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단
그룹
떼
모임
패거리
동아리
단체
d라이브러리
"
무리
"(으)로 총 2,121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이스크림 막대로 만드는 황금비 캘리퍼스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아닌 특별한 비라는 것을 발견했다. 그 비는 약 1:1.168…로, 이전에는 없었던 새로운
무리
수 비였다. 이것이 바로 황금비다. 정오각형에서 각 꼭짓점의 대각선을 모두 그어 보자. 그러면 그림❸와 같이 정오각형 내부에 별 모양이 생긴다. 이 별을 ‘펜타그램’이라고 한다. 라틴어로 다섯을 의미하는 ... ...
[11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지도 앱 등의 오류가 자주 생기는 이유는 무엇일까. 물론 이런 내용까지 담기에는
무리
가 따르겠지만 가려운 곳 긁어주다가 관둔 느낌을 지울 순 없다. 이번 호 과동 pickup으로 선정된 광주여고 전희주 학생의 ‘사막화는 왜?’ 기사는 그런 점에서 많이 아쉽다. 이 기사는 과학동아 청소년기자 코너에 ... ...
잊혀진 ‘삭금’의 고장, 김포 한강 하구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말했다.“새는 귀소본능이 강해서 찾아오는 장소를 쉬이 바꾸지 않아요. 환경이 아
무리
바뀌어도 마지막의 마지막까지 제자리를 찾아오죠. 그러다 도저히 못 오는 환경이 되면 그제서야 떠나요. 그러니까 새가 안 찾아온다는 건, 그 지역 생태계가 마지막에 이르렀다는 뜻이에요.”오늘날 ... ...
시네마 키드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영상을 만든답니다. 우리가 보는 영화도 마찬가지에요. 1초에 24프레임으로도 우리 눈은
무리
없이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인지합니다. 현재 일반적으로 쓰는 초당 24프레임은 일종의 관행이에요. 피터 잿슨 감독은 초당 48프레임으로 ‘호빗:뜻밖의 여정’을 촬영하고 있답니다. 제임스 카메론 감독은 ... ...
벌 vs 등에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신기한 비밀을 숨겨놨지롱~! 벌벌은
무리
지어 생활하는 곤충이에요. 벌들은 각자
무리
에서 맡은 역할이 있는데, 여왕벌과 수벌은 생식을 담당하고 나머지 일벌들은 먹이를 구하거나 적과 싸운답니다. 일벌은 천적인 곰이나 오소리 같은 포유류에 맞서기 위해 생식기관을 벌침으로 변화시켰어요. ... ...
홍합으로 망가진 뼈 살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바위에 단단하게 붙어 있는 모습이 매력적이래요. 우리는 일단 바위에 붙어 있으면 아
무리
강한 파도가 쳐도 휩쓸리지 않아요. 그 비결은 바로 본드처럼 끈끈한 접착 단백질 덕분이에요. 우리가 분비하는 접착단백질은 사람들이 지금까지 발견한 어떤 접착제보다도 단단해요. 게다가 물에 젖을수록 ... ...
나로호 카운트다운, 뒤는 없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정상적으로 분리된 후 395초 지점에서는 2단 킥모터의 점화가 이뤄진다. 1차 발사 때도
무리
없이 진행됐기 때문에 우려할 요소가 많지 않다. 발사 후 453초에는 2단 엔진의 연소가 끝나면서 시험 위성이 목표궤도에 진입한다. 운명의 540초에는 위성이 분리되며 나로호 발사 성공의 순간을 맞게 된다 ... ...
트랜스포머 꿈꾸는 변신공학 "날개만 접으면 나는야 최강 전투기"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여러 가지 목적으로 쓸 수 있는 주머니칼, 일명 맥가이버칼을 변신장치로 구분하는 것은
무리
다. 형태가 크게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미국의 공구회사 레더맨이 출시한 ‘레더맨 공구 시리즈’는 좀 다르다. 이 공구는 안에 플라이어(속칭 뻰찌)가 들어 있다. 평소엔 철재 막대기 하나로 ... ...
Part II. 스트레스가 남긴 고통스런 흔적, 만성피로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카페인의 각성 효과에 기대는 이들 음료는 일시적으로 잠을 쫓는 효과를 내지만 몸에
무리
를 준다. 말 그대로 몸을 갉아먹는 셈이다. 장기적으로는 피로를 더 불러온다. 하지만 눈 앞의 성과 때문에 눈 꾹 감고 들이킨다. 마치 운동선수가 금지된 약물을 복용하는 ‘도핑’ 같다. 그래서일까. 한병철 ... ...
공룡이 살아있다! 캐나다에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전 이 곳에 강이 흐르고 있었는데, 국지성 호우 등을 피해 강을 건너던 센트로사우루스
무리
가 불어난 물에 휩쓸려 죽었다는 설명이다. 이들의 화석은 당시 물의 흐름을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다.[이원민 학생이 실수로 부러뜨린 센트로사우루스 뼈 화석(왼쪽). 화석화가 진행되는 동안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