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4,404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방이 '실험실'인 분자요리
과학동아
l
200801
현무암의 실체엘 불리의 분자요리사들은 거품을 에어(air), 즉 공기라고 부른다. 우리나라
사람
들도 에스프레소에 우유를 넣고 우유거품을 얹은 카푸치노를 즐겨 마시지만 분자요리의 거품 재료는 다양하다. 당근이나 녹차 잎 같은 야채는 물론 벌꿀도 거품으로 바뀌어 요리를 장식한다.보통 거품을 ... ...
PART 2 유출 원유 3분의1 회수한 태안의 기적
과학동아
l
200801
광분해 돼 사라졌지만 1% 정도는 여전히 바닷물에 퍼져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사람
들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눈에 보이는 피해는 조만간 사라진 듯 보이겠지만 생태계가 받은 충격은 쉽사리 회복되기 어려울 전망이다. 특히 갯벌과 연안에 침투한 기름이 완전히 제거되는 데는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 ...
아파트 숲에서 달을 쫓다
과학동아
l
200801
갈 길을 향해 발길을 옮길 뿐이다. 하지만 저녁 무렵 달을 한번쯤 올려다볼 여유가 있는
사람
에게만은 ‘친절한 에스코트’를 베푼다. 이달의 천문현상● 1월 4일 사분의자리 유성우8월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와 12월 쌍둥이자리 유성우와 함께 3대 유성우로 꼽히는 유성우다. 사분의자리는 용자리 ... ...
18세기 최첨단 요새 수원 화성
과학동아
l
200801
돌이라도 쉽게 들어 올릴 수 있었다. 화성성역의궤에는 “거중기를 사용하면 장정 한
사람
이 240kg(400근)의 무게를 거뜬히 든다”고 기록됐다.정약용은 거중기 외에도 도르래와 물레를 이용해 돌을 들어 올리는 장비인 녹로와 무거운 짐을 운반하는 수레인 유형거를 개발해 공사에 도입했다. 그 결과 ... ...
특집03 뚝딱뚝딱 '프랑켄슈타인 세포' 만들기
과학동아
l
200801
구성요소를 합성하지는 않았기 때문에 진정한 인공생명체라고 할 수 없다고 이야기하는
사람
도 있다.버전으로 따지면 1.5 정도라고 할까.유전체에 세포의 특징을 규정하는 모든 유전정보가 담겨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유전체만 확보했다고 ‘무’(無)에서 새로운 생명체가 뚝딱 만들어지는 것은 ... ...
매운 고추 먹고 땀 흘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01
점점 늘어나고 있다.지난해 보건복지부의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람
이 하루에 먹는 고추 섭취량이 1998년 5.2g에서 2005년에는 7.2g으로 40%가량 증가했다. 1인당 1년 고추 소비량은 2.6kg으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사실 고추소비 증가는 우리나라만의 현상이 아니다. 바야흐로 전 ... ...
다시 보면 고마운 '키다리 아저씨' 혐기성 미생물
과학동아
l
200801
superoxide dismutase)가 과산화물 두 분자를 과산화수소와 산소로 바꾸기 때문이다. 환경과
사람
살리는 혐기성 미생물 다시보기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인간의 손이 닿을 수 없는 곳을 혐기성 미생물이 지배하고 있다. 인간의 관심에는 멀어져 있지만 무(無)산소 환경에서 사는 혐기성 미생물은 인간에게 ... ...
당신의 마음에 반창고를 붙여드려요
과학동아
l
200801
수 있는 시간을 주고 자신이 가치 있는 존재였음을 깨닫도록 도와줘야 한다.영화는 아픈
사람
에게 정말 필요한 것은 주변의 따뜻한 관심과 이해라는 사실을 주인공의 입을 통해 전달한다. 사실 의학의 목적도 그와 다르지 않다. 바쁜 세상살이를 핑계로 주변을 둘러볼 여유조차 없는 현대인과 1분 ... ...
예비 과학도를 위한 글쓰기 매뉴얼
과학동아
l
200801
과학 글쓰기에 본격적으로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유학을 위해 영국에 가고 나서였다.많은
사람
들이 글쓰기를 두려워한다. 어렸을 때는 원고지의 빨간 네모칸이 공포스러웠고 자라서는 워드프로세서의 깜빡거리는 커서가 원망스러웠다. 가슴 속에 있는 말들을 어떻게 표현할지 감이 안 잡혀 멀뚱히 ... ...
모래쥐도 나(me), 너(you) 구분한다
과학동아
l
200801
같은 모음 10쌍을 실험하자 모래쥐는 금세 규칙을 깨닫고 먹이가 있는 통으로 달려갔다.
사람
과 마찬가지로 모래쥐의 능력도 제각각이었다. 잭슨과 워싱턴이란 이름의 모래쥐는 열 번에 아홉 번 비율로 모음을 구분하는 데 성공했다. 반면 모래쥐 링컨은 정답률이 절반 이하였다. 시넛 박사는 ... ...
이전
659
660
661
662
663
664
665
666
6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