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양"(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이랩 홈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섭섭엘사, 자유롭게 얼음을 다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틀에 얼음을 얼린다.➋ 평평한 금속판과 플라스틱판, 그리고 얼음을 준비한다.➌ 똑같은 양의 얼음을 두 판 위에 동시에 올리고 시간을 잰다.➍ 어느 쪽 얼음이 더 많이 녹았는지 확인한다. 결과 : 얼음은 금속판 위에서 더 빨리 녹는다!금속판 위의 얼음이 플라스틱판 위의 얼음보다 빨리 녹는 ... ...
- [기획] 도요새의 여행을 쫓아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대장정을 준비하기 위해, 큰뒷부리도요는 먹이를 잔뜩 먹어 몸무게의 절반에 달하는 양의 지방을 축적해요.지방은 탄수화물이나 단백질에 비해 같은 무게에서 2배가 넘는 에너지를 만들어요. 게다가 대사의 반응물로 물이 나와서, 물을 마시기 위해 비행을 멈추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죠.또 ... ...
- [chapter2] 미래 모빌리티 인포그래픽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위한 친환경 선박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국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국내 주요 조선 업계는 2021년 4월 ʻ조선업 탄소중립위원회’를 출범해 탈탄소에 대한 의지를 밝히고, 수소추진 선박, 암모니아 추진 선박 등을 개발 중이다. 암모니아는 질소와 수소의 화합물로 연소 시 물과 ... ...
- [chapter1] 왜 퓨처 모빌리티인가과학동아 l2021년 08호
- 발전 부문을 보면, 기존에는 전기 생산 대부분을 석탄화력발전에 의존했지만, 점차 태양광발전과 풍력발전의 비중을 높여 이를 대체한다는 계획이다.발전 부문과 산업 부문에 이어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수송 부문 역시 에너지 전환 필요성이 높은 분야다. 수송에는 도로, 철도, 해운, 항공 등 ... ...
- [그래프뉴스] 과자는 더 달아지고 즉석죽은 더 짜졌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8호
- 과자가 이전보다 더 달아지고, 즉석죽은 더 짜진 것으로 조사됐어요. 우리가 자주 먹는 가공식품*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예요. 한국소비자원은 단맛을 내는 ‘당 ... “음식을 달고 짜게 먹는 것은 건강에 좋지 않기 때문에 식품회사들이 당과 나트륨의 양을 줄여야 한다”고 설명했어요 ... ...
- [숫자뉴스] 미세플라스틱 1시간 만에 몸 전체에 퍼져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8호
- 위와 간, 심장, 뇌, 폐와 같은 여러 장기로 퍼져나간 것을 알 수 있었어요. 특히 간에 쌓인 양은 48시간이 지나자 5배 많아졌어요. 다행히 위와 장에 쌓인 미세플라스틱은 24시간이 지나자 똥, 오줌 등으로 빠져나갔어요. 김진수 박사는 “미세플라스틱이 우리 몸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완벽히 밝혀지지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나만의 룰렛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상황과 게임에 활용되었어요. 기원전 3500년 경 주사위 게임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양의 발꿈 치뼈가 발견되었고, 고대 이집트에는 윷놀이처럼 나 무 조각들을 던져 나온 앞면의 숫자에 따라 진행하는 ‘사나트’라는 게임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어요. 이후 13세기 무렵이 되어서야 수학자들은 ... ...
- 미래│인간의 영향으로 달리 흐르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강은 끊임없이 변한다. 범람과 물 빠짐을 반복하며 새로운 퇴적지가 생기고, 작은 물길이 새로운 지류로 탄생한다. 이전에 없던 생태계가 만들어지기도 한 ... “기후변화는 전 지구적인 현상이지만, 하천의 회복력에 따라 기후변화에 의한 피해 양상과 규모는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 ...
- 몸집 키워 돌아온 종이접기의 물리학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때 가로 1m, 세로 2m, 높이 0.25m에서 다 펼쳤을 때 높이 2.5m, 가로·세로 2.6m까지 커져 다양한 재난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약할 전망입니다. ●땅속 진주 찾아 오늘도 종이를 접는다편집실에 앉아 거대한 종이 도면과 씨름하고 있으니 지나다니는 사람들이 “그건 뭐 하는 거예요?” “왜 하는 거예요 ... ...
- 더 빠르게, 더 스마트하게│인공지능 반도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저장된 데이터를 연산 순서에 맞춰 불러와야 한다. 문제는 여기에 필요한 데이터의 양이 일반적인 컴퓨터의 연산에 비해 매우 많고, 그만큼 전력 소모도 크다는 점이다. 그렇기에 데이터 흐름 최적화가 AI 반도체 설계에서 가장 중요하다.궁재하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정보통신융합전공 교수는 ... ...
이전6263646566676869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