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반"(으)로 총 7,844건 검색되었습니다.
- 1. 액정화면 내장배터리 칩세트과학동아 l1991년 05호
- 디스켓을 수용하는 플로피디스크드라이브(FDD)가 보통 하나 내장돼 있으며 HDD는 20MB가 일반적인 수준. 최근에는 40MB 신제품도 선을 보이고 있다.하드디스크를 대체할 제품으로는 최근 IC카드가 주목받고 있다. 하드디스크는 아무래도 충격에 예민하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의해 노트북이 고장나는 ... ...
- 3. 하반기 판매경쟁 치열할 듯과학동아 l1991년 05호
- 설명에 그는 고개만 끄덕일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서류철 크기의 노트북이 일반 개인용 컴퓨터가 가진 모든 기능을 갖추고 있다니 놀랄 수밖에 없었다. 땅값이 비싼 일본인지라 조금이라도 공간을 절약하려는 그들의 노력도 감탄할만 하지만, 5년이내에 제품의 라이프사이클(life cycle)이 바뀌는 ... ...
- 깜빡 잊기쉬운 컴퓨터 액세서리과학동아 l1991년 05호
-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리본은 대부분 카트리지와 잉크를 수입해 이를 조립한 것이다.일반적으로 프린터용으로 제작된 리본은 직물을 사용, 제작한 것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재질은 나일론이다. 나일론 리본은 6원단과 66원단으로 구분되는데, 6원단의 경우 코오롱 선경 등 국내사에서 공급하고 ... ...
- 쌍안경활용법 봄철의 은하여행과학동아 l1991년 04호
- 관측할 수 있는 은하나 산개성단 구상성단은 모두 메시에분류에 들어가 있어 일반인들에게는 메시에분류가 더 익숙하다.은하의 분류은하는 보통 모양에 따라 나사선(spiral)은하, 봉나사선(spiral bar)은하, 불규칙(irregular)은하, 타원(ellipse)은하로 분류한다. 나사선은하중 팔이 짧은 것은 Sa, 팔이 길어 ... ...
- 3 매킨토시 제품의 계보 애플신화는 재현되고 있는가?과학동아 l1991년 04호
- 것이다.이와 더불어 IBM PC의 그래픽 강화 추세와 함께 윈도즈 3.0의 위협, 넥스트의 출현, 일반 PC 사용자들의 기대치상승 등 매킨토시가 헤쳐나가야할 장벽은 요소요소에 포진해 있다고 하겠다 ... ...
- 모기의 침에 도전한다과학동아 l1991년 04호
- 보여주는 것이다. 2천년대에는 많은 미소기기가 실생활에 출현할 것이다.형상기억합금일반적으로 금속은 한번 휘어지거나 망가뜨려지면 원래의 모습을 회복하지 못한다. 그런데 형상기억합금은 어떤 일정한 형상을 기억했다가 조건(온도 등)이 맞으면 기억한 형상대로 되돌아오는 금속을 말한다. ... ...
- 지구 심부의 움직임을 읽어낸다과학동아 l1991년 04호
- 수정 머컬리 진도계급(modified Mercalli intensity scale)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지진의 강도라는 말은 이 등급에 의한 분류다. 한편 규모는 지진발생시에 방출되는 에너지의 양을 나타내는 척도로 관측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지진 안전지대 아니다우리나라의 경우는 다행스럽게도 주 ... ...
- 2 매킨토시의 응용분야 탁상출판과 멀티미디어 개념 창조과학동아 l1991년 04호
- 일종의 간단한 스크립트 언어를 가지고 있어서 사용자가 직접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데,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언어에 비해 훨씬 간단하고 능률적이다. 이외에 원하는 그림이나 사운드 데이터를 제한 없이 불러 사용하는 기능이 있으므로 교육용 소프트웨어를 작성하는데 매우 편리하다. ... ...
- 납자루가 말조개에 알을 낳는 이유과학동아 l1991년 04호
- 정해져 있듯이 어류에 유생을 달라붙이는 패류도 특수한 무리가 있다. 이들 패류는 일반적으로 두꺼운 껍질을 갖고 있으며 껍질이 돌같이 딱딱해 석패과(石貝科)로 불린다. 이들은 강과 호수에 서식하고 있으며 껍질이 두장인 이매패다. 대동강에만 사는 것으로 알려진 백합말조개를 포함해 ... ...
- 1. 과학고 KAIST는 과학자의 산실인가?과학동아 l1991년 04호
- 많이 수행하고 있으며, KAIST교수들은 프로젝트에 매달리기에도 바쁘다. 그래서 일반 대학원에서는 '과학자'를 양성하고 KAIST에서는 '기술자'를 기른다는 얘기도 나돌고 있다. KAIST석박사의 졸업논문중에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다가 부수적으로 얻은 것이 많다.한국과학의 큰 산인 KAIST는 벌써 20년의 ... ...
이전6636646656666676686696706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