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숫자
자수
넘버
번호
수단
방법
꾀
d라이브러리
"
수
"(으)로 총 31,072건 검색되었습니다.
[영국유학일기] 시험공부, 과제, 인턴십 쉴 틈 없이 바쁜 방학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임페리얼칼리지의 개강은 10월 첫 주여서 남은 9월 한 달은 조금이나마 쉬면서 보낼
수
있다. 방학에는 여행 등 평소 하지 못하는 다양한 경험을 하거나 취업 준비를 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모든 사람에게 같은 환경과 기회가 주어지는 것은 아닌 것 같다. 나는 다른 유학생보다 그런 기회가 ... ...
[가상인터뷰] 사람만큼 오래 사는 물고기가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인기를 끌면서 내 친구들이 많이 죽었지. 규제가 전혀 없는 상태여서 연구팀은 “장
수
물고기인 빅마우스 버팔로에 대한 보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단다. 용어정리*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 : 방사성 탄소는 5730년을 주기로 절반씩 줄어들기 때문에 일정량의방사성 탄소가 줄어들기까지 ... ...
[Go!Go!고고학자] 알프스에서 발견된 아이스맨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사하라 사막에서 불어온 먼지가 빙하 위에 쌓였습니다. 어두운 색깔의 먼지가 햇볕을 흡
수
하면서 얼음이 녹았고, 마침내 외치가 두 독일인 등반객 앞에 모습을 드러난 것이지요. 슬프지만, 이런 사고 때문에 외치의 몸은 빙하 속에서 온전히 보존되었어요. 그리고 반만년의 세월이 지나 다시 ... ...
[식물 속 동물 찾기] 줄기가 뱀처럼 자라는 '뱀딸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요즘 논밭과 숲, 들판의 양지바른 곳에 가면 도톰하고 둥근 빨간색 열매를 볼
수
있어요. 바로 ‘뱀딸기’지요. 뱀딸기는 산에 가면 흔히 보이는 산딸기 ... 다만 달지도 시큼하지도 않고 밋밋해서 맛이 없게 느껴진답니다. 감
수
하영호(국립
수
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석사후연구원 ... ...
[과학뉴스] ‘나노 셔터’로 전자 움직임 포착하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아무리 성능이 뛰어난 카메라도 셔터 속도보다 더 빠른 물체의 움직임은 포착할
수
없다. 나노 소자를 개발할 때도 마찬가지다. 기존의 기술 ... 기술의 한계를 돌파했다”며 “초정밀 전자기장 센서 등 차세대 양자정보 소자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038/s41565-019-0563- ... ...
[과학뉴스] ‘웃음 가스’로 만든 테라헤르츠 레이저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1THz 이상인 테라헤르츠파를 생성해 더 많은 물질을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1월 15일자에 게재됐다. doi: 10.1126/science.aay868 ... ...
[과학뉴스] 블랙홀이 내던진 별, 10배 빨리 이동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붙잡혔고, 그에 대한 반작용으로 S5-HVS1은 초고속으로 내던져진 것이다.코포소프 교
수
는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다른 별들도 힐스 가설과 연관이 있는지 연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doi: 10.1093/mnras/stz308 ... ...
잘 얼려야 더 맛있다! 냉동의 기술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동결건조 식품이 열건조 식품보다 2~3배 비싼 이유다. 박성희 서울과기대 식품공학과 교
수
는 “적외선 복사에너지나 마이크로파로 물 분자의 진동을 유도해 승화 속도를 높이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며 “1인 가구가 늘면서 가정간편식(HMR·Home meal replacement) 등에 동결건조 기술이 더욱 많이 쓰일 ... ...
굿바이 2019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019년 국내외 과학계를 아우르는 키워드는 '최초'와 '논란'이었다. 절대 관측할
수
없을 것 같던 블랙홀을 처음으로 관측했고, 인간이 만든 달 탐사선이 마침내 달의 뒷면에 착륙했다. 우리의 삶을 획기적으로 바꿀 양자컴퓨터용 칩은 양자우월성(양자우위)을 처음으로 달성했다. '디자이너 베이비'는 ... ...
2019 과학기술 10대 뉴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큰 관심을 끌었습니다. 이 연구를 발전시키면 사지마비 환자의 신경세포를 되살릴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이 연구는 죽음에 대한 생물학적인 정의도 곱씹어 보게 했습니다. 그간 생물의 삶과 죽음의 경계는 뇌 기능 상실과 신체 장기 순환능력 상실로 구분해왔습니다. 이런 관점에서는 뇌세포의 ... ...
이전
657
658
659
660
661
662
663
664
6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