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뉴스
"
큰
"(으)로 총 14,439건 검색되었습니다.
KAIST 자문 받는 소부장 기업 30곳…"소재·장비에 집중"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제품으로 일본 기업이 장악하고 있는 장비 시장을 대체할 수 있는 중요한 장비지만, 아직
큰
장비를 개발할 때엔 어려움이 많다. 레이저의 균일도를 높일 필요성이 제기된 것이다. 레이저쎌은 지난 8월 국내 최초로 KAIST에 설립된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문단에 자문을 요청했다. 1차 자문 뒤 전문가의 ... ...
자외선까지 전기로 바꾸는 태양전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응용 연구는 차세대 하이브리드 태양전지 양산화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나노스케일’ 지난달 28일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 ...
버려지던 목재폐기물 '리그닌' 고부가가치 물질로 거듭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그 결과 리그닌은 물을 싫어하는 물질끼리 뭉치려는 힘인 ‘소수성 상호작용’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로 인해 리그닌이 포함된 수용액에 소금을 넣어주면 리그닌의 응집력을 조절할 수 있음을 밝혔다. 소금이 리그닌 분자 표면에 달라붙으며 리그닌 분자끼리 뭉치려는 힘을 ... ...
굿바이 2019, 과학동아 선정 과학기술 10대 뉴스
과학동아
l
2019.12.30
한번 망가지면 재생할 수 없다고 알려진 신경세포를 살려냈다는 점에서 과학계의
큰
관심을 끌었습니다. 이 연구를 발전시키면 사지마비 환자의 신경세포를 되살릴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이 연구는 죽음에 대한 생물학적인 정의도 곱씹어 보게 했습니다. 그간 생물의 삶과 죽음의 경계는 뇌 기능 ... ...
백두산 분화땐 지진 피해보다 한반도에 ‘화산재 공포’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분화 시 이 돌이 사방으로 튈 가능성도 크다. 천지는 최대 깊이가 380m 이상인
큰
호수로 안에 20억 t에 이르는 물이 있다. 이 안에는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가 액체 상태로 가라앉아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교수는 “분화로 천지 물이 넘치면 이산화탄소가 유출될 수 있는데 반경 50km의 생물은 ... ...
2020년은 ‘우주쇼’의 해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수 있다. 두 천체가 이 정도로 가깝게 붙은 모습으로 보인 것은 20년만이다. 내년 가장
큰
보름달은 4월 8일 달이 지기 직전인 오전 6시 24분에 나타난다. 반대로 가장 작은 보름달은 10월 31일 보름달이 될 전망이다. ... ...
"우리의 밤하늘이 위험하다" 새해 수 천대 위성 발사 앞두고 천문학자들 또 비판
동아사이언스
l
2019.12.29
정도로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원웹에서는 천체 관측을 방해하지 않도록, 전파 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궤도인 약 1200km 상공에 인공위성을 쏴올릴 계획이다. 원웹 ... ...
새해 AI 학습용 데이터 20종, 6000만 건 민간에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9
제공했고, 올해는 10종 2500만 건을 추가로 제공했다. 새해에는 이보다 규모가 2배 더
큰
20종, 6000만 건 이상을 추가로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유튜브 등 동영상 데이터 사용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어, 대용량 동영상 데이터의 비중을 높일 계획이다. 고성능 컴퓨팅 자원을 올해보다 4배 이상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갈팡질팡은 성장하고 있다는 증거
2019.12.28
한다. 그 이유로 많은 아이들이 다음과 같은 사고과정을 거친다고 한다. 우선 빼기란
큰
것에서 작은 것을 빼는 것이다. 3이 1보다 크니까 우선 3에서 1을 빼자. 그럼 2가 나온다. 남은 숫자로는 3과 7이 있는데 7이 3보다 크다. 그러니까 7에서 3을 빼면 답은 4다. 따라서 24가 정답인 것이다. 틀린 ... ...
[주말N수학]"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엔 고교 수학이 들어있죠"
수학동아
l
2019.12.28
IT 관련 일을 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대학에서 의료IT공학을 전공한 것이 가장
큰
동기다. 다양한 센서를 이용해 건강 정보를 수집하고 적용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경험을 했다. 다만 전공의 특성상 영역이 너무 넓기도 하고, 입사 직후 전체 프로젝트의 진행을 맡기는 업체는 거의 없어 진로에 ... ...
이전
663
664
665
666
667
668
669
670
6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