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반복"(으)로 총 3,383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스템반도체가 뭐기에? 3대 키워드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없이는 구현할 수 없다. 인공지능 기술의 핵심은 학습과 추론이다. 두 가지 과정을 반복 실행하며 최적의 답을 찾아나간다. 기존의 인공지능 시스템은 대규모 연산 처리가 쉬운 데이터센터 서버에서 주로 이를 실행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드론, 자동차, 스마트폰 같은 디바이스 자체에서 인공지능 ... ...
- 명화가 훼손되면 어쩌죠?수학동아 l2019년 06호
- 그림 전체를 나타내는 행렬에서 시작해 점차 그림의 범위를 좁히고, 위치를 바꾸면서 반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바로 전 단계와 다음 단계에서 계산한 값의 차이가 그림에서 해당 영역의 특징을 알려주는 정보가 되기 때문입니다.진품과 위작에서 똑같은 계산을 한 뒤 양쪽의 결과를 비교하면 ... ...
- [따끈따끈한 수학] 어떤 경로도 다르게! 반복없는 색칠 문제수학동아 l2019년 06호
- 평면 그래프가 있습니다. 즉 최솟값은 11에서 768까지 수 중 하나일 겁니다. 혹시 11색으로 반복 없는 색칠이 불가능한 평면 그래프를 찾았다면 꼭 알려주세요. 흥미로운 연구가 결과가 될 겁니다. 참고자료비다 두이모비츠, 루이 에스페레, 그웨나엘 조렛, 바르토시 발차크, 데이비드 우드 ‘Planar graphs ... ...
- [혀의 진화] 400개 근육의 최종 지휘자과학동아 l2019년 05호
- 호흡량을 검사하기 위해 숨을 크게 마신 뒤 한 번에 ‘후~’ 하고 내뱉는 동작도 세 번 반복했다. 최대발성량을 확인하기 위해 마스크를 쓰고 ‘아’ 소리가 갈라져 끊어질 때까지 내뱉게도 했다. 박 씨는 최장 25초간 ‘아’ 소리를 이어갔다. 이후 ‘파’ 소리를 5번 연달아 내게 해 성대 압력을 ... ...
- 과학은 대화다_홍영덕 교사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적는 것을 보고 속으로 굉장히 놀랐다”고 말했다. 텔로미어는 염색체 말단에 있는 반복 염기서열로 세포의 시계 역할을 한다. 텔로미어가 짧아지면 세포가 분열을 멈추거나 사멸한다. 홍 교사는 “1학년 학생이 텔로미어라는 단어를 아는 경우가 흔치 않다”며 “서은이가 과학을 아주 좋아하는 ... ...
- [탄생 150주년] 나만의 주기율표 만들기, 지금까지 이런 주기율표는 없었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여기서 말하는 주기란 규칙이다. 원소들 사이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고, 그 규칙이 반복된다. 학생들이 원소를 익히고 주기율표를 만들기에 앞서 먼저 이 개념과 친해지는 게 좋다.강 교사는 “주기율표를 가르치기 전 학생들에게 일상생활에서 주기성을 가진 사례를 찾게 한다”며 “이를 통해 ... ...
- 인류의 행성 이주 작전, 프록시마 b에 데려다 줄래?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세대 우주선이 유지될 수 있는 시나리오를 확률적으로 계산한다. 시뮬레이션을 수천 번 반복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대표값을 얻는다. 마린 연구원은 더 많은 생물학적 요인을 포함시키기 위해 헤리티지 프로그램을 계속 업그레이드하고 있다. 마린 연구원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세대 우주선을 ... ...
- [따끈따끈 수학] 필즈상 수상자도 도전한 무작위 베르누이 행렬 문제수학동아 l2019년 04호
- 꼭짓점 8개가 됩니다.이제 주사위를 3번 던져서 3차원 벡터를 고르는 작업을 3번 반복해 봅시다. 정육면체의 꼭짓점 8개 중 하나를 뽑는 작업을 3번 하는 거지요.이렇게 뽑은 3차원의 세 점과 원점이 2차원 평면에 있을 확률은 얼마일까요? 만약 (1, -1, -1), (-1, 1, -1), (-1, -1, 1) 이렇게 3개를 뽑았다면 ... ...
- 포도알 먹지 마세요, 전자레인지에 돌려 보세요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가능성은 있다. 송 부장은 “혹시 집에서 직접 실험을 하는 경우에도 실험을 여러 차례 반복하거나 30초 이상 오랜 시간 전자레인지를 돌리는 건 위험하다”고 강조했다. 공명 이용해 나노 광원 개발에 활용캐나다 연구팀이 포도알을 이용해 플라스마 생성 원리를 연구한 이유는 순전히 ... ...
- 수식으로 읽는 하드 사이언스, 메타물질 도장깨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메타물질도 있었다. 1993년 프랑스와 멕시코 연구팀은 2가지 단위 구조를 주기적으로 반복 배치해 음파가 다중 산란 현상이 일어나도록 유도했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0의 굴절률을 구현하고자 했다. 이는 숨기고 싶은 물체 주변으로 빛을 휘돌아 나가게 만드는 기존 투명망토 콘셉트와는 ... ...
이전6263646566676869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