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리도"(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개는 1만 3000년 된 친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사람들은 왜 가족처럼 지내던 반려견을 버리는 걸까? 아마도 개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기 때문일 거야. 그래서 지금부터 ‘개’가 누구인지에 대해 제대로 알아보려고 해. 그런데 뭐? 우리 할아버지가 늑대라고?쓰레기를 선택한 늑대, 개가 되다!학계에서는 아주 오래전 야생늑대가 개로 진화했다 ... ...
- Part 2. 백두산 최신 연구 업데이트과학동아 l2016년 12호
- 2000년 저명한 화산학자인 독일 킬대 한스 슈밍케 교수팀은 직접 북한을 방문해 백두산이 10세기에 화산 폭발지수가 6 또는 7인 대규모 폭발을 했다는 사실을 최초로 밝혔다. 당시 화산재 기둥이 25km 성층권까지 치솟고 100km3의 화산재가 방출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그로부터 16년 뒤, 백두산 연구는 ... ...
- [News & Issue] 최순실 PC, 어디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최근 박근혜 대통령의 비선실세 최순실 씨가 각종 국정에 개입했다는 ‘최순실 게이트’로 대한민국이 떠들썩하다. 지난 10월 24일 JTBC가 최초로 공개한 최 씨의 태블릿 PC는 박 대통령이 취임한 2013년 신년사부터 대북원칙이 담긴 2014년 독일 드레스덴 공대 연설문 등 외교 및 안보에 중요한 자료가 ... ...
- Part 5. 비행기가 활주로를 뜨지 못하는 이유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두 요원은 우여곡절 끝에 비행기에 올라탔습니다. 저도 비행기 꼬리 쪽에 자리를 잡았고요. 이제 비행기가 뜨기를 기다립니다. 안전벨트를 매고 창밖을 바라본 지 5분, 10분…. 비행기는 천천히 활주로 위를 달릴 뿐입니다. 비행기에 무슨 문제라도 생긴 걸까요?2009년 기준으로 약 20억 명이 매년 공항 ... ...
- [Photo] 홍연석(Crocoite) 존재 자체가 기적인 ‘생존자’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뾰족한 붉은색 침상 결정이 빽빽이 솟아나, 바람만 불어도 부러질 듯 아슬아슬하다. 이번 호 광물이야기의 주인공은, ‘생존자(the survivor)’라는 별명을 가진 홍연석(크롬산납, PbCrO4)이다.눈치 빠른 독자들은 이 홍연석에 붙은 별명의 의미를 금세 파악했을 것이다. 마치 재난과 사고에서 살아남은 ... ...
- Part 3. 규제는 철저하게, 확인은 꼼꼼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살균제처럼 생물을 죽이거나 해를 입힐 수 있는 화학물질을 ‘살생물제’라고 해요. 이번 사건은 ‘세계 최대의 살생물제 사건’이라 불리고 있어요. 살생물제로 사람이 죽는 일이 두 번 다시 일어나지 않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소독제를 마시라고 부추긴 기업가습기 살균제 사건의 핵심 ... ...
- Part 1. 유럽 최고 드론업체 ‘패럿’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늦가을 프랑스 파리의 아침은 낭만적이고 아름다울것이란 기대와 달리 춥고 우중충했다. 10월 3일 기자는 유럽 최고의 소비자 드론기업 ‘패럿(Parrot)’의 본사를 국내 언론 최초로 방문했다. 파리 북동쪽 자우레역에 내려 ‘패럿’까지 걸어가는 제마프 강둑은 파리 10구, 대표적인 빈민가였다. 안개 ... ...
- [Tech & Fun] 고요한 시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출구조사 결과가 나온 순간부터 인터넷은 충격에 빠졌다.출구조사 결과가 틀렸던 지난 서울시장 선거가 재분석되고 방송3사 통합 출구조사와 다른 예측을 내놓은 방송국에 무한한 신뢰가 쏟아졌다. 하지만 출구조사는 언제나처럼 오차 없이 정확했다. 결말부터 알려주고 시작하는 소설처럼 밤은 ... ...
- [Knowledge] 서열 사라진 사회에서 태어난 지상 낙원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싸움이 끊이지 않는 침팬지와 달리, 보노보침팬지(이하 보노보)는 평화로운 ‘에덴동산’을 구축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필자가 찾은 이유는 크게 다섯 가지다 윤택한 자연환경, 알아차리기 어려운 발정기, 암컷 위 주의 사회, 성(性)적 놀이 문화, 그리고 콩고 강이 제공한 자연 장벽 등이다.먹이 풍 ...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왼쪽부터 덩컨 홀데인, 마이클 코스털리츠, 데이비드 사울레스 교수. 작년 노벨상 발표를 앞둔 10월 초, 필자는 페이스북에 이런 글을 올렸다. “올해 노벨상 수상자는 데이비드 사울레스(미국 워싱턴대 교수)-덩컨 홀데인(미국 프린스턴대 교수)- 찰스 케인(미국 펜실베이니아대 교수) 이렇게 세 명 ... ...
이전6263646566676869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