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술"(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1987년 항체 다양성을 유전자로 설명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연구 중이다. 그는 2013년 뇌 신경세포가 어떻게 잘못된 기억을 만들어내는지를 밝혀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고, 2014년에는 기억이 복원되는 과정을 ‘네이처’에 공개했다. 또 상대를 기억하는 뇌 속 특정 영역을 찾아내고, 단기기억이 장기기억으로 변하는 과정을 밝혀 각각 2016년과 201 ...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쥐 B의 피부를 쥐 A에 이식해도 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1953년 10월 3일자에 발표했다. 면역 관용에 대한 이론을 제시한 버넷과 이를 실험으로 증명한 메더워는 후천적 면역 관용을 발견하고 면역 관련 질병 연구에 기반을 만든 공로로 1960년 노벨 ...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1. 외계인은 진짜 있을까?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사실과 새로운 가설을 통해 통신 가능한 외계 문명의 수를 추정할 수 있는 방정식이 학술지 ‘천체물리학저널’에 발표됐어요. 크리스토프 콘슬라이스 영국 노팅엄대학교 천체물리학과 교수팀은 생명체가 탄생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춘 행성에는 반드시 생명체가 탄생하고 지적생명체로 진화한다는 ... ...
- 기후변화에 무관심한 정부 우리가 빼앗길 미래는?수학동아 l2020년 07호
-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학으로 밝힌 지독한 가뭄의 원인, 기후변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4월호 표지를 장식한 연구의 주제는 ‘지독한 가뭄’이었다. 지구의 물은 ①땅에서 증발한 물이 대기로 이동하고 ②대기 중의 물은 주로 빙하, 지하수를 머금고 있는 토양, 호수 등에 ... ...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태아의 소뇌증을 유발하는 지카바이러스로 뇌종양을 퇴화시킨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실험의학 저널’에 발표했다. 또 2018년 미국에 본사를 둔 다국적 제약회사인 존슨앤드존스과 머크는 각각 10억 달러(당시 약 1조1053억 원)와 3억9400만 달러(당시 약 4354억 원)를 들여 바이러스 항암제 개발사를 ...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암세포 주변으로 면역세포를 끌어들여 면역반응을 강화한다는 사실을 확인해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한편 1973년 당시 록펠러대 박사후연구원이었던 랠프 스타인먼은 최초로 수지상세포를 발견했고, 2011년 스타인먼이 생을 마감할 때까지 그의 연구실은 ... ...
- [수학뉴스] ‘골든 타임’ 중요한 해난 구조 수학이 돕는다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바다에 빠진 사람은 파도에 휩쓸려 계속 이동하기 때문에 사고가 발생한 뒤 6시간이 지나면 생존자를 찾을 확률이 급격히 낮아집니다 ... 발생했을 때 가장 먼저 수색할 곳을 찾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5월 26일자에 실렸습니다. ... ...
- [매스미디어]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더블X 6개의 예언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채 지나지 않은 2018년 5월, 애덤 프랭크 미국 로체스터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팀은 학술지 ‘우주생물학’에 수학 모형을 이용해 인류가 맞이할 수 있는 4가지 시나리오를 발표했는데, 프랭크 교수 역시 웹 뉴스 ‘커먼 드림즈’와의 인터뷰에서 “2100년 부근에 급격한 기후변화가 일어날 ... ...
- 대한민국 청소년, 우리는 잠이 필요해!수학동아 l2020년 07호
-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잠 못 자는 이유?학교 공부보다는 학원 숙제!2019년 학술지 ‘보건사회연구’에 우리나라 청소년 2246명을 7년 동안(초4부터 고1까지) 추적하며 설문 조사해 수면 시간 변화 궤적을 밝힌 연구 결과가 실렸어. 특히 ‘잠재계층성장분석모형’으로 수면 부족과 관련이 ...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있어서가 아니다. 인간과 야생동물의 접촉이 늘어난 게 가장 큰 이유다. 2008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는 1940년부터 2004년 사이에 발생한 감염병 총 335건 중 60.8%가 인수공통감염병이고, 이중 71.8%가 야생동물에서 유래했다는 분석 결과가 실렸다. 가축보다는 야생동물에 의한 감염 횟수가 증가한 ... ...
이전626364656667686970 다음