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장
사고
공사장
뉴스
"
현지
"(으)로 총 8,028건 검색되었습니다.
알프스산에서 2억 4000만년전 도마뱀 조상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31
화석의 주인이 약 2억 4300만년 전 살았던 이궁류 파충류 동물의 조상 동물임을 확인, 30일(
현지
시각)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먼저 이궁류 파충류가 뭔지 알아보자. 현생 파충류는 인룡류(lepidosauris)에 속하며, 꼬리를 자르거나 겹겹이 쌓인 비늘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인룡류는 다시 크게 ... ...
日 후생노동성, 심장 질환에 유도만능줄기세포 치료 세계 최초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18.05.30
후생노동성이 심장 질환 환자 3명에 대한 유도만능줄기(iPS) 치료를 승인했다고 네이처 및
현지
언론들이 보도했다. 체세포를 역분화시켜 만든 iPS 세포를 심장 질환 치료에 적용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iPS 세포는 이미 분화를 마친 피부와 같은 신체 조직의 체세포를 역분화시켜 만든 줄기세포다. ... ...
고산증 걸리는 이유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9
체류하는 혈류량이 늘고, 심장 박동을 통해 몸 전체로 퍼지는 혈류량은 줄어든다고 28일(
현지
시각) 학술지 ‘생리학’에 발표했다. 화이트산연구센터 전경-Cardiff University 제공 연구팀은 12명의 건강한 참가자를 대상으로 해수면 높이와 약 3800m 높이 모두에서 휴식을 취할 때와 최대치로 운동을 ... ...
하늘에서 떨어진 총
팝뉴스
l
2018.05.29
제공 미국 워싱턴주의 한 교통 경찰관이
현지
시간 25일 트위터에 공개한 사진이다. 자동차 범퍼에 뭔가가 꽂혀 있다. 총이다. 아주 이상하고 확률 낮은 일이 벌어진 것이다. 운전자는 차를 몰고 고속도로를 달리고 있었다. 그런데 검은 물체가 나타나 차에 부딪히는 소리가 들렸다. 30km를 더 가다 ... ...
젖은 시멘트에 빠진 자동차
팝뉴스
l
2018.05.28
게 상식. 도로가 잘 정비된 도심에서도 마찬가지다. 위는 미국의 클리브랜드에서
현지
시간 24일 촬영된 사진이다. 아무 생각 없이 평소처럼 차를 몰다가 방향을 틀었다. 그런데 아뿔싸 공사 중이었다. 방금 시멘트를 쏟아 부었다. 차는 미끄러지듯이 공사 현장에 진입했지만 바퀴가 곧 ... ...
사람을 추격한 돼지
팝뉴스
l
2018.05.24
제공
현지
시간 20일 미국 오하이오 노스릿지빌 경찰서가 페이스북에 공개한 사진이다. 돼지가 경찰차를 타고(?) 있다. 카메라를 보는 눈빛이 예사롭지 않다. 대단히 불쾌하거나 공격 의지를 품고 있는 것 같다. 경찰에 한 남자가 다급히 전화를 했다. 돼지가 귀가 하는 자신을 추격하고 있으니 ... ...
살아있는 생물에서 양자효과 첫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18.05.22
특성을 생물체에서 확인했으며 그 효과가 광합성에 도움을 준다는 연구결과를 21일(
현지
시각) 학술지 ‘네이처 화학’에 발표했다. 박테리아의 분자복합체에서 양자중첩이 일어나는 것을 묘사했다 녹색원과 노란원으로 표현된 두개의 분자복합체가 외부에서 온 빛에 의해 양자중첩이 ... ...
현대인 두뇌의 절반 크기 ‘초기인류 뇌’ 미스터리 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1
4만 년 전 멸종한 네안데르탈인의 미니 뇌를 복원하는 프로젝트에 착수했다고 11일(
현지
시간) 밝혔다. 현대인 피부세포에서 유래한 유도만능줄기(iPS) 세포에 네안데르탈인의 DNA를 넣은 뒤, 신경세포로 분화시켜 배양해 콩알만 한 크기의 뇌 인공세포체(오가노이드)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폐보 교수는 ... ...
국내 연구팀, 집단지성으로 ‘뇌 지도’ 발판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1
뇌에 전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 결과는 생명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셀’ 17일자(
현지
시간)에 발표됐다. 김 책임연구원팀은 이 연구가 신경절세포 손상에 의해 발생하는 녹내장 등 질병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배경에는 더 큰 목적이 있다. 장차 시각 특화 뇌지도를 ... ...
어두워지면 변하는 ‘두 얼굴의 반도체’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18.05.21
빛의 유무에 따라 강도와 유연성이 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 밝혀 사이언스 17일자(
현지
시간)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일반적인 백색 가시광선과 자외선, 칠흑 같은 어둠 속에 황화아연 결정(일부 고체에서 발견되는 규칙적인 구조)을 두고 힘을 가해 강도와 유연성을 실험했다. 그 결과 ... ...
이전
662
663
664
665
666
667
668
669
6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