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결과"(으)로 총 7,205건 검색되었습니다.
- 개코보다 코끼리 코! KISTI l2015.08.18
- 라스카 교수팀은 아시아 코끼리 세 마리를 대상으로 후각능력이 얼마나 정밀한지 연구한 결과를 2012년 12월 학술지 ‘화학감각(Chemical Senses)’에 발표했다. 원소의 종류나 위치가 한두 개 정도만 달라 화학구조가 매우 비슷한 냄새 분자 2개를 각 통로에 흘린 뒤, 먹이가 있는 곳의 냄새를 맞출 수 ... ...
- 합리적인 에너지 관리를 통해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에너지이용 합리화법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8.18
- 공공기관은 5년마다 에너지진단전문기관으로부터 에너지진단을 받아야 하며, 진단결과에 따라 에너지절약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특히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고효율 에너지 기자재 보급촉진에 관한 규정에 따라 고효율에너지 기자재 인증제품 또는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제품을 우선 구매해야 ... ...
- 잃어버린 효모의 기원을 찾아서2015.08.17
- 정상 효모를, 다른 한쪽은 ATF1 효소가 고장난 돌연변이 효모를 넣어 발효를 했다. 그 결과 둘 다 정상적으로 알코올 발효가 일어났지만 돌연변이 효모가 들어간 쪽은 향이 훨씬 약했다. 예상대로 양쪽에 각각 배양접시를 둔 뒤 초파리를 풀어주자 초파리들은 정상 효모가 발효시킨 쪽으로 몰려들었다 ... ...
- 이중삼중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원자력 안전 규제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8.13
- 한은 의심이 들기 마련이다. 그래서 모든 사람들이 원자력 안전관리의 세세한 과정과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원자력안전정보공개센터(nsic.kins.re.kr)가 준비되어 있다. 국민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안전정보와 각종 원자력과 방사선 심사, 검사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 본 기사는 ... ...
- 전염병의 제왕, 천연두를 박멸하기까지KISTI l2015.08.11
- 어린이 40여 명에게 접종했고, 이것이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실시된 우두 접종이었다. 결과는 성공이었지만, 부산에서 가져온 두묘는 곧 바닥을 드러냈고, 지속적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접종하기 위해서는 두묘 제조기술이 필요했다. 지석영은 1880년 김홍집이 수신사로 일본에 갈 때 수행원 자격으로 ... ...
- 종교는 과학을 도울 수 있을까?2015.08.10
- 미력한 존재인 인간은 지구를 덥게 할 능력도 없고(따라서 지구온난화는 인간활동의 결과가 아니다) 인간이 지구에 대한 신의 계획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생각을 품는 자체가 오만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환경보호가 결국은 인류복지를 증진하는 길이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범국가적인 노력과 ... ...
- 봉한선과 림프선2015.08.03
- 보여준다. 왼쪽은 기존 인체 림프계 분포지도이고 오른쪽은 이번 버지니아대 연구팀의 결과를 반영한 새 림프계 지도다. 소 교수는 “그렇게 오랫동안 알려진 림프관조차도 뇌에 존재한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며 림프관의 10분의 1에 불과한 프리모관(그 사이 봉한관에서 이름이 바뀌었나보다 ... ...
- 셰일가스, 물과의 전쟁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7.31
- 영스타운의 셰일가스 시추정 주변에서 발생한 지진을 휴대용 지진계로 직접 측정한 결과 14개월 동안 무려 109회(규모 0.4~3.9)나 발생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지하에 주입한 물이 단층면으로 흘러들어 마찰력을 약화시키는 바람에 지진이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문제는 셰일가스가 ... ...
- 분단 70년, 과학 용어 비교..."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동아사이언스 l2015.07.28
- 것은 과학 용어뿐만이 아니다. 남북한은 그동안 각기 다른 과학기술정책을 펴왔다. 그 결과 과학기술 역량이나 강점 분야, 과학 인력 인프라 면에서 큰 차이가 벌어졌다. 북한 과학계의 현 주소를 짚어보는 것은 통일 이후 북한과 새로운 과학기술 협력관계를 맺기 위한 든든한 준비 과정이 될 ... ...
- 머리 겔만과 펜타쿼크2015.07.27
- 여전히 에이스(쿼크)를 인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쿼크의 존재를 지지하는 이론과 실험결과가 이어졌고(아쉽게도 에이스란 용어는 쿼크에 밀렸다) 1969년 겔만은 단독으로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팔중도가 주된 업적이었지만 쿼크도 큰 역할을 했을 것이다. 1970년대 들어 양자색역학이 확립될 ... ...
이전6636646656666676686696706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