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단순"(으)로 총 3,085건 검색되었습니다.
- B 블록, 장난감을 뛰어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살던 20살 청년 ‘라울오아이다’와 호주에 사는 사업가 ‘스티브 샘마르티노’의 단순한 호기심에서 만들어지게 됐어요. 우연히 동영상 사이트에서 레고로 만든 RC카를 보고 ‘실제 크기의 자동차도 만들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 만들기 시작한 거예요. 그 뒤부터 약 20개월 동안 오아이다가 ... ...
- Part 3. 천사, 악마를 이겨라!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절대 갇히지 않는 전략을 찾아냈어요. 특정한 함수로 만든 경로를 따라가기만 하면 되는 단순한 방법으로요.오른쪽 그림처럼 두 경로가 있을 때 둘 다 장점이 있지만 클로스터가 개발한 함수에 따르면 ‘경로1’보다는 ‘경로2’를 고르는 게 천사에게 더 유리해요. 경로2는 경로1보다 경계선이 변 ... ...
- 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논, 운하, 강,호수 등 모든 지형을 다 가로지른다. 이 다리는 상판과 교각으로만 된 가장 단순한 거더교 형태다. 다리는 생긴 모양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뉘는데, 가장 대표적인 형태가 아치교, 트러스교, 사장교, 현수교다. 다리를 건설하는 지반의 종류에 따라 바람이나 지진을 잘 버틸 수 있는 ... ...
- [Tech & Fun] 다음 체중계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과거로 보낸 거야! 복잡하게 미래를 예측한 게 아니라 그냥 확실하게 측정한 숫자를 단순히 과거로 보내버린 거야. 시점도 그래. 저 기계는 내가 언제 다시 그 위에 올라설지 전혀 몰라. 알 필요도 없는 거지. 다만 과거 어느 시점에 올라섰는지만 정확히 알면. 실제로 일어난 일이니까 예측할 필요도 ... ...
- [수학뉴스] 세상이 원하는 창의융합 인재, 2016 융합 R&E 전국대회에서!수학동아 l2016년 09호
- 32개 팀이 실생활과 관련된 수학과 과학으로 만든 프로젝트를 발표했습니다. 심사 기준은 단순한 문제 해결 능력이 아닌 융합적 사고력과 창의성, 그리고 수학과 과학 개념에 대한 정확한 이해였습니다.이미경 와이즈만 영재교육연구소장은 “융합 R&E 전국대회를 통해 학생들은 소통 능력을 높이고, ... ...
- [Knowledge] 거미줄이 강한 비결, ‘포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않는다. 포논은 어떨까. 원자 사이의 용수철 진동을 양자화한 것이므로 물질이 아니라 단순한 에너지의 진동으로서, 파울리의 배타원리를 따르지 않는다. 즉, 포논은 광자와 마찬가지로 스핀이 0인 보존 입자다.전자 짝지어 초전도 만들고 전자랑 상호작용해서 격자 뒤틀고…다른 보존처럼 포논 ... ...
- [News & Issue] 네안데르탈인, 너 식인종이었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화석이 발견된 적은 있다(PLOS ONE, May 27, 2015). 하지만 시신을 뼈에서 발라 ‘먹은’ 행위는 단순한 폭력과 다르다. 조난 등 극한 상황에서 행해진 예외적인 일이었을 가능성이 크지만, 적어도 네안데르탈인 중 일부가 식인을 했다는 사실만은 확실해졌다.마지막으로 의문이 생긴다. 그렇다면 우리에겐 ... ...
- [Tech & Fun] 공포는 사람을 편협하게 한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무조건 비이성적이라는 생각을 가끔 접한다. 하지만 쉽게 단정 지을 만큼 감정이 단순하지는 않다. 어떤 감정은 이성보다 더 정확하고, 더 빨리 우리에게 정보를 주며 행동에 영향을 끼친다. 예를 들어 ‘공포’는 거대한 적을 경고하고, ‘분노’는 적을 쓰러뜨릴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 본능적인 ... ...
- [소프트웨어] 마인크래프트로 배우는 코딩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전달하는 아이템이다. 레드스톤을 주변에 적절히 배치하면 에너지 흐름을 조정해 단순한 자동문부터 컴퓨터까지 에너지를 이용하는 물건을 만들 수 있다. 이렇게 작은 스위치 하나를 열고 닫으며 전기 신호를 조절하는 것은 0과 1의 조합으로 프로그램을 만드는 컴퓨터 코딩과 같은 원리다.어릴 적 ... ...
- [지식] 두 아이가 모두 딸일 확률은?수학동아 l2016년 08호
- 한 명은 딸인 상황에서 두 아이 모두 딸일 확률을 묻는 문제를 ‘두딸 문제’라고 한다. 단순한 문제처럼 보이지만 이 문제가 처음 등장한 1959년 이래로 두 가지 답이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수학 문제에 어떻게 답이 두 개일 수 있을까.얼굴 안다고 확률이 바뀌어?여기까지만 보면 두 질문에 대한 답에 ... ...
이전6263646566676869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