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경로
경과
코스
절차
단계
진행
d라이브러리
"
과정
"(으)로 총 11,556건 검색되었습니다.
1998년 이서구 교수의 활성산소 신호전달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소모할 수 있습니다.”빨리 인정받고 싶은 조급함을 극복하고 과학적 호기심을 밝히는
과정
을 즐긴 이 교수의 ‘쿨’한 자세가 오늘의 그를 있게 한 원동력 아닐까 ... ...
디지털 캐릭터에 생명 불어넣는 CG 기술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속내를 들여다보면 ‘수학전산대학원’에 가깝다. 홍익대 미대 출신의 석사
과정
유미 씨는 비주얼미디어랩에 진학한 뒤 대학 수학과 프로그래밍 공부를 다시 시작했다. 틈틈이 해부학 책도 들여다봐야 한다. 열정 없이는 어렵다.때문에 1년 밖에 안된 신생 연구실이지만 비주얼미디어랩의 실력은 ... ...
문학적 상상력으로 허수 정복하기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채 수학문제풀이를 외우는데 시간을 낭비하기보다는 수학의 개념이 탄생한 배경과 그
과정
을 설명한 이런 책을 읽는 게 ‘수학선수’가 되는 지름길이 아닐까.배리 마주르미국 하버드대 수학 교수인 저자는 1937년 뉴욕에서 태어났다. MIT를 거쳐 프린스턴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25세에 하버드대 ... ...
PART1. 공부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공부를 한다는 것은 뇌가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고, 이해하고, 외우며 생각하는 모든
과정
을 말해. 그러니까 공부할 때 가장 고생하는 건 글씨 쓰기 바쁜 손가락이나 의자에 계속 붙어 있는 엉덩이가 아니라 바로 우리 머릿속에 있는 뇌였다구 ... ...
반도체 나노 조각가, 플라스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묻어있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예전에는 화학물질을 처리해 세정했지만 그
과정
이 번거로운데다 몸에 해로운 세정액으로 인해 골칫거리다. 그런데 기판 표면에 플라스마를 발생시키면 대기 중의 산소가 오존으로 바뀌며 기판 표면의 탄소-수소화합물을 공격해 이산화탄소와 수증기로 바꿔 ... ...
나방 '올챙이 적 생각' 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나방은 성체가 돼도 애벌레 시절 받았던 통증을 기억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미국 워싱턴 조지타운대 마사 웨이스 교수는 이런 결과를 과학저널 ... 마크 스토퍼 박사는 이번 연구에 대해 “기억이 만들어지고 보존되는
과정
에 대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는 단서를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 ...
part 1 미리 보는 이소연 씨의 ISS 10일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경험할 소유즈 우주선의 발사 순간을 가상으로 그렸다. 2년 동안 진행된 선발과 훈련
과정
을 마치고 탑승우주인으로 최종 선정된 이소연 씨가 보낼 우주에서의 10일은 어떨까.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제공한 계획표를 참고해 미리 따라가 봤다.“잘 다녀오겠습니다!”배웅을 하러 나온 수많은 ... ...
소설 경지에 오른 논문조작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얘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실제 일자리를 잡을 때에도 박사
과정
또는 박사후
과정
때 어디에 논문을 냈느냐가 결정적인 요인인 게 현실이다. 또 교수나 연구책임자가 된 뒤에도 연구비를 따내기 위한 연구계획서를 제출할 때 유명저널에 낸 논문이 있으면 큰 도움이 된다. 자신의 출세를 위해 ... ...
part 4 암기에서 해방시켜주는 인공해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연구팀은 쥐의 손상된 해마를 여러 조각으로 잘라 각 부위를 전기신호로 자극했다. 이
과정
을 수백만 번 되풀이해 전기신호에 따라 쥐가 보이는 반응을 분석했다. 이 정보를 취합해 쥐 해마의 수리적 모형을 만들고 칩에 옮겼다. 연구팀은 다른 쥐의 해마를 파괴해 기억을 못 하도록 만든 뒤 해마가 ... ...
세포 반란 잠재울 단백질 구조학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그동안 알려져 있었다. 조 단장은 MCM을 켜고 끄는 스위치의 역할을 하며 동시에 복제
과정
에 필요한 DNA 중합효소를 한데 모으는 주인공이 진스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유전자의 복제를 돕는 단백질의 정체가 드러나며 세포의 노화를 막을 수 있는 길이 열릴 거란 기대를 해볼 수 ... ...
이전
665
666
667
668
669
670
671
672
6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