작물이 자라는 데 도움이 됨과 동시에 취급이 용이한 유기물을 만드는 ... ...
PART.3 게임제작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199403
설명이다."사실 게임 제작 전반이 그렇지만 기획 분야는 더더구나 국내에서 배울
곳
이 없어요. 특별히 학문적 영역으로 구축된 것도 아니어서 외국의 자료를 찾아 읽으며 공부하는 게 전부입니다. 외국의 대형 게임 제작업체들은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정리된 기획서가 따로 ... ...
알레르기성 비염의 원인과 치료
과학동아
l
199403
등을 분비한다. 이들 물질이 알레르기의 여러 증상을 일으키는 것이다. 증상이 일어나는
곳
이 기관지라면 알레르기성 기관지천식, 피부라면 두드러기나 아토피성 피부염, 코점막이라면 알레르기성 비염이 된다. 외국에서 많이 문제가 되는 화분증도 꽃가루가 알레르겐이 된 알레르기성 비염이다 ... ...
10만년 전 냉동된 바다표범 미라 발견
과학동아
l
199403
연구하는데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이 바다표범들은 바다에서 2백60km 떨어진
곳
에서 발견됐는데, 이는 이들이 빙산에 의해 수만년간 외부 물질들이 어떤 영향도 미치지 못할 정도로 보존됐을 것임을 시사한다. 그같이 완벽한 조건에서 그토록 오랫동안 보존된 냉동미라가 발견된 것은 아주 ... ...
새벽 동쪽 하늘의 수성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199403
이것을 봄의 대곡선이라 하고, 여기서부터 봄철의 별자리들을 찾게 된다. 서쪽의 치우친
곳
에는 카시오페이아가 북극성 주위에 아직도 상당한 고도를 유지하고 있다. 그 위로 페르세우스자리와 마차부자리가 굴절망원경들의 관측 적정 고도에 들어와 그들이 보유하고 있는 산개성단들을 ... ...
1. 세계가 자랑하는 대형로켓들
과학동아
l
199403
일본이 H2 로켓을 쏘아올림으로써 방송통신위성을 지구정지궤도에 올릴 수 있는 나라는 5개국으로 늘어났다. 이들 '로켓 빅5'는 상업용 인 ... 한가지는 바다에서 발사하는 방법으로 발사대가 필요없고, 발사위치는 바다의 어느
곳
에서나 가능한 방법으로 미국과 러시아 등에서 연구되고 있다 ... ...
1. 유전자 이상이나 염색체 숫자·순서 바뀔 때 나타나
과학동아
l
199403
과정을 분자수준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이러한 과정의 기본적인 청사진이 보관된
곳
이 바로 게놈이다. 게놈을 이루고 있는 수많은 유전자들이 바로 정보다. 서로 다른 세포들이 이들 정보를 취사 선택해 이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기능과 형태를 갖는 세포로 분화된다. 따라서 이들 유전자를 ... ...
"개발 이전에 반드시 환경평가 거쳐야"
과학동아
l
199403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연이란 무한한 혜택에서 환경이 죽어갈 때 인간도 발붙일
곳
이 없어지게 된다는 역학관계를 깨달아야지요.이번 탐사를 마친 선생님들께서는 생태계를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일 것인가와 학생들에게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를 함께 고민해주십사고 요청하고 싶습니다 ... ...
인체는 다양한 카오스 실험실
과학동아
l
199403
의하여 폭풍우같은 엄청난 일기변화가 유발되긴 하지만 나비의 날갯짓이 언제 어느
곳
에서 기상계에 영향을 미치게 될지를 알아내는 것은 인간의 능력을 넘는 일이기 때문이다. 하물며 어느 누가 그렇게 많은 나비를 모조리 추적하는 일이 그 많은 시간과 땀을 쏟아붓겠는가 ... ...
이전
656
657
658
659
660
661
662
663
6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