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치레
족장
꾸미기
허위
체하기
호주
주인
d라이브러리
"
가장
"(으)로 총 12,918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2016 노벨과학상
과학동아
l
201611
계속 보시려면?INTRO. 2016 노벨과학상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Part 3. 세포 속 청소부의 정체를 밝히다Part 4. 동물의 삶이 궁금해? 직접 살아 봐 ... ...
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
과학동아
l
201611
계속 보시려면?INTRO. 2016 노벨과학상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Part 3. 세포 속 청소부의 정체를 밝히다Part 4. 동물의 삶이 궁금해? 직접 살아 봐 ... ...
Part 3. 사람 앞서 화성 갈 눈 만든다
과학동아
l
201611
서 있는 것만 같았다.본격적인 드론비행 시험에 앞서 마지막으로 드론을 점검하고자
가장
붉은 땅 위에서 조심스레 상승 레버를 올렸다. 드론이 승전보를 울리듯 멋지게 하늘로 솟구쳤다. 그런데 1분쯤 지났을까. 갑작스레 불어온 바람에 그만 가시덤불 위로 추락하고 말았다(스페니 픽스라는 ... ...
[Knowledge] ‘DHL’ 이노베이션 센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611
설계된 비행체를 떠올린다. 수직으로 이착륙할 수 있고 방향전환 등 비행 제어가 쉬워
가장
대중화된 드론이다. 하지만 DHL 이노베이션센터에서 본 파셀콥터는 작은 비행기였다. 역시 드론에 속하긴 하지만 날개가 있고 그 끝에 여러 개의 로터가 추가된 독특한 모습이었다. 날개가 고정된 비행기와, ... ...
[Tech & Fun] 스티븐 킹의 역작 ‘살렘스 롯’
과학동아
l
201611
어떻게 탄생하게 됐는지 알아보겠습니다.알고 보니 뱀파이어는 환자였다?뱀파이어의
가장
큰 특징은 다른 사람의 피를 마신다는 것, 햇빛에 약해 밤에만 돌아다닌다는 점, 그리고 죽지 않고 젊음을 유지한다는 것입니다. 놀랍게도 지금까지도 뱀파이어와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 ...
[Career] “세계의 바다를 가를 무인선박을 개발합니다”
과학동아
l
201611
지금 대회를 준비하는 학생들이 정신이 없습니다.김다민 대회는 어떻게 치러지나요?
가장
빨리 도착하는 선박이 우승하는 건가요?김낙완 종합적으로 판단합니다. 무인선박은 빠른 것도 중요하지만 사람이 직접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자동으로, 혹은 원격으로 장애물을 피할 수 있는 능력이 ... ...
Part 3. 자꾸자꾸 굽어가는 세상
수학동아
l
201611
굽어 있다. 이뿐만 아니라, 이곳저곳에 수많은 곡선이 숨어 있다.
가장
쉽게 찾을 수 있는 것 중 하나는 유려한 곡선미를 자랑하며 슝슝 달리고 있는 자동차다. 또 세계 곳곳을 여행하다 보면 곡면으로 만들어진 건물을 볼 수 있다.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신소재의 구조 속에도 곡선이 있다.잘 빠진 ... ...
노벨상 발표에 베이글이 등장한 사연
수학동아
l
201611
조금 변형시켜도 원래의 성질을 그대로 유지한다.위상수학을 직관적으로 설명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 머그컵과 도넛이다. 머그컵과 도넛은 겉모습은 완전히 다르지만 구멍이 하나씩만 있다는 특징이 있다. 위상수학에서는 구멍의 개수로만 물체를 구별하기 때문에 머그컵과 도넛은 ... ...
[소프트웨어] 서큘러스
수학동아
l
201611
언어를 선택할 수 있고 하드웨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처음 코딩을 배울 때
가장
먼저 알아야 할 것은 무엇일까. 컴퓨터 언어? 아니면, 교구 사용법? 서큘러스의 박종건 대표는 무엇을 만들고 싶은지가 먼저라고 말한다. 결국 코딩도 자기 생각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무엇을 만들고 싶은지에 따라 ...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
과학동아
l
201611
생각했다. 그게 내가 입자물리학을 선택한 이유다.입자물리학은 모든 과학 분야 중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학문이다. 대단히 보람 있는 삶이다. 비록 우주를 완벽하게 이해할 수는 없을지라도, 발견의 여정은 정말 매력적이다. 끊임없이 새로운 통찰과, 우리의 삶을 개선하는 혁신을 얻는다. 만약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