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연구"(으)로 총 13,000건 검색되었습니다.
- 당신의 진짜 친구는 몇 명? 던바의 수에 관하여기사 l20170207
- 관계를 이어가는 사람은 모두 150명 안팎에서 머물렀죠. 로빈 던바 교수는 이를 던바의 수라고 이름 붙였습니다. 그리고 던바 교수 연구팀에 따르면 그 150명도 쪼개지고 쪼개져서 정말 곤란한 상황에서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진짜 친한 친구는 3~5명 정도라고 발표했습니다. 그리고 한 사람이 좋기 않은 일을 당했을 때 크게 상심할 정도의 사람 수는 ...
- 귀성길 차 막힘의 원인, 유령 체증기사 l20170203
- 현상이 바로 유령 체증입니다. 영어로는 Phantom Jam이라고 하는데요. 영국의 엑시터대학, 브리스톨대학과 헝가리 부다페스트대학 공동 연구팀은 유령 체증의 원인을 발표했습니다. 그것은 바로 운전자들의 반응 시간 지체입니다. 반응 시간 지체란 앞의 차가 출발하고 나서 뒤의 차가 출발하거나, 또는 차 한 대가 차선을 변경하면서 1초의 시간 지체 ...
- 계란 값이 금값?!기사 l20170129
- 안녕하세요. 최하연 기자입니다. 제가 보니 한국에 계란이 금값! 거의 두 배로 오르게 되었습니다. 매장에 2016년 12월 계란 한판에 5604원이었는데 2017년 1월에 8400원으로 올랐다고 합니다. 그러먼 약 계란 한 개에 150원에서 280원으로 올랐다는 ... 부족하면 단 음식이 당기고, 힘이 없고, 멍하고 또한 병에 자주 걸리기도 합니다. ...
- 햄스터 '믹서기 사건', '해부 사건'을 막으려면 부모가 나서야 합니다기사 l20170120
- 미치기를 바란다면 먼저 부모가 햄스터에 대해 공부하고 적절한 감시와 지도 아래 기를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그렇게 해야만 많은 연구자와 미디어가 말하는 반려동물을 통해서 아이의 감성은 물론 지능까지 좋아진다는 수많은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그러니 '햄스터 믹서기 사건', '햄스터 해부 사건' 등이 일어나지 않을려면 부모의 행동이 제일 ...
- 1월 7일 번개탐사 후기탐사기록 l20170116
- 지난 1월 7일 지사탐 대원들과 대학생 채집단의 활동입니다^^~사진은 학부모님께서 제공하셨습니다.함께 해주신 분들 감사드리며 올해도 잘 부탁드립니다!!!ps. 애러가 떠 간단히 올린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 국립해양생물자원관에서 멸종 위기 동물을 구하다기사 l20170115
- 설명해 주셨다. 그리고 고래 뼈를 박제해 놓은 곳에 갔는데 고래는 완전 박제가 불가능하다고 한다. 만약 내가 해양 생물 연구원이 된다면 원형으로 고래 박제를 못하는 정확한 이유를 찾고 싶다. 그리고 레고 구조대(보호 대상 해양 생물 구출 작전)에서 멸종 위기 해양 동물을 구출하는 미션을 해 보았다. 멸종 위기 동물이 그렇게 많은지 ...
- 떠오르는 식량! 식용 곤충을 아시나요?기사 l20170103
- 인구 증가로 발생할 미래 식량 부족 사태에 대한 대체 식량으로 곤충 음식이 주목 받고 있습니다. 특히 낙농 강국인 네덜란드가 이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 아프리카 원주민들은 곤충 요리를 즐겨 먹습니다. 특히 아프리카 카라모종 족은 흰개미를 요리해 먹는다고 합니다. 저도 다양한 곤충 음식을 접해 보았는데요.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체험 ...
- 신나는 승마 교육과 과학 체험! 위니월드 방문기기사 l20161224
- 되었습니다. -해양 연구소 -잠망경 -해양 연구소에서 찍은 사진 -왼쪽 위에서부터 새우 유생, 물고기 비늘, 게, 물고기 비늘 -해양 연구소에서 쓴 기록 약 3시간 동안 체험을 했지만 너무 즐거웠던 나머지 힘들 줄도 모르고 있었습니다. 이번에 당첨이 되지 못했거나 시간을 내기가 어려워서 참여하지 못했던 ...
- 한국수달연구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61223
- 기자단 친구들이 강원도 화천군에 있는 ‘한국수달연구센터’로 출동했어요. 여기에 귀여운 수달이 살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거든요. 태어난 지 4개월 된 아기 수달부터 오순도순 살고 있는 수달 가족까지! 함께 만나러 가 볼까요? ...
- 무덤에서 살아나온 조선의 의복을 만나다기사 l20161222
- 기분이 아주 좋고 흥미로웠습니다. 덕분에 더 자세한 기사를 쓸 수 있게 되어 너무 뿌듯했답니다. 경기도 박물관 학예연구원 박미숙 선생님 집에 가기 아쉬워 목판 인쇄 전시실에 가서 목판에 새겨져 있는 천자문, 호랑이 무늬 등을 한지에 찍어보았습니다. 처음에는 실패하여 한지를 몇 장 버리기도 했지만 하면 할수록 실력이 늘어서 재미 ...
이전6576586596606616626636646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