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0,271건 검색되었습니다.
98년 이끌 인터넷 핫이슈 4
과학동아
l
199801
인터넷에 대한 비전과 사업 아이템들은 수없이 제시되고 있지만 그 중에서 당장 실현
가능
성이 있는 아이템은 그리 많지 않다. 실제로 인터넷이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한 2-3년전부터 마이크로소프트의 빌게이츠를 비롯해 수많은 업계 전문가들이 인터넷을 통한 완벽한 멀티미디어 통신, ... ...
냉동 붕어 되살리기
과학동아
l
199801
건져내 세포건조를 방지하는 글리세린을 바른다. 글리세린 대신 진한 설탕물을 사용해도
가능
하다. 2. 글리세린을 바른 붕어를 액체질소 속에 약 7초 정도 넣었다 꺼낸다. 동결된 붕어는 깨지기 쉬우므로 주의깊게 다뤄야 한다. 3. 냉동된 붕어를 얼음물 속에 넣고, 살아나는 과정을 관찰한다.■ 왜 ... ...
온실가스 감축 결의한 선진국의 숨은 뜻
과학동아
l
199801
배출권을 많이 확보할 수 있지만 공장시설이 낡아 가동률이 낮은 탓에 배출권이 남아돌
가능
성이 크다. 돈 많은 미국이 이를 사들이는 일은 크게 어렵지 않다. 이산화탄소 배출을 크게 줄이지 않으면서도 세계 협약을 무난히 준수할 수 있는 방법이다.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는 조만간 시행될 조짐을 ... ...
쥐라기 공룡 만들어낸 조지 칼리슨
과학동아
l
199801
장아찌를 담구듯이 공룡의 사체를 보관하고 있을 수 있다."그래서 공룡의 시체를 발견할
가능
성이 전혀 없다고 볼 수 없다는 게 칼리슨 박사의 의견이다. 공룡은 갑자기 멸종된 것일까. 칼리슨 박사는 그 이유로 '운석충돌설'을 지지한다."공룡의 생존했던 기간은 거의 1억5천만년에 이른다. 이 사이에 ... ...
1. 아틀란티스 대륙의 정체
과학동아
l
199801
문명과 연관지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19가지 중 6가지는 완전히 일치하고 8가지는 일치가
가능
하다고 주장한 학자도 있었다.그렇다면 '단 하루의 밤과 낮 사이에' 대륙이 갑자기 소멸된 이유는 무엇일까.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은 1939년 처음 제기됐다. 기원전 14세기 크레타에서 1백60km 북쪽에 위치한 ... ...
2. 이스터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801
수 있다는 점이 증명됐다. 실험에 따르면 6.5km 정도 떨어진 거리를 한달 안에 옮기는 것이
가능
했다.한편 운반된 모아이는 지렛대를 사용하면 간단하게 세워진다는 결론이 제시됐다. 현지인들을 동원해 실제로 모아이를 세우는 실험을 재현했는데, 놀랍게도 12명의 인원으로 18일만에 모아이 하나를 ... ...
4. 나스카의 문양
과학동아
l
199801
그는 93개의 문양과 하늘에서 가장 반짝이는 45개의 별에 대한 자료를 컴퓨터에 입력하고
가능
한 한 최대의 상관관계를 찾아내려고 시도했다.그러나 연관성을 찾는 일은 실패였다. 그는 연구를 끝내면서 "천문학적으로 나스카의 문양이 천체와 관련된다는 생각은 잘못된 것"이라고 말했다.나스카 ... ...
폐경은 자손을 잘 키우기 위한 수단
과학동아
l
199801
폐경이 진화된 것이다.둘째, 여자는 나이들수록 아이를 분만하는 도중에 사망할
가능
성이 높다. 만일 60살에 아이를 낳다가 어머니가 죽어서 남은 자식들이 생존의 위기에 직면한다면 어머니의 유전자를 가진 사람의 수를 늘릴 수 있는 기회가 적어지기 때문에 나이 든 여자들이 폐경을 선호하게 ... ...
2. 통신혁명의 주춧돌 정보이론
과학동아
l
199801
채널의 정보용량보다 더 클 경우 왜곡이나 변형 없이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것은 불
가능
하다. 즉 채널용량과 송신 데이터의 정보량, 엔트로피의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정보이론은 통신시스템의 최적성능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해준다. 덧붙여 최적시스템을 합리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방안도 ... ...
5. 21세기 비트혁명, 생물과 무생물 경계 허문다
과학동아
l
199801
시도 등은 그리 허황된 것이 아닌지도 모른다. 상상할 수만 있다면 그것은 반드시 실현이
가능
한 것이다. 풀러렌이니 나노니 하는 연구는 그래서 필요하다.나노 기술은 인류가 앓고 있는 환경, 의료 등의 각종 문제를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최첨단 연구분야다. 분자 크기 안에 1조개의 컴퓨터가 담긴 ... ...
이전
657
658
659
660
661
662
663
664
6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