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남아"(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일러 프로젝트] 1만 개의 숫자에서 ‘우애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찾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유명한 수학 천재들도 우애수 찾기에 도전했던 기록이 남아 있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로 잘 알려진 17세기 프랑스의 수학자 피에르 드 페르마는 17296과 18416이 우애수이면서 친화쌍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페르마와 동시대를 살았던 프랑스 수학자 르네 ... ...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함께 상용화에 들어갈 예정이다. 아직 기술적·기계적 완성도를 높여야 하는 숙제가 남아 있다. 하지만 닥터 허준을 잘 발전시킨다면, 비단 척추뿐만 아니라 뇌, 기관지, 후두, 방광, 혈관 등 내시경 수술이 필요한 여러 질환에 폭넓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필자는 우리 의술을 크게 ...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2] 왜 대학은 독서를 중요하게 생각할까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만든다. 이런 행위들을 꼭 문자의 형태로 쓰면서 할 필요는 없겠지만, 기록으로 남아 확인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는 추천하고 싶다. 책을 읽고 독후감을 쓰는 것을 강조하는 이유는 이 때문이다. 줄거리를 요약하는 독후감보다는, 책을 읽고 본인이 궁금했던 점과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과정들을 ... ...
- 韓 문명의 뿌리는 과학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세계에서 발견된 고인돌의 약 60%가 한반도에 있는데, 일부에는 별자리를 새긴 흔적이 남아 있다. 선조들이 천문학에 오래전부터 관심을 가졌다는 증거다. 남 학예연구사는 “이런 흐름은 삼국시대 고분 벽화, 그리고 세계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천문도인 국보 제228호 천상열차분야지도로 이어져 ... ...
- Part 3. 참고래, 골격표본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만들기 위해 솔로 흙을 일일이 다 닦아내었지요. 이후 뜨겁게 끓인 과산화수소에 담가 남아 있는 살 조직을 모두 제거했고, 동시에 뼈의 색도 하얗게 만들었답니다. 그 다음은 골격을 말리는 과정이에요. 서늘한 곳에서 자연 건조 방식으로 골격의 물기를 없애는 거지요. 이번에 작업하고 있는 ... ...
- [Career] DGIST 에너지공학전공 - 수소연료전지차의 마지막 퍼즐 최고의 촉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있는 유 교수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친환경자동차는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가 여럿 남아 있다”고 말했다. 우선 전기자동차는 출력의 한계에 다다랐다. 유 교수는 “출력을 지금의 내연기관 자동차 수준으로 높이기 위해서는 리튬이온배터리를 수천 개는 달아야 한다”며 “고밀도 배터리는 ...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치료를 통해 이들 세포를 죽이는 겁니다. 또한 줄기세포들이 분화하지 않고 줄기세포로 남아있으려면 그 주변에 위치한 세포들의 역할이 절대적입니다. 따라서 암줄기세포의 주변 세포를 없애는 항암 치료법도 새롭게 연구되고 있습니다. 최영은미국 바드대에서 생물을 전공하고 하버드대에서 ... ...
- [과학뉴스] 네안데르탈인에게 물려받은 ‘바이러스 저항 유전자’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유전자 4500여 개를 찾아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와 대조했다. 그 결과 현대 인류에게 남아 있는 네안데르탈인 유전자는 총 152개이며, 이 유전자가 모두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와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 C형 간염 바이러스 등 모든 RNA바이러스와 상호 작용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 ...
- 케네스 리벳 미국수학회 회장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의 숨은 공신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이유로 이에 대한 증명을 남겨 놓지 않아 350년 이상 수학자들을 괴롭힌 난제로 남아 있었다.그러던 중 1984년 독일 수학자 게르하르트 프라이 교수가 타니야마-시무라 추측만 증명하면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할 수 있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타니야마-시무라 추측은 모든 타원방정식은 ... ...
- 생리의학상 -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낮다. 더욱이 한번 암세포를 제거할 수 있게 교육된 면역세포들이 수년간 우리 몸속에 남아 있어, 한 번의 치료로 10년 이상 지속 효과를 보이며 암이 완치될 수 있다. 이렇게 효과적인 면역 항암 치료법이 개발될 수 있었던 것이 바로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주인공들의 연구 성과 덕분이다 ... ...
이전6263646566676869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