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스페셜
"
가능
"(으)로 총 6,710건 검색되었습니다.
암흑물질, 아기 우주 나이 알려주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347명)이 물리학저널 ‘피지컬리뷰레터스’에 발표한 연구결과도 이런 능력 덕분에
가능
했다. 즉 우주에서 오는 전자와 그 반물질인 양전자의 비율을 관측한 결과 10GeV(기가전자볼트) 에너지에서는 양전자의 비율이 5%에 불과해지만 350GeV에서는 15%가 넘었다는 것. 즉 우주선의 에너지가 높을수록 ... ...
당신에게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흐른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이용하고 있다. 이 업체들은 SNP(단일염기다형성) 분석을 통해 주로 특정 질병에 걸릴
가능
성 같은 건강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의뢰자의 계보도 알려준다. 대다수가 이민자의 후손인 미국인들은 이를 통해 자신의 조상을 찾는데 관심이 많다고 한다. 그런데 아프리카계 미국인 고객들 가운데 일부에서 ... ...
약도 재활용한다고? 괜찮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질병의 메커니즘이 밝혀지면서 아까운 탈락자들 가운데서 ‘흙속의 진주’를 발견할
가능
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문득 능력을 100% 발휘할 수 있는 적재적소를 찾지 못해 인정받지 못하고 묻히는 건 사물이나 사람 모두 마찬가지라는 생각이 들면서 알고 있는 몇 개 안 되는 시 가운데 하나가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아래와 같은 조언을 했다. “처음부터 생물학을 너무 진지하게 공부하지 마세요. 먼저
가능
한 폭넓게 기초 과학 교육을 받으세요. 그래야 나중에 생물학에 입문할 때 과학적 감각을 유지할 수 있고 열린 마음과 호기심을 지닐 수 있답니다. 생물학을 공부할 때는 역사적인 배경부터 시작하세요. 현재 ... ...
DNA 정보 저장 왜 3진수로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앞의 ‘2013’을 나타내는 ‘CTTCTC’의 경우 ‘TT’가 여기에 해당한다. 물론 오류
가능
성은 수천~수만 염기당 하나 꼴로 낮지만 정보 저장 매체로서는 불합격이다. 그래서 고안해 낸 게 3진수 체계다. 2진수 0과 1을 비트라고 부르듯 3진수 0과 1, 2는 트리트(trit)라고 한다. 즉 어떤 염기 하나가 정해지면 ... ...
장내미생물 관리 잘 해야 남성호르몬 이상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에 걸리기 쉬운 쥐를 실험대상으로 삼았다. 이 쥐 암컷은 수컷에 비해 당뇨병에 걸릴
가능
성이 2배 이상 높다. 수컷도 거세시키면 발병률이 올라간다. 그런데 흥미로운 사실은 위생적인 환경일수록 당뇨병 발병률도 높다는 것. 여기서 힌트를 얻어 연구자들은 장내미생물이 테스토스테론 분비에 ... ...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독감 바이러스가 이런 사람들의 대응책을 무너뜨릴 는 예측불가의 비밀병기를 갖고 있을
가능
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아무튼 적어도 한 동안은 ‘붉은여왕 가설’처럼 바이러스는 해마다 변신하고 사람은 이에 발맞추기 위해 허겁지겁 백신을 만드는 행태가 반복될 것이다. 그동안은 귀찮아도 매년 ... ...
온실가스 배출 줄일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결과를 얻었다. 한편 감축 기술의 발전 정도나 에너지 수요의 변동 폭에 따른 성공
가능
성의 편차는 정책 실시 여부에 따른 편차보다 적었다. 온실가스 배출 급증이 유발하는 기후변동으로 인한 파국을 막기 위해 지난 15년 동안 진행해온 1차 시도는 결과적으로 실패로 끝났고, 지구촌은 그 증거라도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주는 ‘푸른지구상’을 수상했다. 22. 엘리너 오스트롬 (1933. 8. 7 ~ 2012. 6.12) 인간의 구원
가능
성을 발견한 정치과학자 양 100마리를 키울 수 있는 공유지가 있다. 목동들은 저마다 양을 데려와 풀을 뜯긴다. 과잉 방목을 하면 초지가 곧 황폐해진다는 걸 알지만 절제를 하면 나만 손해다. 어쨌든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여러 나라 많은 과학자들이 상온핵융합을 진지하게 연구했고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그
가능
성을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 분명한 건 플라이슈만이 센세이션을 일으키기 위해 의도적으로 데이터를 조작한 건 아니라는 점이다. 플라이슈만은 죽을 때까지도 상온핵융합이 언젠가는 사람들의 인정을 ... ...
이전
658
659
660
661
662
663
664
665
6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