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서기
저널리스트
사무원
연예기자
연예
필자
d라이브러리
"
기자
"(으)로 총 10,05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수학자는 왜 비눗방울을 좋아할까?
수학동아
l
201107
물방울일까? 공기방울일까?한 어린이가 빨대 끝을 비눗물에 담근 뒤 뺀다. 그리고 빨대의 반대쪽 끝을 입으로 불자 작고 귀여운 비눗방울이 하나둘씩 방울방울 생긴다. 옆에 서 있던 다른 아이가 비눗방울을 잡으려고 이리 뛰고 저리 뛴다. 비눗방울은 대부분 손을 대면 터지지만 한둘은 손에 달라 ... ...
Part 1. 회오리 뒤쫓는 '바람사냥꾼' (인포그래픽)
과학동아
l
201107
층을 볼 수 있답니다.스파우트 박사 전 우박이나 비보다도 토네이도 소리가 더 무서워요.
기자
님, 아직 못 들어보셨죠. 귀 바로 옆에서 거대한 야구방망이가 아주 빠른 속도로 휙휙 돌아가는 것 같기도 하고, 그 안에 건물 파편이나 벽돌 같은 게 돌아가고 있을 땐 말로 형용할 수도 없을 만큼 끔찍한 ... ...
Intro. 범죄에 빠진 해킹
과학동아
l
201107
두더지 게임과 해킹의 공통점 하나, 때려도 때려도(막아도 막아도) 계속해서 올라온다(뚫린다). 둘, 언제 어디서 튀어나올지(터질지) 모른다. 셋, 두더지의 공격(해킹)을 막아낸 사람을 지치게 한다. 과거엔 정의롭고 신비한 이미지까지 있던 해킹이 어쩌다 지금은 돈이나 쫓는 비열한 범법 행위로 낙 ... ...
Part 2. 해킹 Hacking
과학동아
l
201107
하루가 멀다고 주요 국가기관과 기업들의 해킹 피해 소식이 들려오고 있다. 요즘 가장 악명을 떨치고 있는 해킹 그룹 룰즈섹의 활약상은 실로 대단하다. 소니와 미국 연방수사국(FBI), 공영방송 PBS에 이어 중앙정보국(CIA) 웹사이트까지 해킹 공격으로 뚫었단다. 룰즈섹은 CIA 웹사이트를 해킹한 직후 ... ...
우주 탄생 초기와 비슷한 은하 발견
과학동아
l
201107
우주 탄생 초기의 은하와 모습이 가장 비슷한 은하가 발견됐다. 라스 매트손 덴마크 코펜하겐대 닐스보어연구소 교수팀은 기존에 발견된 은하 가운데 표면 밝기가 낮은 어두운 은하(LSBG) 12개를 골라 밝기와 구성물질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우주 탄생 초기의 모습을 갖춘 은하를 확인했다고 ‘왕립 ... ...
숨 잘 쉬는 물고기가 무리 이끈다
과학동아
l
201107
산소호흡능력이 가장 좋은 물고기가 선두에서 물고기 떼를 이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영국 글래스고대의 숀 킬렌 교수 연구팀은 이런 연구 결과를 영국왕립학회지 6월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실험실에 물고기가 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터널을 만들었다. 그리고 같은 크기의 어린 금빛회색송어들이 ... ...
고양이가 혀로 물 마시는 건, “볼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1107
한여름 무더위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 사람이나 동물이나 자주 목이 마르기 마련이다. 집에서 키우고 있는 야옹이나 멍멍이도 마찬가지. 이 녀석들은 물이 담긴 그릇에 얼굴을 대고 물을 마신다. 그런데 자세히 보면 정작 주둥이는 물에 닿지 않고 혀만 끊임없이 오르내린다. 저렇게 해서 물을 제대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07
#1나노 앰플로 원하는 곳에 약을!이번 달 황당맨은 눈에 보이지도 않는 약병을 찾아나섰다. 신현정 국민대 신소재공학부 교수가 개발한 나노 앰플이 바로 그것. 길이가 수백 nm(나노미터, 10억 분의 1m)에 불과한 나노 앰플은 몸속 원하는 곳에 약물을 보내는 약물전달체 역할을 할 수 있다.나노 크기로 ... ...
태초에 빛과 물질이 함께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07
[우주는 어떻게 태어났을까. 지금까지 가장 유력한 이론은 영국의 스티븐 호킹과 로저 펜로즈가 발표한 이론이었다. 대폭발(빅뱅)과 급팽창(인플레이션)을 거쳐 현재의 우주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입자물리학을 이용해 설명했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끈이론을 이용해 더욱 정교하고 자연스러운 이론 ... ...
“20년 꿈을 달나라로 쏘겠다”
과학동아
l
201107
“어머나! 이게 웬일입니까? 이게 웬일이에요?”나로호를 두 번째 발사하던 날. TV 방송 해설을 맡았던 우주인 이소연 박사는 ‘통신두절’이라는 속보가 화면에 뜨자 화들짝 놀란 목소리로 이렇게 외쳤다. 나로호가 발사후 137초 만에 공중에서 폭발했기 때문이다. 아쉬운 게 어디 이 박사뿐이었을 ... ...
이전
657
658
659
660
661
662
663
664
6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