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상
패
단체
조합
인류
지역
공동 단체
뉴스
"
사회
"(으)로 총 9,601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
심리학]'소확행'은 단순한 유행이 아니다
2019.03.09
'마시멜로 실험'은 1960년 연구진이 3~5세 아이의 자기통제력과 절제성을 관찰해 이를 미래의 성공과 연결짓는 유명한 실험 중 하나다.픽사베이 제공 아이들에게 맛있어 보이는 마시멜로를 눈 앞에 두고 지금 바로 먹어도 되지만 10분 정도 기다리면 마시멜로를 하나 더 주겠다고 한다. 그러면 못 참고 ... ...
[프리미엄 리포트]‘어떻게 죽음을 맞이할까’를 생각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9
한 사람들이 품위 있는 죽음을 맞이할 수 있게 도우려면 신체적 케어뿐 아니라 심리
사회
적 케어, 나아가 영적 케어까지 할 수 있도록 호스피스를 양성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건강한 웰다잉 구축 위해 전문가들도 머리 맞대 지난 26일 국회의원회관에서는 '연명의료결정제도 시행 1주년 ... ...
이의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
사회
약학 분야 보건의료 전문가
연합뉴스
l
2019.03.08
7) ▲ 서울 계성여고 ▲ 서울대 약학과 학·석사 ▲ 미국 아이오와대 약학박사 ▲ 한국보건
사회
연구원 보건의료연구실장 ▲ 한국보건의료기술평가학회 회장 ▲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교수 ▲ 성균관대학교 제약산업학과 교수 ... ...
"플라스틱 재활용 정부 개입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9.03.08
했다”고 말했다. 생산업계의 역할을 주문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김미화 자원순환
사회
연대 이사장은 “세계경제포럼에서는 감량 정책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집행해야 한다는 합의점에 도달했다”며 “플라스틱을 수거하고 선별하는 업체의 요구에 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최 ... ...
여성 과기인 많아 보였는데... “20% 선 이제야 돌파”
동아사이언스
l
2019.03.07
10~20%대에 머무르고 있는 게 현실이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는 육아 등을 위한 제도와
사회
인프라도 조사했다. 일과 가정 생활을 양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의 경우, 여전히 ‘의무’와 ‘자율’ 사이의 괴리가 컸다. 법적 의무일 때는 운영률이 93.8%로 높았지만, 자율적일 때에는 52.6%로 크게 ... ...
바이오·수소 혁신성장과 기초연구에 20조...3월 5G 상용화는 불투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3.07
등을 위한 교육을 제공하고 AI를 이용한 간병보조로봇 등을 지원해 ‘따뜻한 디지털 포용
사회
’를 만드는 데 과학과 정보기술이 보탬이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
'불이야' 화재경고 청각장애인에게 문자로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6
제공하는 서비스도 개발된다. 과기정통부 측은 “민간 초기 투자가 쉽지 않은
사회
적 약자를 위한 지능정보 서비스 시장을 조성하는 데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복지부 등 관계부처와 관련기관을 모아 정책협의회를 구성하고, 수요자들의 의견도 듣고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 ...
이우일 차기 과총 회장 “과학기술은 가치중립적...젊은 세대 참여 폭 넓힐 것”
2019.03.05
인내심을 갖고 지켜볼 필요가 있다.” 19대 과총은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인 신년 인
사회
’ 등 굵직한 행사를 과학기술과 정보방송통신인으로 분리해서 진행하겠다고 했지만 결과적으로 분리하지 못했다. 차기 과총은 어떻게 진행할 생각인가. “분리하는 게 맞다고 본다. ICT 분야는 ... ...
생명연, 전문연구단 개편… 5개에서 4개로
동아사이언스
l
2019.03.04
생명연 원장은 “이번 전문연구단 개편을 시작으로 생명연이 연구개발(R&D)를 통해
사회
적 가치를 실현하고 국가 신성장동력인 바이오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
美연구진 "나이 들수록 타인의 분노와 공포에 둔감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4
연구팀은 청소년기부터 분노 신호에 대한 민감성이 증가하는 것은 집단 따돌림 같은
사회
폭력 문제에 쉽게 감응하는 것과 맞닿아 있다고 해석했다. 반면 행복의 감정에 대한 민감성은 나이가 들어도 감소하지 않았다. 20대 중반까지 행복 민감성은 꾸준히 상승해 46점을 기록했고, 이후로는 ... ...
이전
665
666
667
668
669
670
671
672
6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