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그라미
서클
기본형
으뜸꼴
원
모형
둥근꼴
d라이브러리
"
원형
"(으)로 총 79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과학재단 강홍렬 이사장
과학동아
l
199102
빼앗기게 되는가를 분석한 미국의 과학행정가들의 머리에서 나온 것이지요. SRC와 ERC의
원형
이랄 수 있는 미국 STC와 ERC는 미국의 과학재단격인 NSF에서 주관하고 있습니다. 전임 과학재단이사장이었던 정근모박사(전 과기처 장관)가 이 제도를 국내에 도입했는데 틀림없이 좋은 결과가 나올 겁니다."8 ... ...
초소형 금속기어 탄생
과학동아
l
199102
같은 광선이 이용된다. 이 광선은 방풍유리막에 싸인 철제 필름 위에 쏟아져 기어의
원형
(주형)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조사(照射)된 빛은 방풍유리막에 화학적 변화를 일으키는데 이 때 막을 재빨리 씻어내면 빛이 쏘인 부분은 구멍을 남기면서 사라지고 그렇지 않은 부분은 남게된다. 이 남은 ... ...
노출시간과 필름의 감광속도에 주의
과학동아
l
199101
시간이 허용치보다 너무 많이 길어지면 별의 흐름이 나타나 (사진2)의 경우처럼 타
원형
으로 생기게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 이 경우 필름의 감도도 중요한 요소로 ASA100~400사이의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무난하다. (사진2)는 최근에 개발된 ASA3200을 사용해 촬영했다. 그 결과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 ...
태양만 뜨겁게 작열하는 수성(Mercury)
과학동아
l
199101
가장 큰 것은 칼로리스분지(Caloris basin)이다. 이 분지는 직경이 1천3백㎞에 높이가 2㎞인
원형
의 산맥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 분지도 소천체와의 충돌로 생긴 용암이 흘러 생긴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분지의 바닥은 금이 가 있는데, 이 금은 용암이 빠르게 굳으면서 갈라진 틈으로 여겨진다. 크레이터 ... ...
수직막대에서 전자주사 안테나로 진화
과학동아
l
199012
직선형 쌍극자를 설치해 전파의 수파(수신)실험을 했다.영국의 O.J. 로지는 1890년에 이미
원형
도파 관개구라고 불리는 전파실험장치를 만들었다.인도의 J. 보즈는 1897년에 벌써 5㎜ 파장의 전파를 발생시켰으며 전파 흡수에 관한 연구도 했다.도버 횡단에서 우주통신으로1896년 영국의 G. 마르코니는 ... ...
PARTⅢ 분자생물학의 기본언어들
과학동아
l
199012
복제돼 안정하게 자신의 특성을 다음의 세대로 옮기는(전이하는) 두가닥으로 된
원형
의 DNA분자다. 일반적으로 플라스미드는 하나의 세포에서 1백여개까지 증식할 수 있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DNA를 생산할 수 있다.따라서 원하는 DNA절편을 플라스미드로 실어나를 수만 있다면 동일한 DNA를 ... ...
가속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012
중금속 시편과 충돌하여 양전자를 발생시킨다. 이 양전자는 부스터싱크로트론이라는
원형
가속기에 들어가 1GeV로 가속된다. 가속된 양전자는 주저장링에 저장되는데 여기서는 2GeV로 가속된다. 주저장링에는 양전자가 방사광의 방출로 인해 잃어버린 에너지를 보충해주는 고주파공진기가 있고 ... ...
생명체의 분류
과학동아
l
199012
분명하고 이를 이루는 RNA 분자들은 수십억년동안 약간의 변화만 초래했을 뿐 그
원형
을 유지해 왔다.그러나 약간이나마 변화가 있었다는 것이 중요하다. RNA 분자들은 예를 들어, "뉴클레오티드"라는 더 작은 분자들의 사슬식연결로 만들어진다. 리보솜내의 각 RNA분자들은 어느 특정부분에서는 ... ...
인정하기엔 너무 약한 「제5의 힘」
과학동아
l
199011
텅스텐으로 만든 전선에
원형
고리를 매달아 화강암 절벽 가까이에 매달았다. 그
원형
고리는 2등분해서 같은 질량의 베릴륨과 알루미늄으로 만든 것이었다. 만약 중력만이 이 고리에 영항을 미친다면 고리는 양쪽 모두 절벽에 끌려야 할 것이다. 그러나 실험결과는 그렇지 않았다.알루미늄반원은 ... ...
원형
춤·8자춤·엉덩이춤
과학동아
l
199011
꿀이 있는 곳까지의 거리 뿐만 아니라 방향까지 정확하게 알려줄 필요가 있다. 이때는
원형
춤 대신 8자 모양의 춤을 춘다. 춤의 속도와 엉덩이를 흔드는 정도를 통해 꿀이 있는 곳의 거리를 알 수 있다. 방향은 8자의 두 고리가 만나는 공통직선의 방향과 관계가 있다.5. ③ 캥거루는 포유류 중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