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이런 대학 또 없습니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이 내년 2월, 첫 학부 졸업생을 배출한다.2004년 첫 삽을 뜬 지 14년 만이다. DGIST는 2011년 석·박사 학위과정을 개설하고 ... 있어야 변호사와 투자자, 팀원 등 여러 사람의 의견을 제대로 조율할 수 있다”며 “1, 2학년 때 들었던 인문학 과목이 도 ...
- [Culture] ‘가짜 나’를 버리고 ‘진짜 나’를 찾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포인트’, ‘인성본성탐구 및 인성본 성회복’ 등 인성교육 강좌를 KAIST에서 열었고, 작년부터 전인교육학회 회 장, 미래 교육 소사이어티 창립멤버로 활동 중이다. djlee@kaist ... ...
- Part 6. 무한은 칸토어가 만든 낙원수학동아 l2017년 10호
- 교수는 새로운 공리 없이도 두 무한집합의 크기가 같음을 보였다. 문제가 나온 지 50년만의 일이다. 2017년 7월 5일, 유럽집합론학회는 무한집합의 크기를 비교하는 새로운 방법을 발견한 두 교수를 하우스도르프 메달 수상자로 발표했다. 독일 수학자 펠릭스 하우스도르프의 이름을 딴 이 메달은 최근 ... ...
- [수학공감] 수학 교육을 바꾸다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이해하고, 마지막으로 정이십면체 같은 입체도형을 만드는 게 목표였다. 관교여중 1학년 김세령양은 “무언가를 만드는 수업이라 다른 수업보다 재미있어요”라고 말했다. 학생들마다 만드는 속도가 다르지만, 느린 학생에게 빨리 만들라고 재촉하지 않는다. 중간·기말고사를 보지 않고 진로 ... ...
- [과학뉴스] 지구 최초의 동물은 빗해파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주인공인 해면동물이 지구상 최초의 동물일 거라고 생각했어요. 우선 해면동물은 5억 년 이상 된 화석이 발견돼요. 게다가 구조가 매우 단순해서 먹이가 적거나 산소가 희박한 지역에서도 살 수 있지요. 그런데 2008년, 해면동물이 아닌 빗해파리가 지구 최초의 동물이라는 새로운 주장이 나왔어요. ... ...
- [과학뉴스] 수천만 년 전 원숭이의 적혈구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포유류에게 치명적인 질병 중 하나랍니다.연구를 이끈 조지 포이너 교수는 “수천만 년 전 포유류의 적혈구를 발견했을 뿐만 아니라, 기생충의 감염을 직접 확인할 수 있어 더욱 놀라웠다”고 말했어요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오로라의 충격 고백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원반의 가장자리에는 얼음벽이 둘러쳐져 있다고 주장했어요. 이후 그의 뜻을 이어 1956년부터 지금까지 평평한 지구 학회가 운영되고 있어요. 현재 홈페이지에 555명의 회원 명단도 공개하고 있지요.●곡률 : 곡선 또는 곡면이 휜 정도. 평평한 지구에서는 지구 끝으로 가면 낭떠러지로 떨어지고 만다 ... ...
- Part 1. [첫 번째 사연] 동물들이 죽고 있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2달이 채 지나지 않은 3월 7일, 뱅갈 호랑이 한 마리가 악성용혈성빈혈로 또 죽었지요.2016년에도 기린 한 마리가 무릎 관절염으로, 맨드릴이 전립선비대증과 췌장 출혈로 죽음을 맞이하며 동물원이 동물 관리를 잘못한 것 아니냐는 질타를 받았답니다. 호랑이, 기린, 맨드릴 모두 야생에서 살 때의 ... ...
- Part 3. [안내] 사람과 동물 모두를 위한 인공 음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앉기와 일어서기만 할 뿐 몸을 돌릴 수도 없지요. 결국 운동 능력이 퇴화된 돼지는 3~4년을 살다 도축장으로 가요.밀폐된 공간에서 많은 수의 동물을 기르면 전염병도 빠른 속도로 퍼져요. 그래서 구제역과 조류독감이 발생하면 살아 있는 수십만 마리의 동물을 ●살처분해야 하지요. 실제로 지난 해 ... ...
- [과학뉴스] 토스터 크기 검출기로 ‘유령 입자’ 검출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거의 없는 중성미자의 파동이 물질의 원자핵과 부딪혀 핵이 밀려나는 현상이 예측된 지 43년 만에 최초로 관측됐다. 중성미자는 물질과 거의 반응하지 않아 ‘유령 입자’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비활성 중성미자는 암흑물질의 유력한 후보이기도 하다. 미국, 러시아 등 4개국 80명의 공동연구팀은 ... ...
이전6646656666676686696706716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