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해"(으)로 총 1,565건 검색되었습니다.
- 편의점 아르바이트생 '오널도 바믈새니'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3호
- 업새블라가 톱니바퀴 뒤에서 나타났다. 최초로 기계식 계산기를 발명한 수학자 파스칼을 방해하려고 나타난 게 확실했다.“큭큭, 이번에는 재미있는 문제를 하나 낼까? 맞히면 이쯤에서 사라져 주지~!”톱니바퀴에 숫자가 쓰여 있다. 맨 앞에 있는 톱니바퀴를 1로 맞추면 나머지 숫자는 어떻게 될까 ... ...
- 세계적인 헤어디자이너 '다지지고 뽀까뽀까'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2호
- 상자가 어떤 것인지 찾아서 끼워 보도록 하자.사라진 물건을 찾아라토니마파 발명을 방해하던 악당 업새블라는 다시 한국에 있는 한국화학연구원으로 갔다.“엥? 여기는 왜 온 거지?”뽀까뽀까가 물었다.“저희는 머리모양을 더 빨리 고정해 주는 파마 약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어요. 나노 촉매가 ... ...
- 스마트폰 여왕 ‘앤드로이드 아이퐁'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1호
- 만났다. 역시 뭔가 문제가 있었다.“음…. 누군가가 이렇게 망가뜨려 놓았어요. 실험을 방해하려는 게 분명합니다!”무선통신 발명가는 전자기파의 존재를 알아낸 독일의 과학자 하인리히 헤르츠가 했던 실험을 응용해서 무선통신 실험을 한 것으로 유명하다.“그 실험을 다시 보여 주려고 했어요. ... ...
- 세계적인 선박왕 '지바페만 배가만대'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0호
- 보고, 어떤 배가 전개도에맞는 배인지 찾아보자. 노벨 아기 바구니“이번에도 날 방해했겠다! 이번에는 어림없다! 뿅~!”업새블라는 안 어울리게 뿅 하고 어디론가 사라졌다. 맞춤법이 엉망인 쪽지를 남긴 채….“날 찻을라명 노밸 형재가 태어난 곧으로 오시오.”알프레드 노벨은 1833년 10월 21일 ... ...
- 한반도 바다의 지배자는 누구? 상어 VS 고래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0호
- 인간이 바다로 진출하는 영역이 넓어지면서 고래의 주요 통신 수단인 음파가 자꾸 방해를 받고 있거든요. 그래서 연안에 살던 고래들이 사람을 피해 자꾸 먼 바다로 나가면서 고래는 점점 살기 힘들어지고 있답니다.우리 둘 다 환경 적응력이 뛰어난 것 같아. 기후변화가 상어와 고래에게 당장 어떤 ... ...
- 나쁜 지방 VS 좋은 지방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9호
- 농도가 높아져요. 이렇게 되면 혈관벽에 지방 찌꺼기가 쌓이게 되어, 혈액이 흐르는 걸 방해하지요. 이 때문에 심장과 혈관에 병이 생길 수 있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어른의 경우 지방을 하루에 50g 이하로 먹을 것을 권장하고 있어요.지방에는 세 가지 종류가 있어요. 바로 불포화지방과 ... ...
- 전구회사 대표 '오디나 빈 나데'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9호
- 함정에 빠져 버렸다.“우하하하! 썰렁홈즈~! 감쪽같이 속았지? 이제 더 이상 우리를 방해할 수 없을 거다~!”알고 보니 오디나 빈 나데와 악당 업새블라는 둘도 없는 악당 친구였다.“크크…, 어디 어둠의 미로에서 빠져 나와 보시지~! 아마 한 달은 넘게 걸릴걸?” 에디슨의 도우미, 썰렁홈즈“아…, ... ...
- 비밀은 도구에 있다? 육상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7호
- 아닌 일반인들과 육상 실력을 겨루는 대회에 출전하게 된 거야. 의족이 달리기에 방해가 될 줄만 알았는데, 오히려 빠른 기록의 비밀이 들어 있는 것 같아. 자세히 알아봐야겠어!소재탄소섬유로 만들어졌다. 탄소섬유는 강도가 세고 탄성이 좋아, 트랙에 발을 디딜 때 스프링과 같은 역할을 할 수 ... ...
- 빨간모자도 깜짝! 똑똑한 모자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6호
- 활동이 활발하다는 걸 알아 냈어요. 연구팀은 전전두피질의 활발한 활동이 잠드는 걸 방해한다고 보고, 특별한 모자를 개발했어요. 모자에 튜브를 설치해 차가운 물이 순환하게 만든 거예요. 차가운 물이 전전두피질을 차갑게 만들면 뇌가 진정되면서 잠이 드는 원리랍니다. 에릭 박사가 실제로 ... ...
- 무더위는 가라! 한여름에 즐기는 스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5호
- 마찰력이야. 스키를 A자 모양으로 만들면 스키가 나란하게 있을 때보다 스키의 이동을 방해하는 저항이 커져. 그래서 스키의 속력이 점점 줄어들게 된단다. 또 ‘에지’라고 부르는 스키의 날 부분이 마치 생선 비늘을 벗기듯 눈을 긁는 형태가 되면 마찰력이 커지면서 속도가 줄어들지. 아직 속도를 ... ...
이전6263646566676869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