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현대 수학의 보물, 그로텐디크의 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말구아르 교수와 함께 몽펠리에 알렉산더 그로텐디크 연구소에서 프로젝트 리더를 맡고 있는 장미셸 마랭 몽펠리에대 교수를 만나 그로텐디크의 노트에 ... Intro. 새로운 기하학의 탄생, 그로텐디크의 노트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Part 2. 현대 수학의 보물, 그로텐디크의 ... ...
- Part 1. 핫스팟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이 같은 결과를 푸드트럭 존을 지정하는 데 쓸 수 있도록 밴쿠버 시에 전달했다. 연구팀은 모형을 조금 수정해 밴쿠버 시가 새로운 푸드트럭 15개를 허가한다면 어떤 업종을 선택하는 게 좋을지도 계산했다. 그 결과 15개 중 8개를 한국 음식을 파는 트럭으로 뽑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밴쿠버 시에는 ... ...
- 다~ 드루와! 다트의 세계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낮은 점수를 얻기 때문에 무작위로 던졌을 때보다 오히려 낮은 점수를 받은 거지요. 연구팀은 먼저 다트의 중앙을 겨냥해 50발을 던졌을 때 퍼지는 모양을 관찰한 뒤, 모양별로 어디를 겨냥해야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는지 시뮬레이션했어요. 그 결과 다트가 사방으로 퍼지는 사람은 19점 더블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신세계를 향해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맞이하겠지요.” “지상에 내려간다고 해도 당분간은 우리를 도와줄 수 있을 거야!”연구원 중 한 명이 외쳤다.“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잠깐일 뿐입니다. 그 뒤에는 쓸모가 없습니다. 전 목적을 잃어버린다는 생각에 두려움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거짓 보고를 한 뒤에 우주선을 다른 곳으로 향하게 ... ...
- [과학뉴스] 그림을 그리는 대장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변형했지만, 이번에는 세 가지 빛을 인식하기 위해 18개의 유전자를 변형했답니다.연구를 이끈 크리스토퍼 보이트 교수는 “앞으로 더 다양한 색상의 빛에 반응하는 대장균을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어요 ... ...
- [가상인터뷰] 나무를 올라타는 염소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해요. 열매를 먹은 동물은 배설물을 통해 씨앗이 더 먼 곳까지 퍼지게 돕지요.하지만 연구팀은 “염소를 통해 배설물뿐만 아니라 침을 뱉는 행동도 씨앗을 멀리까지 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고 말했어요.앞으로 우리의 똥뿐만 아니라 침을 뱉는 행동까지 모두 주의 ... ...
- Part 1. 수명이 다한 물건들은 어디로 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내가 도시에서 금속을 캐기 시작한 건 ‘전자제품 무덤’을 보고 난 후부터야.비행기 수천 대가 모여서 만든 무덤이라니…. 정말 신기하지?바다와 사막은 전자제품 무덤?!세계 곳곳에는 전쟁이 끝난 후 쓸모가 없어진 전투기와 탱크, 수명이 다한 배와 비행기 등이 모여서 만들어진 전자제품 무덤이 ... ...
- Intro. 씨 없는 수박부터 바이오 연료까지! 수박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안녕? 반가워. 우린 수박씨 가족이야. 조금 전 ‘쩌억~!’ 하는 소리가 들리더니 세상이 밝아졌어. 저기 하얗고 커다란 건 뭐지? 으…, 으악~! 이빨인가 봐! 우선 도망부터 가야겠어! 수박씨 살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씨 없는 수박부터 바이오 연료까지! 수박의 변신Part 1. [변신 1단계] 남 ... ...
- Part 1. [변신 1단계] 남아프리카에서 전세계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시작했거든요. 나머지 두 종류는 단맛보다 쓴맛이 강해서 주로 씨앗을 개량하기 위한 연구나 가축 사료용으로 길러져 왔답니다.◀ 사람이 재배하기 전의 야생 수박은 지름이 5cm 정도, 당도가 2~6브릭스 정도인 작고 쓴 열매였다. 또 지금의 수박과 달리 하얀 과육이 특징이다.시트룰러스 라나투스는 ... ...
- Part 3. [변신 3단계] 수박으로 움직이는 자동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거란 의견도 있어요. 새로운 식물 품종을 개발하는 기업인 신젠타코리아 최필립 책임연구원은 “미국이나 아프리카, 인도 등 노지에서 수박을 재배하는 경우엔 버리는 수박이 많아 효율적인 기술이 될 것”이라고 말했어요.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대부분 하우스에서 수박을 재배하며, 수박 중 95% ... ...
이전6616626636646656666676686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