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직업
업무
사건
노동
작업
임무
일거리
d라이브러리
"
일
"(으)로 총 14,817건 검색되었습니다.
예비 과학도를 위한 글쓰기 매뉴얼
과학동아
l
200801
자신의 글에 흡족해할 날이 곧 올 것이다.강호정 서울대 미생물학과를 졸업한 뒤 영국 웨
일
스대에서 습지생태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과학자에게 연구능력 못지않게 글쓰기 능력이 중요하다는 신념으로 ‘과학작문 특강’ ... ...
번쩍번쩍 형광 고양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1
지난해 12월 13
일
, 경상대학교 동물복제연구팀과 순천대학교 발생학연구팀은 적색 형광빛이 나는 복제고양이를 세계 최초로 생산했다고 발표했어요. 어둠 속에서 눈만 빛나는 ...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지요. 또한 호랑이, 표범, 삵과 같은 고양이과 동물을 복원하는 데도 쓰
일
거랍니다 ... ...
태안 앞바다 기름 오염 사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1
지난 해 12월 7
일
, 우리나라 해양오염 사고 중 최악으로 기록될 기름오염 사고가 서해안에서
일
어났습니다. 충남 태안군 만리포 북서쪽 해상에서 ... 이중선체였더라면 기름 유출을 줄
일
수 있었을 거래요. 다시는 이런 끔찍한 재앙이
일
어나지 않도록 철저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할 때입니다 ... ...
'좀비 바퀴벌레' 만드는 방법
과학동아
l
200801
‘암풀렉스 콤프레사’(Ampulex compressa)라는 말벌이 자신의 입맛대로 조종할 수 있는
일
명 ‘좀비 바퀴벌레’를 만든다고 ‘실험생물학지’ 12월호에 발표했다. 이 말벌은 바퀴벌레의 몸에 알을 낳는 습성을 갖고 있다. 새끼가 자랄 때 필요한 영양분을 얻기 위해서다. 알을 낳기에 적당한 바퀴벌레를 ... ...
모래쥐도 나(me), 너(you) 구분한다
과학동아
l
200801
음소를 모두 구분할 수 있었다. 그래서 선택한 동물이 ‘몽골리안 저빌’(Mongolian gerbil),
일
명 모래쥐였다. 실험실 속 모래쥐의 눈앞에 두 개의 먹이통을 각각 왼쪽과 오른쪽에 놓아뒀다. 미리 녹음해둔 모음 소리를 1초 간격으로 반복해 들려주며 특정 모음의 소리를 들려줄 때는 어느 한쪽 통에 ... ...
2010년 인터넷이 멈춘다?
과학동아
l
200801
크게 허술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영상 수요가 크게 늘고 블랙베리 같은 모바
일
인터넷 장비가 빠르게 보급되고 있는 북미의 사정이 가장 심각했다.네머테스 리서치 그룹은 인터넷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선 지금보다 420억~550억 달러를 장비 투자에 더 쏟아 부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현재보다 투자 ... ...
올 겨울 유성우 전망
과학동아
l
200801
염산염의 결정을 얻는다모갠엘슨반응으로 검출된다분자식 C6H12O6 알도헥소오스의
일
종 D-갈락토오스는 유리상태로 존재하는 것은 드물고 2당류(락토오스 등) · 3당류(라피노오스 등) · 4당류(스타키오스 등) · 다당류(갈락탄 등) · 글리코시드 · 당지질(세레브로시드, 갈락토지질) · 당단백질 등의 ... ...
특집01 전자회로 설계하듯 생명체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0801
볼 수 있다. 머지않은 미래에 ‘생명회로 디자이너’가 유망 직종으로 등장할지도 모를
일
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생명 2.0시대 오는가? intro 21세기 다시 쓰는 '종의 기원' 특집01 전자회로 설계하듯 생명체 디자인한다 특집02 세포창조 무한도전 성과 있을까? 특집03 뚝딱뚝딱 ... ...
초미세 생체현상 속에 답이 있다
과학동아
l
200801
없고 정확합니다.”성냥에 불이 붙는 화학반응이 절반만 진행될 수는 없듯 생체에서
일
어나는 화학반응 역시 ‘모 아니면 도’식의 간결하고 정확한 디지털시스템을 따른다.차가운 반도체에서 태동한 MEMS 기술은 이제 나노미터 규모까지 정교해졌고 생체현상을 모방하면서 훨씬 인간적이고 ... ...
주변 은하 공격하는 블랙홀 발견
과학동아
l
200801
강하게 물질을 뿜어 주변 은하를 후려치는 드문 현상이 발견됐다. 지난 12월 17
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하버드스미소니언 천체물리센터 댄 에반스 박사팀이 두 은하로 구성된 천체 3C321에서 더 큰 은하의 블랙홀에서 나온 고에너지 입자들이 작은 은하를 강타하는 장면을 처음 포착했다고 밝혔다. ... ...
이전
660
661
662
663
664
665
666
667
6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