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견
일람
보기
보임
봄철
bomb
d라이브러리
"
봄
"(으)로 총 1,611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무의 숨겨진 힘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높은 곳까지 물을 올리는 결정적인 힘은 되지 못하지만 적어도 증산작용이 일어나기 전,
봄
에 잎이 나오기 전까지 그 위력을 발휘하며 그 크기는 대략 3~5기압에 해당한다. 그렇다면 메이플 시럽으로 쓰이는 사탕단풍나무의 줄기 수액이나 고로쇠나무 수액도 뿌리압에 의해 채취하는 걸까. 그렇지 ... ...
안정한 움직임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대칭을 이룬다. 이처럼 직선을 기준으로 양쪽이 완전히 겹치는 것을 선대칭이라고 한다.
봄
이면 한 해의 행운을 기리며 대문에 써 붙이는 문장 '立春大吉(입춘대길)'은 네 글자 모두가 선대칭을 이루고 있다. 각 글자의 가운데에 거울을 두면 좌우가 같다. 그래서 집으로 들어오려던 귀신이 앞에서 ... ...
멸종위기종 산양의 복원 현장 설악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보였다. 설악산처럼 등산객이 많이 찾는 산도 등산로를 약간 벗어나면 동물원에서나
봄
직한 동물들이 뛰어다니는 길이 있다.사실 국내 산양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산양이라고 하면 뿔이 도너츠처럼 휘어진 외국 산양이나 우유 짜는 산양을 떠올리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국내에 사는 ... ...
[culture] 한여름 기운 되찾아주는 패류의 왕 전복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전복의 내장을 먹고도 실외에서 직사광선을 쬐지 않는다면 멀쩡하다. 이제 토호쿠에서
봄
전복 내장을 먹은 고양이가 귀를 잃은 이유도 설명할 수 있다. 몸의 다른 부위는 털이 많아 상관없지만 피부가 노출된 귀는 햇빛을 받아 증상이 나타나고, 고통을 못 이긴 고양이가 피부를 긁다 보면 귀가 ... ...
팔랑 팔랑~ 나비의
봄
인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노란색으로, 흰나비, 노랑나비, 배추흰나비 등이 있답니다. 눈부신 나비의 날개이른
봄
에 볼 수 있는 애호랑나비의 날개를 확대한 모습이에요. 이처럼 나비의 날개를 자세히 보면 마치 비늘 같은 표면에 아름다운 무늬를 볼 수 있어요. 이걸 ‘인편’이라고 한답니다 ... ...
늦잠 마녀를 물리쳐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하면 어떨까? 해가 뜨면서 자연스레 일어날 수 있지 않을까? 정답은 예스! 이제
봄
을 맞아 늦잠에서 탈출해 보자~!“으으윽, 힘이 빠져 나가고 있어. 꼬마에게 지다니…! 다음에 두고 보자!”늦잠 마녀를 물리쳤다! 나는 코코 공주와 함께 성으로 곧장 달려갔어. 이 소식을 들은 왕 역시몹시 기뻐했지.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누나를 그리워할 수 있는 곳으로 산만큼 좋은 곳이 없기 때문이다. 봉긋봉긋 솟아오르는
봄
나물을 보면 절로 누나 얼굴이 떠올랐다. 문득문득 만나는 제비꽃을 보면 작고 곱던 누나 얼굴을 보는 듯 반가웠다.“지오야, 진달래꽃이 참 곱더라. 요걸로 화전 부쳐 줄게.”치마폭에 그득 따온 ... ...
스님이 남긴 세 편지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우거진 숲 속, 작고 아담한 절에 스님과 두 명의 동자스님이 함께 살고 있습니다. 스님은 평소 수학에 조예가 깊으셨어요. 수학을 공부하면 부 ... 흠뻑 젖었습니다. 그리고 스님은 말했습니다. 아름다운 세상은 먼 곳에 있지 않다고….
봄
에 마음껏 자태를 뽐내는 꽃처럼 아름답게 살자고… ... ...
자연이 빚어낸 서호주 아웃백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부딪치는 사고를 자주 당한다. 서호주의 독특함은 식물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호주의
봄
인 9~11월이 되면 피너클 사막은 호주에만 자생하는 야생 꽃들로 화려하게 물든다. 서호주 남서부 지방에 사는 6000여 종의 식물 가운데 75%에 해당하는 식물이 호주에서만 서식하고 있다. 태고의 신비를 가득 품은 ... ...
타이탄 거대한 신화 속 과학이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환각이나 환청을 경험하게 된다는 설명이다.그런데 심장외과 의사인 마이클 세이
봄
박사는 1998년에 발간한 그의 저서 ‘빛과 죽음’에서 이를 반박했다. 그는 팸 레이놀즈라는 뇌 동맥류 환자의 수술을 예로 들면서 수술시 환자 머리 부분의 혈액을 완전히 뽑아 뇌파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수술 뒤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