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gauge
d라이브러리
"
게
"(으)로 총 7,754건 검색되었습니다.
턱도 디스크에 걸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L군은 사소한 생활습관 하나가 어느 순간 무서운 존재로 변할 수 있다는 점을 새삼스럽
게
깨달았다. 의사의 설명으로는 인구의 30% 정도에서 턱에서 소리가 발생하거나 통증을 느낀다고 한다. 적지 않은 수다. 물론 이들이 모두 병원에서 치료를 받을 필요는 없다. 통증이 느껴지는 경우, 그리고 ... ...
벤처기업가로 나선 이면우 교수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중요한 것이 아니었다.언젠가는 그만큼 벌겠다는 확신을 가지고 있고,그보다 세계인들에
게
새로운 문화를 심어주는 것이야말로 그가 진정으로 원했던 벤처기업이었기 때문이다 ... ...
파괴된 뇌세포 되살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발견됐다. 모든 사람의 뇌에서 뉴런이 재생되고 있는지, 그리고 신경기간세포를 인간에
게
무사히 이식할 수 있을지 현재로서는 장담할 수 없다. 하지만 20세기가 남긴 최대 불치병의 하나로 꼽히는 뇌질환을 극복하는 길이 서서히 열리고 있다는 점만은 사실이다 ... ...
동물들의 기발한 속임수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작을수록 고음으로 울어댄다. 만일 자기보다 낮은 소리로 우는 동료가 나타나면 피하는
게
상책일 것이다. 덩치가 큰 놈과 영역다툼을 벌여봐야 승산이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옴개구리는 바로 이 울음소리를 조절함으로써 허세를 피운다. 캄캄한 밤에는 울음소리만이 서로의 존재를 확인하는 ... ...
일찍 일어날수록 기분이 나빠진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코티솔의 함량이 늦
게
일어나는 그룹보다 일찍 일어나는 그룹(7시 21분 이전)에서 높
게
나타났다. 또 한번 높아진 수치는 하루종일 계속됐다. 클로우 교수는 10주 동안 이 실험을 반복한 후 “일찍 일어나는 사람일수록 근육의 통증과 두통, 그리고 감기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말했다.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레이저포 개발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오디오의 혁명’을 일으킨 CD(Compact Disk). 기존의 LP판보다 잡음이 없고 보관이 쉬우며 수명이 반영구적인 획기적인 제품이다. 한가닥의 광섬유를 이용해 ... 힘주어 말하는 이 교수의 표정에서 21세기에는 레이저의 생활화가 지금보다 질적·양적으로 클
게
확대될 것임을 예감할 수 있다 ... ...
21세기 이동통신 IMT-2000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수 있는 기술을 선보였다.CDMA(코드분할다중접속)전파를 이용해 통신하는 방법은 크
게
주파수 분할(아날로그방식),시간 분할(TDMA방식), 그리고 코드 분할(CDMA 방식) 등이 있다. CDMA는 TDMA와 같은 디지털방식으로, 동일한 부호로 된 정보만 골라 원래의 신호를 재생한다. 따라서 같은 시간을 여러명이 ... ...
첨단산업의 쌀 반도체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4개와 커패시터 2개를 쓰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다. 따라서 IC 한 개당 기억 용량은 크
게
할 수 없으나 고속처리가 가능하고 저전력에서도 동작한다.F램(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은 강유전체램으로 정보를 기억하는 커패시터에 강유전물질을 사용하는 메모리 반도체다. 강유전체는 D램의 ... ...
Y2K스트레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PC를 이용하기 때문에 쉽
게
반복 재생할 수 있어 구분동작을 익히는데 큰 장점을 지녔다.
게
다가 저작툴을 이용해 시뮬레이션함을 통해 다양한 춤동작을 직접 연출해 볼 수 있다. 스페이스일루젼의 첫번째 작품은 '베이비복스'의 3집 중 '킬러'의 춤과 기존의 춤 모음들. 앞으로 스페이스일루전은 ... ...
인간과의 전쟁 세계인구 60억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대신 인체에 영향이 없는 생물살충제나 생물비료가 등장할 것이다.환경문제도 크
게
개선된다. 2006년 경에는 오존층을 파괴하는 프레온가스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을 것이며, 화석연료의 사용이 줄어듦에 따라 2016년 경에는 이산화탄소의 배출도 현재의 50% 정도로 줄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2010년 ... ...
이전
658
659
660
661
662
663
664
665
6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