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신호"(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 [종목5] 컬링, ‘ 빙판 위의 체스’ 돕는 얼음 물리학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측정할 수 있는 휴대형 장비를 개발했다. 레이저를 쏜 뒤 컬링 스톤에 부딪혀 되돌아온 신호를 받아서 거리를 측정하고, 스톤이 지나가는 동안 속도를 계산한다. 여기에 선수가 스톤의 속도와 거리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글라스도 더했다. 스톤을 던지는 선수는 한쪽 손으로 스톤을 ... ...
- [프리미엄 리포트] 미국, 진통제와의 전쟁 선포! 진통제 알고 먹자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세로토닌은 척수-뇌의 통증 시스템에서도 신호전달물질로 쓰인다. 농도가 증가하면 통증 신호를 억제한다. 오피오이드는 이렇게 뇌간에서 하강하는 통증 조절 경로에 끼어든다. 오피오이드는 중추신경계에 직접 작용하는 만큼 진통 효과가 강력하다. 수술 후의 통증이나 암으로 인한 심각한 통증, ... ...
- [Career] 땀과 공기 통하는 숨 쉬는 전자피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신호 전달에도 문제가 없다. 전자피부에 온도와 압력, 터치 센서를 붙이고 측정한 결과 신호가 잘 전달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일반인 18명을 대상으로 전자피부를 붙인 뒤 피부 자극을 측정한 결과도 좋았다. 일주일간 연구팀이 개발한 전자피부와 기존의 전자피부를 붙이고 생활하게 한 뒤, ... ...
- Part 5. 호모 사이보그, 뇌 세포 만으로 OK?!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세기에 따라 바퀴 두 개를 굴려 앞으로 나아가지요. 사람의 조작 없이 오직 뇌 세포의 신호만으로 움직인답니다. 하지만 앞에 장애물이 있을 때 완벽하게 피해가진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지요. 2014년에는 고든보다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된 사이보그 로봇이 등장했어요. 이번엔 예쁜꼬마선충의 ... ...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세포에게 신호를 전달합니다. 이 발견은 빛으로 이온 채널의 활성을 조절해 결과적으로 신호 전달을 제어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처음 보여준 연구입니다. 뇌를 구성하는 세포 단위인 뉴런의 세포막에도 이온채널이 존재합니다. 만약 뉴런의 세포막에 있는 이온채널을 빛으로 제어할 수 있다면 아주 ... ...
- 위대한 수학자의 발자국, 괴팅겐을 걷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2007년 11월 19일부터 괴팅겐의 밤하늘을 수놓기 시작했어요. 전기 신호 대신 짧고 긴 시각 신호로 정보를 전달하지요. 레이저-전신 발사를 주관하고 있는 괴팅겐의 측정기술 협회 메아주레멘트 팔라이는 홈페이지에서 다음과 같이 레이저-전신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퍼즐에 도전해 보십시오. ... ...
- 비틀즈의 ‘스트로베리 필즈 포에버’, 혁신에 수학을 더하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변환은 수학에서 시간에 대한 함수를 분해하는 것으로, 이산 푸리에 변환은 복잡한 신호를 더 간단한 함수로 분해하는 수학적 기법입니다.브라운 교수는 디지털 장비로 곡의 코드를 초당 수만 개의 숫자로 나타냈습니다. 그리고 이산 푸리에 변환을 이용해 코드를 초당 수십 개로 단순하게 ... ...
- Part 1. 30대 중반, 제 건강 상태는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준다. 특히 가족력이 있는 과체중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BDNF는 배가 부르다는 신호를 뇌에 전달하는 역할과 관련이 있다. 이 유전자들의 SNP 차이가 타고난 체질량지수의 위험도를 결정하는데, 기자의 경우 3개 유전자에서 과체중과 관련한 SNP 개수가 한국인 8800명의 유전자-실제 체형 분석 ... ...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고에너지 입자인 우주선(線)의 성분 분석 역할을 맡는다. 현재 ISS에서 검출한 일부 신호를 지상으로 송신 받아 데이터를 분석하고 있다. 박 교수는 “우주 관측 실험 등 우주의 비밀을 풀어내는 기초 분야부터 최첨단 탑재체 개발까지 국내 연구진은 여러 분야에서 영향력을 높이고 있다”며 ... ...
- Part 4. 호모 사이보그, 새로운 감각을 얻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있는 칩으로 전달 하지요. 칩은 대뇌에서 시각 정보를 처리하는 부분에 심겨져 있어 전기 신호를 전달받으면 ‘무언가를 보고 있다’고 느낄 수 있답니다. 같은 방식으로 대뇌에서 청각을 담당하는 곳에 칩을 심으면 청각을 보완할 수도 있지요. 한편 색을 소리로 인식하는 ‘아이보그’도 있어요. ... ...
이전6263646566676869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