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기
전력
전원
볼타 전기
d라이브러리
"
전류
"(으)로 총 968건 검색되었습니다.
소금물 위에 글씨 쓰기
과학동아
l
199907
건전지에 연결된 집게 전선으로 소금물이 적셔진 종이 위에 글씨를 써 보자.■왜 그럴까?바닷물에 들어있는 전체 염류의 양 중 소금(NaCl)이 차지하는 비율은 ... 탄소알갱이는 건전지에 들어있는 탄소봉과 같다. 즉 전극이 전해질 속에서 잘 반응해
전류
를 잘 통하게 만들어 준다는 얘기다 ... ...
거품 폭탄
과학동아
l
199907
한다. 순수한 물에는 전기를 운반해 줄 이온이 매우 적어 직류
전류
를 통하게 해도
전류
가 거의 흐르지 않는다. 그러므로 물을 쉽게 전기분해하기 위해서는 물에 녹아 쉽게 이온 상태로 나눠지는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물질을 넣어줘야 한다.묽은 수산화나트륨수용액에 담겨진 두 나사못에 건전지를 ... ...
에디슨이 전기의자를 만든 이유
과학동아
l
199906
발명왕 에디슨이 전구를 발명한 것은 너무나도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에디슨은 전구만 개발한 것이 아니었다. 전구를 켜기 위해 필요한 모든 것, 즉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소, ... 하지만 결국 에디슨의 이런 선전활동은 실패했고, 잘 알다시피 우리가 지금 쓰고 있는
전류
는 '교류'이다 ... ...
깨끗한 물은 어떻게 만들까?
과학동아
l
199906
반응성이 매우 커 오랫동안 보관하거나 운반하기 어렵기 때문에 공기 중에 고압의
전류
를 방전시켜 만들어 사용한다. 오존 소독법은 염소 소독법과는 달리 유해성 부산물을 만들지 않는 장점이 있다.이렇듯 우리가 사용하는 물은 여러 가지 화학적 방법으로 깨끗해진다. 물론 인공적인 정수 방법이 ... ...
반도체혁명 일으킨 트랜지스터
과학동아
l
199906
정공(hole)이 생겨 음극으로 움직인다. 자유로워진 전자와 정공이 부도체인 게르마늄에
전류
가 흐르게 한 것이다. 흔히 전자를 n(negative)형 반도체, 후자를 p(positive)형 반도체라고 한다.이러한 원리를 이용해 벨연구소의 윌리엄 쇼클리(1910-1989), 존 바딘(1908-1991), 월터 브래튼(1902-1987) 등은 19 ...
자기기록 매체
과학동아
l
199905
발생을 이용한 것이다. 코일에 자석을 넣었다 뺐다 하면 유도
전류
가 생기고, 이때의
전류
는 자석이 움직이는 속도에 비례하는 성질이 있다. 기록매체 표면의 N 또는 S극으로부터 발생한 자기장은 재생헤드에 전달되는데 헤드에 전달되는 자기장의 시간변화율에 비례해 전기신호가 발생한다. 근래 ... ...
천문학자 밴 앨런과의 대화
과학동아
l
199904
형성돼 있는 이유는 행성 내부의 수소기체가 매우 높은 압력에 의해 여기되면서
전류
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목성에서는 태양풍의 밀도가 지구의 25분의 1 밖에 안되지만 자기장이 워낙 강하여 태양풍 입자는 다 붙잡힌다. 지구의 자기장 세기는 목성의 1백분의 1이어서 태양풍 입자들을 대부분 ... ...
도로의 심장 교차로
과학동아
l
199904
속에는 전선이 감겨있고 거기에는 고주파
전류
가 흐른다. 차량이 그 속에 들어가면 고주파
전류
의 주파수가 변하기 때문에 차량의 통행량과 막히는 정도를 알려주는 루프 점유시간까지 알 수 있다.현재 대부분의 교차로에 사용되는 루프검지기로는 통행량만을 측정하지만 교통량 변화에 따라 신호가 ... ...
열역학의 세계
과학동아
l
199903
통해 흘려보내면
전류
가 된다. 그런
전류
를 이용해 전구를 밝히고, 텔레비전을 본다. 또
전류
가 반도체 소자로 흘러가면 정보화 시대의 핵심인 컴퓨터가 작동된다.그런 전기에너지도 사실은 분자가 가지고 있는 화학에너지에서 비롯된다. 전기를 만들려면 석유를 태워서 나오는 화학에너지나 높은 ... ...
Ⅲ. 에너지와 정보 저장의 보고 박막
과학동아
l
199903
방법이다. 기존 재료의 두께를 더욱 줄여 유전상수를 증가시킬 경우, 박막이 너무 얇아져
전류
가 예상치 못한 곳으로 새어나가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높은 유전상수를 갖는 물질을 찾는 것이 보다 궁극적인 대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현재 개발 완료된 1Gb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