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뉴스
"
대학
"(으)로 총 10,349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의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사회약학 분야 보건의료 전문가
연합뉴스
l
2019.03.08
이의경 신임 식품의약품안전처장 이의경(57) 신임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사회약학을 전공한 보건의료계 대표적인 여성 학자다. 서울 출신으로 서울
대학
교 약학
대학
... ▲ 한국보건의료기술평가학회 회장 ▲ 숙명여자
대학
교 임상약학
대학
원 교수 ▲ 성균관
대학
교 제약산업학과 교수 ... ...
[개각] 정치인 장관 최소화, 전문가 다수 등용...현정부 최대 7부처 개각
동아사이언스
l
2019.03.08
소집하는 지독한 일벌레”라는 평이 나온다. 해양수산부 장관에는 문성혁 세계해사
대학
교(WMU) 교수가 임명됐다.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노무현 대통령 시절 문화관광부 차관 출신인 박양우 전 차관(중앙대 교수)이 임명됐다. 통일부 장관은 김연철 통일연구원장, 국토교통부 장관에는 최정호 전 ... ...
[개각] 5G 상용화·과기계 인사 논란 숙제 '수두룩'
2019.03.08
있는 과기정통부 산하 출연연구기관의 역할과 비전을 제대로 설정하고 기업이나
대학
이 하기 어려운 연구를 해나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도 조동호 장관 후보자의 과제다. 당장 신임 기관장 선임이 미뤄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한국원자력연구원 신임 원장을 임명해야 한다. 특히 ... ...
치아에 고주파 쏴… 방사선 피폭량 간단히 측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8
측정을 한다. 손상 우려가 없다는 게 장점이다. 윤신영 기자 예성준 서울대 융합과학기술
대학
원 교수와 박종인 최권 연구원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이 기술을 독자 개발했다. 기존 기술은 치아를 뽑거나 일부를 떼어낸 뒤 가루를 내서 측정해야 해 환자의 고통이 심했다. 하지만 연구진이 개발한 ... ...
“미세먼지, 천식 유발하고 피부노화-정신질환에 직접 관여”
동아사이언스
l
2019.03.08
일으키는 물질인 활성산소를 생성해 피부 노화를 유발한다고 추정했다. 2월 서울대 보건
대학
원과 경기 성남시 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은 초미세먼지에 자주 노출되면 정신 질환 발병률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환경연구’에 공개했다. 연구팀은 2003∼2013년 우울증과 조현병으로 ... ...
여성 과기인 많아 보였는데... “20% 선 이제야 돌파”
동아사이언스
l
2019.03.07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과제 책임자 가운데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기관은 이공계
대학
(5.2%)였고, 민간기업 연구기관(2.6%)와 공공연구기관(2.4%)가 뒤를 이었다. 여성 과학기술인의 신규채용 비율은 전년보다 0.2%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정규직 여성의 채용 비율은 전년 22.2%에서 2017년 23. ... ...
바이오·수소 혁신성장과 기초연구에 20조...3월 5G 상용화는 불투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3.07
이공계 연구중심
대학
을 육성해 혁신인재 성장을 지원하고 올 하반기 신설되는 AI
대학
원 3곳과 이노베이션 아카데미 등으로 산업현장에 투입할 실무형 인재 수천 명을 양성한다. 소프트웨어 선도학교를 확대하고 창업과 연구소기업 설립도 지원한다. 어린이와 고령자, 장애인 등을 위한 교육을 ... ...
KIST 단장에 류훈 보스턴 의대 교수 영입 “역중개 연구로 뇌질병 원인 밝힐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3.06
유전체 표적치료제 개발에 힘써왔다. 류 교수는 전북대에서 학∙석사를 받았고 1999년 동
대학
원 신경내분비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미국 하버드대 의대에서 박사후연구원과 강사로 재직하다 2004년부터는 미국 보스턴대 의대 신경학과 교수로 일해왔다. 총 23년간 해외에서 연구를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 날개의 등장은 필승 전략이었다
2019.03.06
3). Alma. -禹建錫 外. 昆蟲分類學(2005). 集賢社. ※ 필자소개 이강운 곤충학자 서울대
대학
원을 졸업했다. 현재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장, 서식지외보전기관협회장이며 국립인천대 매개곤충 융복합센터 학술연구 교수를 맡고 있다. 과학동아에 ‘애벌레의 비밀’을 연재했다. 2015년 《한국의 ... ...
동물은 왜 잠을 잘까…"수면 중 신경세포 DNA 손상 수리"
2019.03.06
손상이 수리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바르일란대/David Zada 제공 이스라엘 바르일란
대학
(BIU) 리오르 아펠바움 교수팀은 6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서 실험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제브라피시의 신경세포 내부변화를 지속해서 관찰할 수 있는 타임랩스(time-lapse) ... ...
이전
663
664
665
666
667
668
669
670
6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