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1. 하루 리듬 지배하는 생체시계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분비되지 않는다. 따라서 밤잠을 설치며 무리하게 공부하는 어린이들이 흔히 키가
작은
이유를 어느 정도 설명할 수 있다.세포의 활동을 자극하는 코티손 역시 대표적인 주기성 호르몬이다. 신장 옆에 달린 부신에서 분비되는 이 호르몬은 잠자는 동안 이른 새벽에 분비량이 증가해 아침 6-8시가 되면 ... ...
내 몸의 건강지표 소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채에 혈액을 흘려보내서 굵은 물질들만 혈관 내에 남겨두고, 수분과 거기에 녹아 있는
작은
물질들을 통과시키는 것과 같다. 이 과정을 여과라 하고, 여과된 액체를 여과액이라고 한다.하루에 만들어지는 여과액은 1백80L나 된다. 이를 분당으로 환산하면 1분에 약 1백20mL인 셈이다(콜라 반병 정도). ... ...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장점만 살린다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아날로그식으로 나눠져 있었기 때문이다.새롭게 태어나는 꿈의 음질오디오의 앰프는
작은
음향신호를 큰 신호로 바꿔 스피커를 구동시킴으로써 소리를 확대 재생하는 장치다. 그런데 아날로그식은 원음이 그대로 재생되지만 입력에 대한 출력의 비율인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반면 ... ...
입안에서 사르르 아이스크림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8×${10}^{6}$개의 얼음결정, 8×${10}^{6}$개의 공기 입자가 들어있다. 즉 눈에 보이지도 않는
작은
입자들이 서로 어우러져 차갑고 부드러운 맛을 만들어 낸 것이다.공기 반 아이스크림 반재료에 포함되기는 어렵지만 아이스크림을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1등 공신은 사실 공기다. 이용현박사(롯데삼강 ... ...
왕가의 가족회의 세페우스자리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사이에 있다. 조랑말자리는 88개 별자리 가운데 남십자자리에 이어 하늘에서 두 번째로
작은
별자리로, 가장 넓은 바다뱀자리의 17분의 1에 지나지 않는다. 원래 신화와 함께 전해 내려온 오래된 다른 별자리들과 달리 기원전 127년 히파르쿠스가 새로 만든 별자리여서 연관된 신화가 없다. 전령의 신 ... ...
환경재앙 경고한 카슨의 '침묵의 봄'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1958년 1월 허킨스라는 여자가 보낸 한통의 편지 때문이었다. 그녀가 소중하게 생각하는
작은
세상에서 생명의 모습이 사라지고 있다는 슬픈 사연이었다. 카슨은 그녀의 이야기에 감동을 받아 살충제와 같은 화학물질이 어떻게 자연을 파괴하고 있는지 조사했다. 그 결과물이 ‘침묵의 봄’이다 ... ...
억겁과 천재일우의 의미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수백만 인구로 생각할 수 있다. 현재 중국의 인구는 십수억을 헤아리지만 고대에는
작은
소국으로 나뉘어 있었고 인구도 훨씬 적었을 것이니 억조창생이라 해도 그리 많은 인구는 아니다. 만일 오늘날처럼 10의 4승 단위법으로 보면 억조는 수억(${10}^{8}$)-수조(${10}^{12}$)의 인구가 돼버리므로 수가 ... ...
수학사의 미스터리 마방진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9행 9열 대각선의 합이 3백69로 같음은 물론 이를 이루는 9개의 숫자로 이루어진 9개의
작은
셀(cell)이 다시 마방진을 이루는 특이한 구조로 돼 있다.직교 라틴방진은 종횡으로 숫자가 겹치지 않게 배열하고 이러한 배열 두 쌍을 결합시켰을 때에도 겹치는 숫자쌍이 없는 방진이다. 최석정은 그의 ... ...
10대들의 고민 여드름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성기가 발육하는 것을 도와주는 주 호르몬이다. 남성 호르몬이라고 부르지만 여성에게도
작은
양이 분비된다.누구나 겪는 성인신고식안드로겐은 피부의 지방샘(피지선)에서 더 많은 피지가 만들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피지가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털구멍 내에 남아있으면 여드름의 주증상인 ... ...
① 신종 괴질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했다. 전남 해안에서 채취한 모기 중에서 일본뇌염을 옮기는 ‘
작은
빨간 집모기’를 발견했기 때문이다. 일본뇌염은 치사율이 30%에 달하며, 완치 후에도 기억상실이나 언어장애와 같은 심각한 후유증을 낳는다. 일본뇌염 환자는 1994년 3명이 발생한 뒤 3년 동안 발병사례가 ... ...
이전
664
665
666
667
668
669
670
671
6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