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부
배우자
배필
파트너
동료
상대방
반려자
d라이브러리
"
짝
"(으)로 총 732건 검색되었습니다.
환태평양 인공지능 학술대회 조직위원장 김진형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이론도 대상이 간단한 경우에는 탁월한 효과가 있지만 문제가 조금만 복잡해지면 아무
짝
에도 쓸모없는 이론으로 변한다. 따라서 하나의 방법론으로 인공지능을 완성하려는 것은 금방 한계에 부딪치고 만다는 것이다.이와 관련 그는 '방법론' 보다 '다루는 문제'를 더 중시하는 새로운 흐름에 ... ...
인간 뇌속에 나침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자기장을 걸었을 때 그 세포만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자철광이 서로
짝
을 이뤄 자장이 세포막을 통과할 수 있도록 통로를 만들고, 외부자장에 반응해 자철광 결정들이 진동한다면 여러가지 생물학적인 영항이 나타날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이 영향에는 암도 포함된다.커시빙크 ... ...
2 악천후 불문, 저공 침투 가능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보급로 기갑차량 등을 공격의 목포로 삼았다. F-16은 야간작전능력이 있는 F-15E와
짝
을 이루어 주야간 공격팀을 편성했으며 특히 스커드미사일 발사대를 색출 공격하는데 큰 공을 세웠다.F-16은 항공역학과 시스템기술을 과감하게 접목시킨 전투기로 작고 가벼우며 기동성이 매우 뛰어나다. 또한 ... ...
아시모프의 삶과 꿈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조금도 비과학적인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예를들면 세개의
짝
별계가 한데 모여있는 여섯
짝
별계인 쌍둥이자리의 으뜸별처럼 우주공간상에 그 실례는 얼마든지 존재한다). 그 세계에 사는 사람들은 여섯개의 태양 중 최소한 하나는 언제나 떠 있기 때문에 '밤'이라는 것을 모르고 살아간다. 그러나 ... ...
(4) 남녀 성결정의 마지막 열쇠 XY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이것이 여성의 난자인 X와 만나면 수정이 이뤄진다. 이때 XY로
짝
을 이루 면 남성, XX로
짝
을 이루면 여성이 된다는 학설이 지배적이었다.1980년 미국의 울프교수는 Y염색체 에 HY항원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표 했다. 이 항원이 존재하면 남성이, 없으면 여성이 된다고 주장했던 것. 그러나 최근 외국의 ... ...
(5) 초파리 연구, 진화의 비밀 밝혀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짝
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런데 어떤 종류는 암컷이, 어떤 종류는 수컷이 서로 닮지 않은
짝
을 갖고 있다. 수컷이 서로 다른 두개의 성염색체를 지니는 형태를 XY형이라고 한다.초파리는 XY형이지만 다른 포유류와는 암수를 결정하는 방식이 다르다. 초파리의 Y염색체에는 수컷이 되게하는 유전자가 ... ...
피라미드 건설기술자 무덤 발견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적어도 몇년은 걸릴 전망이다. 현재 작업은 무덤의 천정에 집중되고 있다. 위험하기
짝
이 없는 이 작업과정에서도 수북이 쌓인 먼지는 많은 어려움을 던져주고 있다. 일단 고대인의 골격이 먼지막으로부터 빠져 나오면 대기중인 고고학자들에게 넘겨진다.하와스는 "이곳에 묻힌 사람들의 연령은 35~4 ... ...
의료분쟁 해마다 증가추세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않을 정도로 높아져 앞으로 의료분쟁건수가 더 늘어날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미묘하기
짝
이 없는 인간의 몸에 생긴 병을 기계나 신이 아닌 인간이 다스리는 의료현장에서 간혹 불의의 사고가 일어나는 것은 필연적이다. 환자개인의 체질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의사의 과오없이도 의료사고가 ... ...
별자리, 왜 계절에 따라 달라지나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물론 90º-h로 주어진다.지평 좌표계는 천체를 찾기에 매우 편리하다. 왜냐하면 (A, h)
짝
은 '어느 방향으로 어느정도 높이' 보아야 그 천체가 있다는 정보를 제공해 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평 좌표계는 특정 시간에만 유효하다는, 결정적인 단점이 있다. 왜냐하면 모든 천체는 시간이 조금만 지나도 ... ...
생물체도 비약을 통해 진화된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수 있을 까. 이러한 구조 역시 존재한다. 자동촉매를 통한 산화과정에서 일어난다.
짝
을 이루지 않는 전자를 가지고서 맹렬한 반응을 하는 물질기가 다른 분자와 작용해 자유기를 생성해내면 반응을 가속화시킨다.BZ(Belousov-Zhabotinski)라는 화학반응을 살펴보자. 전형적인 시료는 황산세륨(${Ce}_{2}$(${SO}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