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730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는 왜 소프트웨어를 배울까2017.05.24
- 들을 수 있는 것 아니냐고 물었더니 “방향이 다르다”는 답이 돌아왔습니다. 전기정보공학과는 C++ 등 고급 언어를 중심으로 본질을 배우고 있는데, 이 인터페이스 프로그래밍은 가시적 결과물을 얻을 수 있어서 좋다고 합니다. “눈에 보이는 결과물이 있어서 성취감이 있습니다. 한 학기 수업을 ... ...
- [표지로 읽는 과학_사이언스] 국가를 잃은 사람에게, ‘과학’은 살 길이 된다.동아사이언스 l2017.05.21
- 없습니다. 독일의 혼잡하고 작은 아파트에서 살 고 있습니다.” 3. “프랑스에서 생명공학 분야 박사학위를 따고 고향 시리아로 다시 돌아갔습니다. 하지만 5년의 전쟁으로 인해 시리아에서는 어떤 연구도 진행할 수 없어 캐나다에서 계약직 연구원으로 살고 있습니다.” 4. “고향 ... ...
- 람보르기니 스마트폰 '알파원' 국내 출시포커스뉴스 l2017.05.18
- 21일까지 현장 예약 판매를 진행한다. 알파원은 이탈리아 명차 람보르기니 가문의 기계공학적 유산과 디자인 철학을 계승해 최고급 메탈과 가죽 소재로 강인함과 럭셔리함을 조화롭게 표현한 프리미엄 스마트폰이다. 행사에 참석한 남민우 다산네트웍스 회장은 "알파원은 기술과 감성의 조화를 ... ...
- 이상엽 KAIST 교수 미국국립과학원 회원 선임동아사이언스 l2017.05.16
- 선임으로 이 교수는 세계적으로 명망이 높은 양대 학술기구인 미국국립과학원과 미국공학한림원에 동시에 선임된 최초의 한국인이 됐다. 두 기구에 동시에 회원으로 선임된 외국인 연구자는 세계에 12명에 불과하다. 이 교수는 앞으로 NAS의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논문심사와 ... ...
- 짜서 만드는 전자옷감 메모리 나온다과학동아 l2017.05.16
- 데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미정 국민대 신소재공학부 교수팀과 황철성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팀은 차세대 전자메모리로 주목받는 저항변화메모리 소자를 직물형으로 구현하는 데 성공하고 연구 결과를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 2월 28일자에 발표했다. 저항변화메모리는 재료가 ... ...
- 항생제 내성 진단, 3일 → 6시간으로 줄였다동아사이언스 l2017.05.15
- 가졌는지를 단 몇 시간 만에 진단하는 검사 기술을 개발했다. 권성훈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팀은 서울대병원, 퀀타매트릭스 등과 공동으로 미세형상제작기술 기반의 바이오 칩을 활용, 세균의 항생제 내성(감수성) 여부를 초고속으로 파악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기존의 ... ...
- 코딩이 궁금한 자여 오라...구글-생활코딩 무료 온라인 코딩야학 개설동아사이언스 l2017.05.15
- 0명 대상으로 오프라인 워크샵이 진행된다. 구글 캠퍼스 서울 임정민 총괄은 “컴퓨터공학 전공자나 전문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일반인들이 코딩을 알고 직접 해보는 것은 새로운 시각으로 다양한 생각을 펼치는데 큰 도움이 된다”라며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많은 분들이 자칫 어렵게 ... ...
- 혈액에서 오래 살아남는 줄기세포 개발과학동아 l2017.05.15
- 줄기세포가 표적기관까지 가지 못하고 죽는 경우가 많다. 홍진기 중앙대 화학신소재공학부 교수팀은 천연고분자인 L-라이신과 히알루론산, RGD 펩타이드를 중간엽 줄기세포 위에 나노 두께로 코팅하는 데 성공했다. 중간엽 줄기세포는 골수와 제대혈에서 채취하는 줄기세포의 하나로, 다양한 ... ...
- 가짜 뉴스 꼼짝 마! 팩트 체크 인공지능 나선다과학동아 l2017.05.12
- 더욱 위험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 더 읽을거리 미국 텍사스대 컴퓨터과학및공학과 쳉카이 리 교수 홈페이지(ranger.uta.edu/~cli) 권세정 외, ‘다양한 시간대에서 루머 탐지’(doi:10.1371/journal.pone.0168344) 권세정 외, ‘빅데이터 기반 루머의 특성 및 분류’(정보처리학회지 제21권 제3호 ... ...
- 활짝 핀, 세상에서 가장 작은 장미과학동아 l2017.05.12
- 나노 크기 장미가 폈다. 최근 박현규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와 박기수 건국대 생물공학과 교수, 김문일 가천대 바이오나노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DNA 복합체로 꽃 모양을 합성한 것이다. 이전에도 단백질에 유기질과 무기질을 더한 복합체로 나노 단위의 꽃 모양 입자를 만드는 연구가 있었다. ... ...
이전6606616626636646656666676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