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징후
표현
표지
조짐
제시
표명
암시
d라이브러리
"
표시
"(으)로 총 2,353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이로드롭의 위대한 자연법칙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놀이공원에 가면 제일먼저 타고자 하는 것은 당연히 롤러코스터나 자이로드롭일것이다. 물론 다 그렇다는 건 아니다. 약 70m 높이에서 불과 3초 만에 내려오는 자이로드롭을 ... 이용하는 게 매우 안전하다. 또한 이런 원리를 이용해 놀이기구를 만든 사람들에게 경의의
표시
를 하고 싶다 ... ...
PART 1. 한국이 금메달 따는 날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얼마나 타격이 센지는 감압센서가 측정해 미리 설정해둔 0에서 100 사이의 값을 전광판에
표시
한다. 체급에 따라 유효 득점이 되기 위한 충격량이 다르다.황 연구원은 “태권도 전자호구가 펜싱 전자호구보다 한 수 위인 점이 있다”고 강조했다. 펜싱은 ‘피스트’라고 부르는 직선 경기장에서 ... ...
스스로 빛나고 휘어지는 화면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발광하고 디스플레이 박막 아래에 위치한 컬러 레이어(layer)를 통해 색상 정보를
표시
한다. 백색광이 나오면 유기발광물질이 RGB 컬러 필터와 만난다. 유기발광물질에서 발생되는 백색광이 RGB 컬러 필터를 거치면서 RGB 컬러가 나타나는 구조다.색 간섭 우려가 없기 때문에 화소(화면을 이루는 작은 점 ... ...
원하는 동영상 콕 찍어 찾는 법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포함된 동영상이 데이터베이스에 있다면 자동으로 스크린샷 상단에 재생 버튼이
표시
되며 이를 누르면 된다(엔써즈의 동영상 검색 서비스 ‘이미디오’.).이제 ‘본방 사수’에 실패하더라도 부담없이 화제가 된 장면만 다시 볼 수 있다. 보고 싶은 장면을 찾는 데 소요되는 시간도 줄어든다.특히 ... ...
수학으로 더욱 화려하게! 분수 디자이너 류경민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펌프와 배관, 노즐의 종류, 물의 양, 물 높이 등을 수학공식을 이용해 구한 뒤 설계도에
표시
한다. 최소의 전기량으로 분수를 연출할 수 있도록 펌프와 배관, 노즐의 위치를 계산해 배치한다. 4 분수 설치설계도가 완성되면 실제로 분수를 설치한다. 만약 새로 개발된 분수라면 분수가 제대로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날치의 앞지느러미 단면이다. 물체를 띄우는 힘을 약 25% 올려주는 비밀이 그림에서
표시
한 뼛살에 담겨 있다.]4 딱정벌레 물주머니땅속에 인공 오아시스 만든다‘제임스다이슨상’이라는 상이 있다. 영국 청소기 브랜드 다이슨의 CEO인 제임스 다이슨이 차세대 디자이너와 엔지니어들을 위해 만든 ... ...
당 권하는 사회, 몸은 병들어간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위해 과당이 첨가된 식품이 많다. 심지어 ‘설탕 무첨가’라고
표시
한 제품에도 성분
표시
를 보면 ‘액상 과당’이나 ‘결정 과당’이 적혀있는 경우가 있다. 몸을 생각해 설탕을 안 넣은 제품을 고른 소비자들은 표범을 피하려다 호랑이를 만날 수도 있다는 말이다 ... ...
Norway Killer Played Violent Games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브레이빅이 게임에 몰두하는 이미지를 그렸다. 브레이빅의 온라인 캐릭터가 화면에
표시
되자 그가 미소를 지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AFP통신에 의하면 브레이빅은 2006년 여름부터 2007년 여름까지 ‘하루 종일’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라는 게임만 했다고 한다. 어떤 보도도 검찰이 ... ...
시로 읊고 퍼즐로 푼다! 수학 삼국지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똑같았다. 이 당시에는 대수학의 특징 중 하나인 미지수를 ‘元’이라는 부호로
표시
했는데, 이 방법을 ‘천원술’이라고 불렀다.하지만 대수학에 비해 기하학은 발전하지 못했다. 역법 연구에서 행성 운동의 규칙을 찾은 점은 서양과 같지만, 천체의 구조에 대해 관심이 적어 기하학에 대해 별로 ... ...
Part 3. 튜링의 마지막 도전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나오키 요시다 교수가 만든 세 개의 우주 모형과 한 개의 실제 관측 자료다. 검은 점으로
표시
된 곳이 물질이 응집돼 우주 팽창을 이긴 지역이다. 이 지역을 확대해 더 정밀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면, 별의 진화과정까지 추적할 수 있다. 그런데 요시다 교수는 질문을 던졌다. 네 개의 우주 중에서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