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효
d라이브러리
"
효과적임
"(으)로 총 1,700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무 한 그루가 잎을 통해 할 수 있는 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2
식물의 잎이 이렇게 중요한 일을 하고 있었다니 정말 놀랍지요? 이제부터는 밥상에 올라오는 나물과 채소 반찬에게 감사 인사를 꼭 한번 하고 식사하자고요. ‘식물의 잎이 하는 일’은 초등학교 과학교과서 5학년 1학기 단원 7에 나오며 3학년 2학기 단원 1에 나오는‘식물의 잎과 줄기’와도 관련 ... ...
흡혈박쥐의 역습
과학동아
l
200512
아마존의 사막화가 계속되면서 서식지를 잃은 흡혈박쥐 떼가 북부 브라질을 휩쓸며 사람에게 광견병 바이러스를 옮기고 있다. 흡혈박쥐에 물린 사람은 1000명이 넘고, 이 중 20명이상이 사망했다. 염료분자와 크롬 등 금속이온이 착염의 형태로 결합된 가용성(可溶性) 아조염료 보통 금속착염 염료 ... ...
오른발보다 왼발이 더 길다
과학동아
l
200512
발은 단지 냄새나고 열등한 신체 기관이기만 할까. 26개의 크고 작은 뼈로 구성된 발. 평생 20만~40만km를 이동하고 3억번 가량 굽혔다가 펴도 이상이 없을정도로 튼튼하다. 하지만 발에 대한 관심은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지난 10월 28일, 29일 이틀간 전주대에서 열린 '2005 대한인간공학회 추계학술대 ... ...
신장개업 위대한 밥상
과학동아
l
200511
한국영양학회가 10월말 새로운 ‘한국인의 영양섭취기준’을 발표했다. 해방이후 40년 넘게 유지해온 영양 기준(영양권장량)을 시대 변화에 맞춰 개혁해 ‘식생활 혁명’을 불러올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한국인은 무엇을 더 먹고 무엇을 줄여야 할까.‘많이 먹자’에서 ‘잘 먹자’로최근 참살 ... ...
에너지 독립국가 건설하는 화학자
과학동아
l
200511
한국원자력연구소 장인순(65) 고문은 ‘못 말리는’ 수학 예찬론자다. 올해 4월 소장직을 물러남으로써 27년의 연구소 ‘현역 활동’을 마쳤지만 아직까지 박사급 연구원들에게 틈만 나면 ‘수학공부 더 하라’고 잔소리를 한다.“원자력이란 과학 분야를 탐구하려면 수학이 필수입니다. 원자의 핵 ... ...
철새 이동으로 조류독감 바이러스 유럽까지 전파
과학동아
l
200511
식량농업기구(FAO)는 야생조류의 이동 경로를 따라 조류독감이 퍼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아시아와 유럽 야생조류의 이동 경로가 서로 겹치면서 아시아에서만 60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간 H5N1 바이러스가 확산되고 있다. 대수학에서 사용하는 이론의 하나 갈루아는 대수방정식의 근(根) 사이의 치환 ... ...
"살찐 게슈타포 구출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0
이번 호를 끝으로 대단원의 막을 내리는 ‘꿈꾸는 아인슈타인’. 아인슈타인 박사님을 이기는 데 끝내 실패한 게슈타포, 아인슈타인 박사님의 용서로 진실의 눈물을 흘리게 된다. 사실 그 동안 아인슈타인 박사를 이기려는 생각에 스트레스도 많이 받았다. 이제 마음의 평온을 찾은 게슈타포. 마음 ... ...
조류독감 비상사태를 선포한다
과학동아
l
200510
째깍째깍. 세계를 강타할 시한폭탄 같은 공포가 다가오고 있다. 최근 세계보건기구(WHO)는 인체에 치명적인 독감바이러스로 전세계적인 전염병이 유행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발병하면 최소 200만명, 최대 1억명까지도 사망할 수 있다는 예상이다. WHO가 경고하는 독감바이러스는 조류에서 왔다. ... ...
3. 생명은 빛보다 빠르다
과학동아
l
200510
빌 게이츠는 6년전 “생각의 속도로 움직이라”고 주문했다. 감탄하기 전에 잠깐. 생각의 속도는 얼마나 빠를까. 생각은 뇌가 하고, 뇌는 신경세포로 이뤄져 있다. 신경의 속도는 초속 30m. 100m를 3~4초만에 뛰는 셈이다. 생명체는 우리가 생각하지도 못한 찰나의 순간 속에 살고 있다.연세대 화학과 김 ... ...
김 서리지 않는 안경 나온다
과학동아
l
200510
김 서림이 없고 빛을 거의 반사하지 않는 유리 제품이 곧 나올 전망이다.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마이클 루브너 교수팀은 표면에서 빛을 0.2%만 반사하는 나노입자 코팅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빛을 2~3% 반사하는 기존의 반사방지 코팅보다 더 효과적이며 표면의 작은 물방울을 흡수해 김 서림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