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장"(으)로 총 17,302건 검색되었습니다.
- BRIDGE 입자물리학 119년의 역사과학동아 l2014년 01호
- 파란색은 관련한 이론의 발전사다.붉은색은 주요한 실험장비, 특히 입자물리학의 가장 강력한 무기인 가속기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스터리 입자 헌터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Bridge. 입자물리학 119년의 역사Part 2. 한국인이 제안한 미스터 입자3Part 3 '코리아늄' ... ...
- Part 2 한국인이 제안한 미스터 입자3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질량이 1~1000μeV 사이일 것”이라고 말했다. 표준모형에서 가장 가벼운 입자인 전자중성미자(2.2eV)보다 2000~200만 분의 1 가벼운 수준이다.문제는 입자의 세계에서는 이렇게 가벼우면 움직이는 속도가 매우 빨라야 한다는 점이다. 그런데 액시온은 아주 느리다. 김 교수는 “입자가 하나만 움직인다면 ... ...
- 초파리는 경쟁자 앞에서 더 뜨거운 사랑을?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초파리 뇌의 10만여 개 세포 중에서 18개에 불과했다.김우재 박사는 “수컷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의 유전자를 후대에 남기는 일로, 이러한 교미 시간 변화는 종족 보존의 전략일 것”이라며, “이번 연구는 하등동물인 초파리가 복잡한 환경을 인식하면서 행동한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고 ... ...
- 네이처가 선정한 2013년 10대 인물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네이처는 2013년 과학계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10명의 인물을 선정해 12월 19일 발표했다. 네이처는 특히 각 인물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별명을 하나씩 선사해 눈길을 끌었다. 이번에 뽑힌 10명 중에서 5명이 생물분야 관련자며, 아시아계는 2명이다. ...
- ‘우주 최초의 빛’이 틀렸다고?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약 38만 년이 지난 후 나타난 ‘우주 최초의 빛’이 남긴 흔적이다. 우주배경복사는 가장 오래된 우주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기 때문에 정밀하게 측정하려는 노력이 계속됐다. 그동안의 측정결과 우주는 ‘약 137억 년의 나이, 물질 5%, 암흑물질 24%, 암흑에너지 71%의 우주 구성 비율’로 알려졌다 ... ...
- 비트코인도 털린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사토시 나카모토는 비트코인의 거래 장부가 오류 없이 투명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데 가장 큰 공을 들였다. 이를 위해 ‘비잔틴 제국들의 딜레마’로 유명한 컴퓨터공학 알고리듬을 이용했다(51쪽 ‘비잔틴 제국들의 딜레마’ 박스 기사 참조). 덕분에 모든 이용자가 최초의 비트코인 거래부터 최근 ... ...
- 그들은 어떻게 과학을 지배하고 있나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전문성, 학문별 특이성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차별화를 했기 때문이다.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잡지’?사이언스는 미국과학진흥협회(AAAS)가, 네이처는 영국의 네이처출판그룹에서 발행하는 주간 ‘과학잡지’다. 두 학술지는 ‘잡지’라는 성격을 내세우기 때문에 최대한 대중성을 표방한다. ... ...
- 지구 반대편에 있는 가족의 뺨을 만지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촉각을 느끼셨을 겁니다. 이런 예민한 촉각을 기술로 재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가장 좋은 방법은 인공촉각을 그림과 함께 제시해서 뇌를 속이는 것입니다. 눈을 가리고 물건을 만지면 어떤 물건인지 알아차리기 쉽지 않습니다. 촉각은 시각에 ‘매여’ 있다는 이야기지요. 반대로 촉각 재현 ... ...
-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과학동아 l2014년 01호
- 가속팽창이 과연 우주상수 때문인지 아닌지를 확실하게 밝히는 것도 21세기 물리학의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다(암흑에너지에 대해서는 2013년 12월호 특집 참조).이런 이유 때문에 표준모형은 (만약 그런 것이 있다면) 물리학의 궁극적인 이론 또는 최종이론과는 거리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 ...
- PART2. 화성여행의 비결은 겨울잠과학동아 l2014년 01호
- 각성기 1일 포함 총 5일 동안 겨울잠을 자게 하는데 성공했다. 지금까지 발표된 연구 중 가장 오랜 기간이다. 실험을 마친 후에 후유증도 없었다. 현재는 동면기간을 더 연장하는 방안과 좀더 큰 포유동물에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또 겨울잠을 자는 동물에게 있을 것으로 보이는 다른 ... ...
이전6646656666676686696706716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